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낱말머리 'ㄹ' 표기의 바뀌어옴에 대하여 / 조규태 인기도
발행사항
순천 : 배달말학회, 2009.12.31
수록지명
배달말. 통권 제45호 (2009. 12), pp.69-10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19884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낱말머리 'ㄹ' 표기의 바뀌어옴에 대하여 / 조규태 1

〈요약문〉 1

1. 들머리 3

2. 낱말머리 'ㄹ' 표기의 바뀌어옴 3

2.1. 한자어의 낱말머리 'ㄹ' 표기의 바뀌어옴 3

2.2. 외래어의 낱말머리 'ㄹ' 표기의 바뀌어옴 25

3. 낱말머리 'ㄹ' 표기에 관한 제언 29

4. 마무리 36

□ 참고문헌 □ 37

〈Abstract〉 38

[부록] 40

초록보기 더보기

남한과 북한의 언어가 달라진 것 가운데 하나가 낱말머리 ‘ㄹ’ 표기이며, 이는 남북의 언어 통일에 가로놓인 매우 어려운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낱말머리 ‘ㄹ’ 표기가 만들어지고 바뀌어온 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므로, 낱말머리 ‘ㄹ’ 표기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표기가 만들어진 것과 바뀌어온 과정에 관한 역사를 잘 알아야만 올바른 해결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낱말머리 ‘ㄹ’ 표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바뀌어온 것인지를 밝혀 낱말머리 ‘ㄹ’ 표기에 관한 정책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작성되었다.

15세기에 한글로 우리말을 표기하기 시작한 이래 한자어의 낱말머리 ‘ㄹ’ 표기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뀌어왔다. 15세기에는 낱말머리에서 원래 소리대로 ‘ㄹ’로 표기하기도 하였으나, 16세기부터는 점차로 ‘ㄴ’으로 표기하는 쪽으로 바뀌기 시작하여, 18세기에 이르러서는 ‘ㄴ’으로만 표기하게 되었다. 그리고 19세기에 이르러서는 ‘ㅣ’ 홀소리나 반홀소리 ‘ㅣ’ 앞의 ‘ㄹ’은 낱말머리에서 ‘ㅇ’으로 표기하는 데까지 넓혀졌다. 한글맞춤법통일안에는 이렇게 ‘ㄹ’이 낱말머리에서 바뀐 것을 그대로 표기하는 규정이 마련되어 표기의 통일을 이룩하였다.

이와는 달리 낱말머리에 ‘ㄹ’ 소리를 가진 형태소들을 위치에 관계없이 원래 소리대로 표기하려는 노력도 있었다. 독립신문과 일부 개화기 교과서에서 한자어의 낱말머리 ‘ㄹ’ 소리를 원래 소리대로 표기하기도 하였는데, 이 시도는 그 이후 다른 신문과 교과서에 이어지지 않았다. 그 반면에 외래어 표기법에서의 낱말머리 ‘ㄹ’ 표기, 북한의 낱말머리 ‘ㄹ’ 표기 규정의 마련, 최근 대법원이 예규를 고쳐 성씨의 낱말머리 ‘ㄹ’ 표기를 허용한 것은 한자어에서의 낱말머리 ‘ㄹ’ 표기가 가능함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낱말머리에서 ‘ㄹ’을 원래 소리대로 표기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이 표기는 오랜 세월에 이루어진 표기 관습이므로, 이 오랜 표기 관습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지를 검토한 후 신중히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낱말머리 ‘ㄹ’ 표기와 관련된 형태소들의 목록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이 형태소들에 대한 교육으로 원래 소리대로 표기하더라도 표기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판단이 선 이후라야만 가능할 것이다.

After Korean language was written in Hangeul in the 15th century, the orthography of initial ‘ㄹ’ sound changed a lot. In the 15th century, it was written in ‘ㄹ’ as its original sound, but since 16th century, gradually it started its change to be written in ‘ㄴ’, and in the 18th century, it was written only in ‘ㄴ’. In the 19th century, it was written in ‘ㅇ’ as well before the vowel ‘i’ and the semivowel ‘j.’ To reflect this orthographic change of ‘ㄹ’ sound, in Hangeul orthography were set a rule and according to the rule the orthography was unifi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attempt to write morphemes which sound ‘ㄹ’ as its original sounds wherever it placed. The newspaper, ‘The independent’ and some of textbook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ried to write initial sino-Korean ‘ㄹ’ sound as its original sound, but this trial did not continue afterwards in other newspapers and textbooks. However, initial ‘ㄹ’ orthography in the rules of borrowed words and North Korean orthography abolished ‘initial sound rule’ were succeeded. In addition, recent revision on “The rule of census registration” that permits writing family name in ‘ㄹ’ will give new change in the Orthography of Initial ‘ㄹ[r]’ sound.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Orthography of Initial ‘ㄹ[r]’ sound, since it is the old custom. So, we need to approach this problem very carefully. We should judge that the change of the old custom is desirable and capable. Next, the extraction of morphemes that have initial ‘ㄹ’ sounds and education on these morphemes will be able to abolish the old orthographic custom.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방언의 수집과 전사에 대하여 :'지역어 조사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김정대 pp.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향가의 구비문학성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박용식 pp.43-6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낱말머리 'ㄹ' 표기의 바뀌어옴에 대하여 조규태 pp.69-10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간판 상호 언어의 변천 양상과 특징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김형철 pp.111-14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고려시대 석독구결문의 번역 문체적인 특징 정은균 pp.149-1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문자론 용어 문제에 대하여 배보은 pp.175-21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효공선행록>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장시광 pp.217-25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이형기 시 연구 :비극적 존재와 역설적 세계 인식 유재천 pp.257-2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이문열의 예술가소설에 나타난 '道'의 의미 :「금시조」, 「시인」을 중심으로 이성애 ;이승하 pp.275-3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과제 박상민 pp.301-32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희곡과 연극의 시청각적 약호 교육 :최인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를 중심으로 한귀은 pp.327-3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읽기학습에서 학습자의 상황모형 구성 및 구현 양상 연구 오정환 pp.353-39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문단 간 중심의미 인지 양상 연구 :고1·2 학습자들의 읽기를 중심으로 서종훈 pp.397-4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17세기 후반 국문장편소설의 딸 형상화와 의미 :<소현성록> 연작을 중심으로 정선희 pp.425-46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근대 젠더담론과 '아내'라는 표상 임정연 pp.461-49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여성 호칭어 '아주머니' 계열 어휘의 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조남민 pp.497-53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