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국문요약 7
Ⅰ. INTRODUCTION 8
Ⅱ. MATERIALS AND METHODS 10
Ⅲ. RESULTS 13
Ⅳ. DISCUSSION 19
Ⅴ. CONCLUSION 22
REFERENCES 23
Abstract 26
Fig. 1. The mean percentile of (A) height, (B) weight, and (C) head circumference by age at health check-up 16
Fig. 2. distribution trends of infants with weight above the 90 th percentile by the birth weight group. 16
Fig. 3.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17
목적: 출생 체중 4kg 초과로 정의되는 거대아는 다양한 모성, 주산기, 신생아 합병증과 연관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거대아 발생 빈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성장과 발달 예후 및 기타 신생아기 합병증의 예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에 출생 체중 2.5kg 이상으로 태어나 1차부터 7차 사이에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은 총 397,203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10차 국제질병분류 또는 영유아 건강검진 설문지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결과: 출생 체중별 영아의 분포는 2.5-3.99 kg 구간에 384,181명(97%), 4.0-4.49 kg 구간에 12,016명(3%), 4.5-4.99 kg 구간에 772명(0.2%), ≥ 5 kg 구간에 78명(0.02%)이 포함되었다. 거대아에서 남아의 빈도가 더 높았으며 패혈증, 임신성 당뇨 산모, 분만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과 출생 체중별, 또한 두 가지를 병합한 구간별 체중, 신장, 두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각 검진 시기별 90 백분위수 초과하는 영아의 수는 거대아그룹에서 지속적으로 많았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출생 체중 2.5-3.99 kg 구간에서 50.6, 4.0-4.49 kg 구간에서 63.5, 4.5-4.99 kg 구간에서 71.0, ≥ 5 kg 구간에서 73.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거대아그룹과 대조군 간에 24, 36, 48개월 검진 시 발달지연 가능성의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거대아는, 특히 임신성 당뇨 산모에게서 태어난 남아에서, 패혈증, 분만손상, 비만의 위험성이 높았다. 따라서 주의 깊은 감시와 적절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