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부-출판〉
Step 1. 나도 출판해볼까? : 출판 경로 탐색
[출판목적]- 나도 출간 할 수 있을까? 막연한 목표 재 정리 …17
[전자책]- 제작비를 절감하는, PDF 전자책 출판 …23
[독립출판]- 일단 만들어 보자! 출판사 없이 가능한 독립출판 …28
[일반출판]- 출판사를 통해 책 만들기, 일반 출판/자비 출판 …30
[출판방향]- 독립 출판? 1인 출판? 상황에 맞는 3가지 고려 기준 …36

Step 2. 출판사 어떻게 시작하지? : 1인 출판 도전
[1단계]- 출판사 만들기, 사업자 등록 …41
[2단계]- 서점 유통을 위한, 배본사 …45
[3단계]- 책 판매를 위한, 서점 신규 계약 …48

Step 3. 책은 어떻게 거래될까? : 신간 출간 과정
[ISBN]- 바코드는 어떻게 만들지? : 서지정보등록과 ISBN …53
[인쇄소]- 어디서 책을 제작 하지? : 알맞는 인쇄소 찾는 방법 …55
[보도자료]- 신간 등록과 홍보 준비? : 책을 소개하는 보도자료 작성 …58
[등록]- 책은 어떻게 등록할까? 신간 거래와 온라인 서점 등록 …61
[발주]- 서점 주문은 어떻게 확인하까? 발주 확인과 출고 관리 …63

〈2부-사업〉
Step 4. 출판에 필요한 핵심 업무 : 출판 프로세스
[업무]- 출판사 운영 배우기 : 출판 업무 프로세스 …69
[구조]- 중심 역할 분담 : 출판 업무 운영 계획 …75
[역할]- 출판 핵심 인력, 편집자, 마케터, 디자이너 …79, 82, 85
[운영]- 출판사 성장을 위한, 운영 계획 점검하기 …89
[비전]- 발전하는 출판사가 되기 위한 비전과 목표 수립 …92

Step 5. 현실적인 출판 운영 궁금증 : 사업 파헤치기
[자금]- 1인 출판하는데 초기 자금은 어느정도 필요할까? …97
[초판]- 출판이 처음인데, 초판 몇 부 제작해야 하나요? …102
[수익]- 책 한권 판매되면 수익은 어느정도 남을까? …104
[홍보]- 홍보가 없으면 판매도 없다! 어떻게 팔 것인가? …107
[SNS]- sns 소통은 필수? 홍보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111

Step 6. 살아남는 출판 자기계발 : 사업 비전 설계
[성장]- 1인 출판의 성장, 1인 기업가의 역량과 자세 …115
[점검]- 생존하는 1인 출판을 위해 역량 점검하기 …118
[고찰]- 출판을 생각하기에 앞서 먼저 작가이자 편집자가 되라 …121
[인맥]- 소통의 힘, 좋은 작가들과 함께 성장하기 …124
[공모]- 출판 관련 지원 사업, 알맞는 공모 도전하기 …126
[분석]- 좋은 책을 분석하는 공부 : 북 인터뷰 훈련 …131
〈3부-제작〉
Step 7. 팔리는 책을 만드는 기본 기획 : 출판 기획 공부하기
[방향]- 출판 기획의 방향 잡기, 구성을 만드는 도입 5단계 …137
[독자]- 독자를 위한, 독자가 있는 책 기획하기 …147
[유형]- 분야별 독자의 특성은? 필요형, 지식형, 감성형 …152
[조건]- 독자에게 좋은책으로 비춰지는 3가지 기준 …157
[모방]- 책, 어떻게 만들지 감이 안잡히면 모방부터! …161

Step 8. 구조를 만드는 책의 중심 : 콘텐츠 준비하기
[구성]- 본문 페이지 구성 계획 : 쪽 배열표기 …167
[면지]- 책 본문 앞 뒤에 색지를 넣는 이유? …169
[ 목차]- 주제를 논리적으로 도출하는 뼈대가 되는 목차 구조 잡기 …171
[제목]- 독자를 이끄는 카피의 힘! 매력적인 제목 짓기 …177
[집필]- 시간이 지날 수록 성장하는 글 실력의 비법 …180
[비판]- 더 나은 발전을 향한 객관적인 비판력 …184

Step 9. 책 형태를 만드는 제작 핵심 : 준비된 출판 제작
[판형]- 제작 기획과 함께 시작하기, 판형 정하기 …191
[색상]- 1도, 2도, 4도, 본문 디자인 색상 잡기 …194
[제본]- 제본 종류 이해하기, 내 책에 맞는 제본은? …196
[종이]- 종류와 평량? 초보자를 위한 종이 선택과 후가공 …200, 204
[책등]- 종이와 분량에 영향 받는 책등, 세네카 …209
[제작]- 완성도를 높이는 힘, 출력, 가제본, 인쇄 …212, 222, 226

