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버나드 루도프스키,「건축가 없는 건축」, 시공문화사, 2006. | 미소장 |
2 | 스튜어트 유웬,「이미지는 모든것을 삼킨다」, 시각과 언어, 1996. | 미소장 |
3 | 이보아,「성공한 박물관 성공한 마케팅」, 역사넷, 2003. | 미소장 |
4 | 이재국,「디자인 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0. | 미소장 |
5 | 존 파일,「현대 디자인 사조:목적.형태.의미」, 창미사, 1985. | 미소장 |
6 | 후카사와 나오토·재스퍼 모리슨,「슈퍼노멀」, 안그라픽스, 2009. | 미소장 |
7 | John F. P.,「Design: Purpose,Form,and Meanin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79. | 미소장 |
8 | Jonathan M. W.,「Twentieth Century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 미소장 |
9 | Liu Jiakun,「Now and Here」,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02. | 미소장 |
10 | Philip Jodidio,「I.M.Pei, Complete Works」, Electronic Industry Press, 2012. | 미소장 |
11 | 고순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에 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12 | 김미선, 버내큘러 디자인 표현 특성을 적용한 리조트 호텔 실내 공간 디자인,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13 | 배종정․한태권․김주연, 쑤저우박물관의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5 No.8, 2020. | 미소장 |
14 | 안영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버내큘러의 문화적 위상,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2016. | 미소장 |
15 | 양현미, 박물관 연구와 박물관 정책-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박물관 연구와 정책,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16 | 왕흔요, 중국의 현대 지역 건축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17 | 윤주현, 자생적 장소브랜드 시스템 디자인 프레임 워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18 | 이정은, 중국박물관 100년사의 회고와 전망, 인문과학연구, Vol.1 No31, 2020. | 미소장 |
19 | 이정호, 버내큘러 디자인 관점에서 본 신한복 스타일, 한국복식학회지, Vol.66 No.7, 2016. | 미소장 |
20 | Zenker, S.·Braun, E., The Place Brand Centre, 39th European Marketing Academy Conference, 1(4), 201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