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과학 시험 결과를 분석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실시되었다.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시험 문항을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하였고, Fusion Model을 이용하여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항별로 학생들이 문항을 풀기 위해 숙달해야 할 속성을 판별하여 Q 행렬을 작성한 후 분석을 실시하여 속성에 대한 문항 모수의 수렴을 확인하고 학생 전체와 성별,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평가가 학생들의 성취도 총점만을 제공하는 반면 인지 진단 이론은 평가에서 측정된 과학적 속성의 숙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었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회상하기의 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회상하기, 정보 해석하기, 계산하기 설명하기, 종합하기의 5개 속성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숙달한 속성은 정보 해석하기였으며 가장 적게 숙달한 속성은 종합하기였다. 분석 결과 얻어진 프로파일은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과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이 결과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effective assessments methods by using Fusion model of Cognitive diagnosis theory. Attributes are skills or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correctly on a particular item. After test items were developed, item's attributes were decided and Q-matrix about item's attributes was made. After testing, the result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achievement level.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mastered ‘Interpreting data’ best well and ‘synthesizing’ worst among five attribute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9]. | 미소장 |
2 | Estimation of Task Abilities through Causal Models of Categorical Data and its Application to Education | 소장 |
3 | 김성훈(2005). 인지구조모형에 근거한 학생의 지식상태 진단. 교육학연구, 43(1), 81-107. | 미소장 |
4 | 집단수준의 점수해석 기준을 이용한 개인수준의 진단 ![]() |
미소장 |
5 |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Rule Space Model on Learning Strategy | 소장 |
6 | Refinement of Q-Matrix for Analysing students" mathematical skills via Fusion Model | 소장 |
7 | 김명화(1997). 학습자의 인지 진단 방법에 관한 연구-분수의 인지과정모델에 Bayesian 추론망 모델 적용-.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8 | Chipman, S.F, Nichols, P., Brennan, R.L. (1995). Introduction, In P. D. Nichols, S. F. Chipman, and R. L. Brennan (Eds.), Cognitively Diagnostic Assessmen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9 | DiBello, L., Stout, W., & Rousses, L. (1995). Unified cognitive/psychometric diagnostic assessment likelihood-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In P. D. Nichols, S. F. Chipman, and R. L. Brennan (Eds.), Cognitively Diagnostic Assessmen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10 | An Empirically Based Method of Q‐Matrix Validation for the DINA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 |
미소장 |
11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using a diagnostic testing model: Turkish students’ profile of mathematical skills on TIMSS-R ![]() |
미소장 |
12 | Embretson, S. (1990). Diagnostic testing by measuring learning processes: Psychometric considerations for dynamic testing. In N. Frederiksen, R. L. Glasser, A. M. Lesgold, and M. G. Shafto (Eds.), Diagnostic monitoring of skills and knowledge acquis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13 | Hartz, S.(2002). A Bayesian framework for the Unified Model for assessing cognitive abilities: bledning theory wit practice. Doctoral thesis,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 미소장 |
14 | Hartz, S., Roussos, L., & Stout, W. (2002). Skills Diagnosis: Theory and Practice. User Manual for Arpeggio software. ETS. | 미소장 |
15 | McMillan, J. H. (200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Boston: Allyn & Bacon. | 미소장 |
16 | Mullis, I. V. S., Martin, M. O., Ruddock, G. J., O’SullⅣan, C. Y., Arora, A., & Erberber, E. (2005). TIMSS 2007 Assessment Framework.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Boston College. | 미소장 |
17 | Rule Space: An Approach for Dealing with Misconceptions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 |
미소장 |
18 | Tatsuoka, K. K. (1990). Toward integr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and cognitive error diagnoses. In N. Frederiksen, R. L. Glasser, A. M. Lesgold, and M. G. Shafto (Eds.), Diagnostic monitoring of skills and knowledge acquis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19 | Tatsuoka, K. K. (1995). Architecture of knowledge structure and cognitive diagnosis: A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approach. In P. D. Nichols, S. F. Chipman, and R. L. Brennan (Eds.), Cognitively Diagnostic Assessmen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20 | Tatsuoka, K. K., Corter, J. E., & Tatsuoka, C. (2004). Patterns of Diagnosed Mathematical Content and Process Skills in TIMSS-R Across a Sample of 20 Countries.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4), 901-92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