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일상과 사회생활에서 실수가 잦은 표현과 단어만 엄선한
우리말 맞춤법 1분 특강!

살아가면서 글을 쓸 일이 별로 없다고 하지만, 사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문장을 쓰면서 생활하고 있다. 핸드폰 사용과 SNS가 일상화되면서 말로 소통하기보다는 ‘글’을 주고받는 경우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톡이나 문자를 주고받다 보면 눈살을 찌푸리는 일이 자주 생긴다. 대화로 소통할 땐 몰랐던 상대방의 ‘우리말 밑천’을 목격하게 되기 때문이다. 심한 경우에는 ‘내가 알던 사람이 맞나?’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
하지만 우리말을 제대로 쓰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문법 규정이 워낙 복잡하고 원칙에 어긋나는 예외 사항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말을 전문적으로 구사하는 출판 편집자와 방송 아나운서 등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서 그때그때 사전과 국어 문법 규정을 찾아봐야 한다. 상황이 이러하기 때문에 ‘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이 우리말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다고 손을 놓을 수는 없다. 말이 그렇듯, 글과 맞춤법 역시 그 사람의 평판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문자나 메일 등을 통해 ‘글’을 쓸 일이 많은 직장인이라면 우리말 맞춤법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이제 와서 다시 국어 문법을 파고들어야 할까? 그 방대한 공부를 다시 시작한다고?
《1분 우리말》이 훌륭한 대안을 제시한다. 머리 아픈 문법이나 어려운 용어는 싹 배제하고 일상의 언어와 화법으로 올바른 우리말 세계로 인도하기 때문이다. 국어 전공자가 아니라면 굳이 알 필요 없는 내용도 다루지 않는다. 일상과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장 실수가 잦은 표현과 단어만 엄선하여 1분 이내에 습득할 수 있게끔 정리했다. [자주 쓰기 때문에 계속 틀리는 단어], [한 번쯤은 헷갈린 맞춤법], [잘못 쓰면 뜻이 달라지는 단어들], [알아 두면 좋은 우리말 상식],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 [알긴 아는데 이름을 모르는 물건들의 명칭], [젊은 세대가 자주 쓰는 신조어와 ‘야민정음’], [생긴 것도 예쁘고 뜻도 아름다운 순우리말]까지 깔끔하게 정리했다. 장담하건대 이 책 한 권이면 우리말 잘못 써서 타인을 민망하게 만들거나 정떨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우리말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제대로 알면 • • •

• 사람의 품격이 완성됩니다.
겉은 번지르르한데 입만 열었다 하면 확 깨는 사람이 있다. 마찬가지로 외모가 그런대로 괜찮고 화술도 좋은데, 글만 썼다 하면 이미지 확 구겨지는 사람도 있다. 과거에는 외모 잘 가꾸고 대화 상대로 크게 흠잡을 데 없으면 그럭저럭 괜찮은 사람으로 통했다. 하지만 수시로 ‘문자’와 ‘톡’, ‘메일’을 주고받아야 하는 오늘날에는 외모와 화술 외에 ‘우리말’까지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 외모 좋고 말 잘해서 기대치를 한껏 높였는데, 맞춤법과 띄어쓰기에서 밑천이 드러나면 이미지가 와르르 무너진다. 특히 연애에 치명적이다. 친절하고 쉬운 ‘우리말 처방전’ 《1분 우리말》로 ‘글실수’를 줄여서 품위를 유지하자.

• 평판과 이미지가 좋아집니다.
회사와 거래처 사이에 유능하다고 평판이 자자한데, 맞춤법이 영 시원치 않으면 이미지를 깎아 먹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비즈니스로 소통할 때는 더욱 더 우리말 맞춤법이 중요하다. 두루두루 국어에 대해서 다 알 필요는 없다. 일상과 비즈니스 세계에서 사용하는 표현과 단어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자주 쓰는 말만 알면 된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필요한 것만 알아서 제대로 써먹자. 그러면 최소한 평판과 이미지를 깎아 먹는 일은 없을 것이다.

• 동영상과 SNS 콘텐츠의 완성도가 올라갑니다.
이 책의 저자 중 한 사람인 콘텐츠 PD가 늘 경험하는 일이다. 자막 제대로 썼다고 칭찬받는 일은 없지만, 자막에서 맞춤법 틀리면 엄청 욕먹는다. 고생해서 동영상 잘 만들어 놓고 막판에 자막 입히는 과정에서 실수하면 완성도가 확 떨어진다. 반대로 동영상의 질이 조금 약해도 자막에 맞춤법 제대로 쓰면 신뢰도가 올라간다. 동영상 크리에이터라면 《1분 우리말》로 약점을 보완하고 조회수도 올리자.

《1분 우리말》은 이런 책입니다 • • •

• 국어 문법을 가르치지 않아요.
우리말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문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공부 좀 해보려고 해도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엄두가 나지 않는다. 국어로 먹고살 것도 아닌데,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맞다. 그럴 필요 없다. 일상과 사회생활을 하면서 욕먹지 않을 정도만 알면 된다. 《1분 우리말》이 제격이다.
《1분 우리말》은 절대로 국어 문법을 가르치지 않는다. 까다로운 규정이나 용어도 생략했다.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예로 들어 일상의 언어로 우리말 지식을 전달한다. 유쾌한 에피소드로 풀어 나가기 때문에 우리말 공부를 하면서도 한 편의 우스갯소리를 읽는 것처럼 재미있다.

• 일상에서 필요한 지식만 추렸어요.
《1분 우리말》의 목적은 국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말 맞춤법 틀려서 이미지 깎아 먹고 정떨어지는 상황을 막자는 것이 콘텐츠의 취지다. 가장 자주 쓰고, 그래서 가장 자주 틀리는 것만 추렸다. 어차피 우리가 일상에서 주고받는 단어와 표현의 가짓수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1분 우리말》에서 소개하는 것만 알면 된다.

• 딱 1분 길이로 정리했습니다.
《1분 우리말》의 최대 장점! 모든 내용을 1분 이내에 소화할 수 있게끔 정리했다는 점이다. 복잡한 설명을 배제하고 실생활에서 자주 마주하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내용이 장황할 필요가 없다. 공부한다는 느낌을 주지도 않는다. 그냥 재미있게 후다닥 읽고 나면 우리말 지식 포인트가 쌓이고, 레벨이 점점 올라간다. 대중 교통수단으로 이동할 때나 카페에서 친구 기다릴 때, 그 외의 짬짬이 시간을 활용하자. 콤팩트처럼 크기도 아담하니까 갖고 다니면서 틈틈이 읽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