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Ⅰ. 서론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폐암의 유형 및 특성 13

2. 변형영상정합의 특성 15

1) B-스플라인 기반 변형영상정합 15

2) Thin-plate 스플라인 변형영상정합 15

3) Elastic Body Splines(EBS) 기반 변형영상정합 16

4) VoxAlign Deformation Engine 기반 변형영상정합 17

3. 적응형 방사선 치료 기법의 이해 18

Ⅲ. 연구 방법 19

1. 환자 분류 및 그룹화(Patient Selection and Grouping) 19

2. 모의치료 및 치료 계획 과정(Simulation and Treatment Planning Process) 20

3. 영상 획득 및 영상 병합(Imaging Acquisition and Registration Process) 21

4. 치료 계획 적용 및 재계산(Treatment Plan Application and Recalculation) 22

5. 치료 계획 일치성 평가(Evaluation of Treatment Plan Consistency) 23

6. 데이터 수집 및 파라미터 설정(Data Collection and Parameter Setting) 24

7. 통계 분석(Statistical Analysis) 25

Ⅳ. 연구 결과 26

1. 환자 특성(Patient Characteristics) 26

2. 치료 계획 일치성 평가(Evaluation of Treatment Plan Consistency) 27

3. 방사선 치료 중 GTV의 시간에 따른 변화 분석(Analysis of Temporal Changes in GTV During Radiotherapy) 28

1) 주별 단계적 GTV의 체적 변화 추적: 치료 시작부터 누적 비교 28

2) 주별 간격 GTV의 체적 변화 비교 29

4. 방사선 치료 중 위험 기관(OAR)의 변화 분석(Variations in OAR During Radiotherapy) 30

1) 전체 폐(Whole Lung) 30

2) 식도(Esophagus) 31

3) 심장(Heart) 31

Ⅴ. 논의 32

Ⅵ. 결론 40

참고문헌 41

ABSTRACT 66

표목차

〈Table Ⅲ-1〉 Patients' characteristics. 53

〈Table Ⅲ-2〉 Statistical comparison of CI, mDHI, and rDHI differences between the initial plan and ART1, 2, and 3 plans for each patient. 55

〈Table Ⅲ-3〉 Quantitative and Proportional Alterations in GTV from rCT1 to rCT4 Across Different Lung Cancer Subtypes: Analysis of Statistical... 56

〈Table Ⅲ-4〉 Comparative Analysis of Whole Lung Dose-Volume Histogram (DVH) Parameters Across ART Plans Over Time. 58

〈Table Ⅲ-5〉 Comparative Analysis of Esophagus Dose-Volume Histogram (DVH) Parameters Across ART Plans Over Time. 59

〈Table Ⅲ-6〉 Comparative Analysis of Heart Dose-Volume Histogram(DVH) Parameters Across ART Plans Over Time. 60

그림목차

〈Figure Ⅱ-1〉 Depicts an illustrative flow diagram for the process of image capture, alignment, and the workflow of RT planning. The flowchart provides a... 61

〈Figure Ⅱ-2〉 Illustrates the progression of GTV shrinkage across various stages of ART in cases of ADCA, SCC, and SCLC. The figure displays a selection of CT... 62

〈Figure Ⅲ-1〉 Assessing Conformity Consistency Between Initial and ART Plans(CI, mDHI, rDHI). This figure illustrates the distribution of conformity index (CI),... 63

〈Figure Ⅲ-2〉 Gradual Weekly Tracking of GTV alterations from the Onset of RT. Weekly stage-by-stage gross tumor volume (GTV) changes for all patient... 64

〈Figure Ⅲ-3〉 Comparative Analysis of GTV Variations on a Weekly Basis. The chart illustrates weekly comparative gross tumor volume (GTV) changes for all... 65

초록보기

 본 연구는 폐암의 병리학적 유형별로 방사선 치료(Radiotherapy)에 대한 반응 차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적응형 방사선 치료(Adaptive Radiotherapy, ART)의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총 30명의 환자 중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가 20명,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 환자가 10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변형영상정합(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IR) 기술을 활용하여 방사선 치료 과정 중 GTV(Gross Tumor Volume, 맨눈종양체적)의 변화를 세밀하게 평가하였다. 소세포 폐암 그룹에서는 첫 치료가 시작되고 일주일 후에 GTV의 평균 체적이 20.95% 감소하였고 (p = 0.001), 선암(Adenocarcinoma, ADCA) 및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SCC) 그룹에서는 각각 두 번째 주에 20.47% (p = 0.015)와 12.68%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소세포 폐암의 그룹에서 ART1에서 ART2-4까지의 평균 V20Gy 감소율이 각각 -6.35%, -11.71%, -11.73%로 방사선 치료 중 폐의 방사선량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폐암의 다양한 병리학적 특성에 기반한 방사선 치료의 개별적 반응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적응형 방사선 치료 계획을 세움으로써, 폐암 치료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폐암 치료에 있어서 환자 맞춤형 치료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향후 연구와 임상적 적용을 통해 폐암 환자들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폐암 치료 분야에서 적응형 방사선 치료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확장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