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제1장. 빛의 색채 표현 제2장. 눈의 구조와 색채 제3장. 피부색의 비밀 제4장. 뇌로 보는 색채 제5장. 미술 색채 제6장. 문화와 색채 나가기 참고 문헌 도판 목록
이용현황보기
가깝고 먼 이야기, 색 : 다채롭고 신비한 예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2162
701.85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2163
701.85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08596
701.85 -21-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색’이란 무엇인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방법. 다채롭고 신비한 예술, 색 이야기를 들어보자.
우리가 기억하는 색 “벚꽃의 색은 무엇입니까?” 많은 사람들이 이 질문에 분홍색이라 대답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벚꽃잎을 측색기로 측정해 보면 흰색에 가깝다. 우리는 왜 벚꽃을 분홍색이라 정의 내린 걸까? 어릴 적부터 생성된 색 개념은 빨?주?노?초?파?남?보 일곱 개의 무지개색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무지개는 공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나타나는 자연 현상으로, 이 또한 영국의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이 ‘도레미파솔라시’의 일곱 계이름처럼 색에도 7개의 이름을 무리하게 붙였기 때문이다. 마치 하늘색이 연파랑인 것처럼 말이다. 저자는 색이란 절대적이지 않고, 개인의 경험에 따라 다르게 인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관찰자가 경험을 통해 얻은 물체의 색상인 ‘기억색’인 것이다.
인류와 색, 그 너머 색은 예술 영역에 한정되어 판단하기 쉽다. 그러나 색은 인류의 진화와 함께 발달해 온 지각의 산물이며, 감정 또는 소통과 교류로 사용되어 왔다. 즉 과학과 문화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회적 언어이다. 과거 인류가 물속의 단세포였을 때, 유일하게 감지했던 색은 파랑, 노랑 둘뿐이었다. 진화와 함께 구별할 수 있는 색의 종류도 늘어나 약 4천만 년 전의 유인원 단계에서 빨강과 초록의 감지가 가능해졌으며, 이후 스웨덴의 화학자 칼 빌헬름 셸레(Carl Wilhelm Scheele)는 셸레 그린(Scheele Green)이란 초록색 안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오늘날 영국 기업이 나노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반타 블랙(VANTA Black)은 미세한 탄소나노튜브를 99.965%의 빛 흡수율을 지녀 세상에서 가장 어두운 검은색으로 탄생했다. 그러나 최근 MIT 연구진이 이보다 더 검은 물질을 개발하여 색의 역사를 다시 쓰게 된다. 이렇게 색은 끊임없이 발전해 왔고 앞으로도 그 한계의 끝은 없다.
Life is colourful 한국색채연구소에 따르면 인간이 사물을 판단할 때 영향을 미치는 감각은 시각이 70%, 청각 이 20%, 후각과 촉각, 미각 등이 10%며, 이 시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색’이다. 색은 이렇게 가깝고도 먼 존재다. 어릴 적부터 친숙하게 사용했지만 막상 알려고 하니 어려운 존재인 것이다. 저자 한혜진 역시 색채 이론은 이해하기 쉽지 않으며, 논문에서나 볼 수 있는 딱딱한 내용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가깝고 먼 이야기, 색』은 끊임없이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곧 세계다. 새롭게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알을 깨고 나오듯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이 문구처럼 책의 마지막 장을 덮었을 때 바라본 세상은 더욱더 아름답게 보일 것이다.
책속에서
‘키아로스쿠로 Chiaroscuro’는 이탈리아어로 키아로 Chiro=Light와 옹스쿠로 Oscuro=Dark 의 합성어입니다. 이는 빛과 그림자의 강한 명암 대조를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내는 조명 기법을 말합니다. 즉 하나의 광원에 의한 화면 내 빛을 받는 부분은 선명하게, 빛이 닿지 않는 부분은 짙은 그림자로 어둡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르네상스 Renaissance 회화는 키아로스쿠로 기법을 도입한 후 조명 효과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오늘날에는 사진이나 영화 촬영에서도 사용이 일반화되었습니다. 또한 한국 입시 미술에서도 대부분 이 조명 기법을 토대로 합니다. 정물화를 그릴 때 빛이 한 방향에서 온다는 가정하에 물체에서 가장 밝은 부분을 하이라이트로, 가장 어두운 부분을 그림자로 하여 극적인 정서 장면을 설정합니다. - 제1장. 빛의 색채 표현
인상주의 Impressionism 의 어원을 탄생시킨 프랑스 화가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 ~1926 는 마네의 작품 속처럼 현장감을 포착하기 위해 쨍쨍한 태양광이 내리쬐는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곤 했습니다. 이동식 이젤을 들고 휴대용 튜브 물감을 사용하여 실제로 보이는 것을 표현했기 때문에 생생한 색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이죠. 그러나 오랜 시간 태양광을 직접 눈으로 본 탓에 모네는 말년에 백내장 Cataract 을 앓게 됩니다. (…) 백내장에 의한 모네의 색 지각 변화는 프랑스 지베르니에 있는 일본풍 다리를 그린 두 장의 그림을 비교하면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1899년 작품 속 다리는 형체가 또렷하고, 배경에는 높은 명도의 선명한 초록색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와 달리 동일한 다리를 그린 두 번째 작품은 다리의 형체도 불분명해지고, 어두운 붉은색과 갈색이 주로 쓰였습니다. 이는 노화에 따른 수정체 황반 현상으로 초록색을 거의 볼 수 없게 된 것과 백내장으로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겹쳐져서 색 지각에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이렇게 모네는 사랑했던 일본풍 다리를 화폭에 남기고 1923년에 백내장 수술을 하게 됩니다. - 제2장. 눈의 구조와 색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