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약어목록 11
Ⅰ. 서론 15
1.1. 연구의 필요성 15
1.2. 연구의 목적 18
Ⅱ. 이론적 배경 22
2.1. 제3언어의 개념 22
2.2. 제3언어 습득 배경 23
2.3. 제3언어 습득 모델 검토 25
2.3.1. L1 전이 모델 25
2.3.2. 누적 향상 모델 26
2.3.3. L2 지위 요소 모델 36
2.4. 핵방향 매개변수 41
2.4.1. 보편문법과 핵방향 매개변수 41
2.4.2. 관계절의 핵방향 매개변수 45
2.5. Wh-의문문 50
2.5.1. Wh-이동 매개변수 50
2.5.2. Wh-의문문 습득의 패턴 53
Ⅲ. 중도입국 청소년이 사용하는 언어의 통사 구조 58
3.1. 관계절 구조 59
3.1.1. L3 영어 관계절 구조 59
3.1.2. L2 한국어 관계절 구조 61
3.1.3. L1 러시아어 관계절 구조 62
3.1.4. L1 중국어 관계절 구조 65
3.2. Wh-의문문 구조 67
3.2.1. L3 영어 Wh-의문문 구조 67
3.2.2. L2 한국어 Wh-의문문 구조 69
3.2.3. L1 러시아어 Wh-의문문 구조 70
3.2.4. L1 중국어 Wh-의문문 구조 71
Ⅳ. 연구 내용 및 방법 74
4.1. 연구 내용 74
4.1.1. 연구대상 모집 75
4.1.2. 연구 방법 78
4.2. 관계절의 연구 방법 80
4.2.1. 연구 설계 81
4.2.2. 연구 도구 82
4.3. Wh-의문문의 연구 방법 88
4.3.1. 연구 설계 89
4.3.2. 연구 도구 92
Ⅴ. 실험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95
5.1. 관계절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95
5.1.1. 듣고 따라 하기 결과 분석 95
5.1.2. 그림보고 단어 배치하기 결과 분석 100
5.2. Wh-의문문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106
Ⅵ. 결론 118
참고문헌 122
ABSTRACT 132
부록 134
〈부록 1〉 설문지 134
〈부록 2〉 L2 한국어 능력 평가 문제지 138
〈부록 3〉 L3 영어 능력 평가 문제지 145
〈부록 4-1〉 듣고 따라 하기 과업 실험 문장 151
〈부록 4-2〉 그림보고 단어 배치하기 실험 문장 153
〈부록 5-1〉 Wh- 유도 과업 1 155
〈부록 5-2〉 Wh- 유도 과업 2 156
그림 2.1. 관계절 구조의 발달적 변화 30
그림 2.2. 카자흐 어린이와 성인의 L3 영어 관계절 습득 31
그림 2.3. 핵전위 관계절 수형도 (영어) 47
그림 2.4. 핵후위 관계절 수형도 (한국어, 중국어) 48
그림 2.5. Wh-의문문 수형도 (성인 영어) 52
그림 4.1. 그림보고 단어 배치하기 예시 87
그림 4.2. Wh- 유도 과업 2 예시 93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 중인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언어가 제3언어인 영어의 통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영어의 관계절과 wh-의문문을 통해 분석했다. 제1언어(L1)와 제2언어(L2)가 제3언어(L3)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실험 연구 모델들이 있으나 그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누적 향상 모델'과 'L2 지위 요소 모델'을 채택하여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제3언어를 습득할 때 어느 모델이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본다. 누적 향상 모델(Cumulative Enhancement Model, Flynn, Foley, & Vinnitskaya, 2004)은 이전에 경험한 문법적 특성이 다음 언어 습득에 중립적 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고 L2 지위 요소 모델(L2 Status Factor Model, Bardel & Falk, 2007; Williams & Hammarberg, 1998; Rothman & Amaro, 2010)은 L1이 아닌 L2만이 L3 습득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전이의 요인이 된다는 가설이다.
위와 같은 가설들을 실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모국어(L1)와 한국어(L2), 영어(L3)의 통사 부분에서 유형론적인 유사성과 차이점에 따라 아래와 같이 그룹지었다.
우선 관계절 실험에서 핵방향 매개변수에 따라 A 그룹은 L1 러시아어 ≠ L2 한국어 ≠ L3 영어 = L1 러시아어, B 그룹은 L1 중국어 = L2 한국어 ≠ L3 영어 ≠ L1 중국어로 구성되었으며, wh-의문문 실험에서 wh-매개변수에 따라 A 그룹은 L1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 L2 한국어 ≠ L3 영어 = L1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B 그룹은 L1 중국어, 키르기스어 = L2 한국어 ≠ L3 영어 ≠ L1 중국어, 키르기스어로 구성되었다.
각 실험 항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계절 실험은 두 가지로 듣고 따라 하기와 그림보고 단어 배치하기를 실행했다. 듣고 따라 하기 과업에서 A 그룹이 B 그룹보다 수행 능력이 높아 누적 향상 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방향 매개변수가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제대로 알아보기 위한 그림보고 단어 배치하기 과업에서는 A와 B 두 그룹의 수행 능력이 비슷하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Flynn 외가 주장하듯이 중립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부적인 오류 패턴을 분석한 결과, 핵방향성을 나타내는 문장에서 B 그룹이 A 그룹보다 많은 오류를 나타냈다. 따라서 그림보고 단어 배치하기에서도 누적 향상 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의문문 실험에서 wh-어의 이동 여부에 대해 6가지 패턴을 수준별로 살펴봤을 때, A 그룹보다 B 그룹에서 비문을 생성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완성된 문장인 Wh-Aux-S-V 패턴에서 동일한 L2와 L3 수준을 가진 참가자들이 생성한 wh-의문문에서는 A 그룹이 B 그룹보다 수행능력이 훨씬 더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L3와 유사한 L1 wh-매개변수가 영어 wh-의문문을 습득하는데 촉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위에서 실험한 모든 과업에서 누적 향상 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사 부문에서 목표어가 영어이고, 순수하게 모국에서 태어나서 한국에서 제2언어와 제3언어를 습득하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