이용현황보기

1인 출판 입문 : 기획, 쓰기, 제작, 출판, all in one 출판 핵심 코칭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43561 070.5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43562 070.5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46709 070.5 -22-4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나도 책 쓰고 출판할 수 있을까?"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대부분 책 쓰기에 관심이 많다. 언젠가 자신의 책을 쓰고 출간해 보겠다는 꿈이 가슴속에 자리 잡고 있다. 콘텐츠 창작의 진입 장벽이 낮아진 데 따라 이제는 이 꿈을 마냥 보존하고만 있지 않는다. 1인 출판, 독립 출판, 출판 투고, 전자책, 웹 소설, 유튜브 등 열정 있는 자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며 자신의 이야기를 선보이길 주저하지 않는다. 정말로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책을 만들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맥락이 있다. 바로 ‘만들 수는’ 있다는 부분이다. 제작된 책이 얼마나 많은 독자에게 선택될지는 알 수 없다. 아무리 초보 작가라도 독자 없는 책을 만들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글을 쓰면 책을 쓰고 싶고, 책을 쓰면 출판을 하고 싶고, 출판을 하면 판매가 되길 원하고, 이왕이면 잘 팔리길 원하는 것은 모두가 똑같은 마음이다. 이제는 출판의 꿈을 현실로 만들 차례다. 막연하게 바랬던 출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방향을 잡아보자.

이 책은 책 쓰기를 비롯하여 실질적인 출판 방법을 검토하며 '내 책 출간'의 꿈을 향해 전략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출판을 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꼭 필요한 핵심적인 내용들만 들어있다. 더 이상 '출판, 나도 할 수 있을까?' 란 고민에 그치지 않고 현실 가능성을 검토해볼 수 있다.

3부의 구성은 출판의 A to Z까지 모든 가이드를 담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1부는 [출판]에 관한 내용으로 1인 출판 절차와 방법을 안내한다.
2부는 [사업]에 관한 내용으로 출판 프로세스와 사업 운영의 노하우를 담고 있다.
3부는 [제작]에 관한 내용으로 출판 기획 부터 책 쓰기, 제작까지 가이드를 전한다.

내 책 출간을 꿈꾸는 분들에게
1인 출판의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했던 저자의 노력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책이다. 쓰기, 편집, 디자인, 출판, 운영 모든 부분을 혼자 담당하는 만큼 저자가 배우는 출판의 시야는 더욱 넓다. 결국 책이란 집필-편집-디자인-제작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만큼, 각 영역의 업무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연결하며 진행할지 알아야 한다. 저자는 그 중심을 놓치지 않는다. 출판을 위해 알아야 할 각 부분을 별개의 내용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출판을 위해 어떻게 책을 써야 하는지, 출판을 위해 어떻게 제작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출판 운영을 해야 하는지 일목요연하게 전하고 있다. 이 책은 글을 쓰는 작가부터, 출판을 꿈꾸는 분들까지 모두가 읽으면 좋다. 결국 작가가 되고자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내 책을 출간하고 싶어서다. 막연히 글만 열심히 쓰기보다, 출판 프로세스를 알면 '출판을 위한 책'을 써나갈 수 있다. 또 언젠가 출판을 시작할 때 이 책은 큰 힘이 될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책 쓰기 매력 중 하나는 기록성이다. 언젠가 잊힐 생각과 감정을 문서 안에 보존하여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 나만의 흔적을 만드는 일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삶의 이야기나 가치관, 그리고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남기는 일은 굉장히 멋진 일이다. 제작한 책이 많이 판매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본인에게는 큰 의미 있는 창작물임은 변함없다. 그래서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대부분 책 쓰기에 관심이 많다. 언젠가 자신의 책을 쓰고 출간해 보겠다는 꿈이 가슴속에 자리 잡고 있다. 콘텐츠 창작의 진입 장벽이 낮아진 데 따라 이제는 이 꿈을 마냥 보존하고만 있지 않는다. 1인 출판, 독립 출판, 출판 투고, 전자책, 웹 소설, 유튜브 등 열정 있는 자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며 자신의 이야기를 선보이길 주저하지 않는다.

1인 출판사에 관심이 있는가? 그렇다면 우선 출판사 계약을 따내는 게 어렵다고 덜컥 1인 출판을 시작하려고 하지 않는지 돌아봐야 한다. 혹은 책 자체가 좋아서 출판사를 시작해볼까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도전 자체에 의미를 두고 스스로 열심히 살 수 있지만, 출판을 쉽게 생각하고 접근하는 것은 위험하다. 모든 사업이 그렇듯, 출판 사업 역시 기반을 마련해나가야 한다. 단순히 책 한 권 쓰고 제작하는 일은 시간과 돈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책으로 수익을 얻는 일’은 노력만큼 꼭 비례하지는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