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1
Ⅰ. 서론 14
Ⅱ. 이론적 배경 17
1. 범진단적 치료 17
1) 범진단적 치료의 정의와 장점 17
2) 정서장애에 대한 범진단적 치료의 종류 18
2. 정서장애에 대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UP) 19
1) 정서장애에 대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UP) 19
2) UP 치료 주요 가정 및 목표 - 정서조절곤란 20
3) UP의 개요 23
4) 국외 UP의 치료 효과 24
5) 국내 UP의 치료 효과 26
Ⅲ.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9
1. 연구의 필요성 및 문제 제기 29
2. 연구의 목적 32
Ⅳ. 연구 1 : 정서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집단치료와 개인치료의 효과 비교 33
1. 초록 33
2. 이론적 배경 34
3. 방법 39
1) 연구 대상 39
2) 치료 프로그램 42
3) 측정도구 48
4) 분석방법 52
4. 결과 54
1) 사전 동등성 검증 54
2) 치료 효과: 집단치료 vs 개인치료 통계적 유의성 검증 55
3) 각 치료조건별 참가자 내 효과크기 및 치료조건 간 효과크기 59
4) 치료 효과: 집단치료 vs 개인치료 임상적 유의성 검증 60
5. 논의 62
Ⅴ. 연구 2 : 정서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역할 69
1. 초록 69
2. 이론적 배경 71
3. 방법 74
1) 참가자 및 자료수집 절차 74
2) 개입 프로그램 76
3) 측정도구 79
4) 자료 분석 81
4. 결과 83
1) 사전 동등성 검증 83
2) 각 변인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 84
3) 잠정적인 매개변인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 85
5. 논의 89
Ⅵ. 연구 3 : 정서장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의 변화기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가설에 대한 지지 증거 95
1. 초록 95
2. 이론적 배경 96
3. 방법 102
1) 연구 대상 102
2) 치료 프로그램 106
3) 측정도구 108
4) 분석방법 111
4. 결과 113
1) 사전 동등성 검증 113
2) 주요 변인에 대한 UP의 효과 검증 114
3) 잠정적인 매개변인에 대한 UP의 효과 검증 117
4) UP의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검증 117
5. 논의 121
Ⅶ. 종합 논의 127
1. 연구 1 ~ 3의 결과 요약 및 논의 127
1) 연구 1 - 정서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집단치료와 개인치료의 효과 비교 127
2) 연구 2 - 정서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역할 128
3) 연구 3 - 정서장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의 변화기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가설에 대한 지지 증거 129
4) 연구 1 ~ 3에 대한 비교 및 논의 130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제안 138
3. 연구 의의 140
참고문헌 142
Abstract 164
부록 168
〈부록 1〉 UP 집단 프로그램 참가자의 소감 요약 170
〈부록 2〉 UP 개인 프로그램 참가자의 소감 요약 171
〈부록 3〉 정서조절곤란의 5가지 차원(요인)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연구 2) 172
〈부록 4〉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충동통제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2) 173
〈부록 5〉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2) 174
〈부록 6〉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 제한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2) 175
〈부록 7〉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목표지향행동 수행의 어려움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2) 176
〈부록 8〉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정서 이해 부족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2) 177
〈부록 9〉 정서조절곤란의 5가지 차원(요인)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연구 3) 178
〈부록 10〉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충동통제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3) 179
〈부록 11〉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3) 180
〈부록 12〉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 제한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3) 181
〈부록 13〉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목표지향행동 수행의 어려움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3) 182
〈부록 14〉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정서 이해 부족 감소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연구 3) 183
〈부록 15〉 정서조절곤란의 5가지 차원(요인)에 대한 연구 2와 연구 3의 매개효과 결과 요약(Bootstrapping) 184
그림 4-1. 연구 진행 과정에서 연구 참가자의 인원수 변화 41
그림 5-1. 사회불안증상 개선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87
그림 5-2. 범불안증상 개선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87
그림 5-3. 우울증상 개선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87
그림 5-4. 부적 정서 개선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매개효과 87
그림 6-1. 연구 진행 과정에서 연구 참가자의 인원수 변화 103
그림 6-2. 사회불안증상의 개선에 대한 UP의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부분매개효과 119
그림 6-3. 우울증상의 개선에 대한 UP의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 감소의 완전매개효과 11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