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건자두 제품의 보충이 식이섬유 섭취량 및 변비증상에 미치는 영향 / 한영희 ; 연미영 ; 현태선 1
Abstract 1
서론 1
조사 대상 및 방법 2
1. 연구대상자 및 기간 2
2. 연구내용 및 방법 2
1) 건자두 제품의 제공 2
2) 조사내용 및 일정 3
3) 설문지 구성 3
4) 식이섭취조사 3
3. 자료 분석 3
결과 3
1. 일반적 특성 3
2. 배변습관 4
3. 식습관 및 건강관련 습관 5
4. 1일 평균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 6
5. 변비에 대한 인식과 변비증상 완화를 위한 노력 6
6. 건자두 제품 보충 후 식이섬유와 수분 섭취량의 변화 7
7. 건자두 제품 보충 후 변비증상의 변화 9
고찰 10
요약 및 결론 11
감사의 글 12
참고문헌 1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 연미영 ;한영희 ;현태선 | pp.307-322 |
|
보기 |
여대생의 체지방률에 따른 식이섭취와 혈중지질농도, 철분지표 및 항산화능 | 배현숙 | pp.323-333 |
|
보기 |
전북지역 일부 중년남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혈중지질에 관한 연구 | 장혜순 | pp.334-345 |
|
보기 |
한국인의 경제수준에 따른 성별·지역별 식사패턴 비교 :1998,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 최지현 ;문현경 | pp.346-358 |
|
보기 |
여성건강을 위한 식품영양관련 웹 사이트 개발 | 정아람 ;주나미 | pp.359-366 |
|
보기 |
여대생의 모유수유 지식 및 태도 조사 | 이현교 ;송용 ;강남미 | pp.367-373 |
|
보기 |
백화점 종사자의 식행동과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 | 김혜경 ;김진희 ;박영숙 | pp.374-385 |
|
보기 |
비만어린이와 정상체중 어린이의 행동 특성에 관한 문헌적 고찰 | 백설향 | pp.386-395 |
|
보기 |
병원 급식 식대 급여화에 따른 입원 환자의 급식만족도 조사 | 황라일 ;권진희 | pp.396-404 |
|
보기 |
수도권 지역 학교급식소의 위생관리 현황 및 HACCP 시스템 적용 장애요인 연구 | 김경미 ;이심열 | pp.405-417 |
|
보기 |
여대생의 골밀도와 식이 및 비식이 요인들 간의 상관성 | 임지혜 ;배현숙 ;이승민 ;안홍석 | pp.418-425 |
|
보기 |
건자두 제품의 보충이 식이섬유 섭취량 및 변비증상에 미치는 영향 | 한영희 ;연미영 ;현태선 | pp.426-438 |
|
보기 |
건강한 한국 중년 여성에서의 주요 식이패턴과 인구·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요인 간의 연관성 | 이승민 ;오아림 ;안홍석 | pp.439-452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 |
미소장 |
2 | Hyun TH, Tamura T (2005): Trienzyme extraction in combination with microbiological assy in food folate analysis: an updated review. Exp Biol Med 230(7): 444-454 | 미소장 |
3 |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fiber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Chungbuk area | 소장 |
4 | [Effect of ear mushroom (Auricularia) on functional constipation]. | 소장 |
5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5): Development of Nutrient Database - 5. Dietary Fiber Composition of Foods - | 미소장 |
6 | Study on Food Intake and Food Consumption Pattern of Adults as a Part of Total Diet Study ![]() |
미소장 |
7 | Labavitch JM, Rae HL, Sessoms D (1986): Dietary fiber of prunes. California Prune Board Annual Report, pp. 59-62, Pleasanton, CA | 미소장 |
8 |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91~2001 | 소장 |
9 | Rhee JC (2001):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Korean J Med 61(2): S598-S612 | 미소장 |
10 | USDA (2005): Composition of foods, raw, processed, prepared.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18 (http://www.nal.usda.gov/fnic/foodcomp/Data/SR18/sr18.html) | 미소장 |
11 | Ly SY, Shin JR, Lim SH (2003): Effect of drinking fermented milk on the improvement of defecation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Living Science Assoc 12(2): 265-273 | 미소장 |
12 | A Study on the Defecation Pattern and Lifestyle Factors of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 소장 |
13 | Effect of Dietary Fiber Supplement on Antidepressant Induced Constipation in depressed inpatients ![]() |
미소장 |
14 |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8th revision, Seoul | 미소장 |
15 | Thompson WG, Longstreth GF, Drossman DA, Heaton KW, Irvine EJ, Muller-Lissner SA (1999):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45 Suppl 2: II43-47 | 미소장 |
16 | Consumption of prunes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in men with mild hypercholesterolemia. ![]() |
미소장 |
17 | Choi MG (2005): Diagnosis guideline of constipat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11(3): 44-50 | 미소장 |
18 | Effects of Fiber Supplements on Functional Constipation | 소장 |
19 |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 |
미소장 |
20 |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Yogurt Toward the Constip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 |
미소장 |
21 |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Dietary Fiber Intake of 3rd Grade High School Girls | 소장 |
22 | Maffia AJ (1955): Treatment of functional constipation with prunemalt. Arch Pediatr 72(10): 341-346 | 미소장 |
23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999): Report on 1998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미소장 |
24 |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 소장 |
25 | Rhim YT, Kang SY, Kim JD, Kim SS, Kim JW, Lee CY, Kim JM (2004): Effects of functional food including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on body composition concerning obesity and defecation satisfaction of women. Korea Sport Research 15(1): 903-910 | 미소장 |
26 | Effects of Herb and Fiber - Rich Dietary Supplement on Body Weight, Body Fat, Blood Lipid Fractions and Bowel Habits in Collegians | 소장 |
27 |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s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 소장 |
28 | Effect of Total Dietary Fiber on Bowel Habit and Bowel Transit in Healthy Subjects ![]() |
미소장 |
29 |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 미소장 |
30 | Constipation--an omnipresent symptom: effect of a preparation containing prune concentrate and cascarin. ![]() |
미소장 |
31 | Additional Data for the Folate Database for Foods Common in Korea | 소장 |
32 | Stacewicz-Sapuntzakis M, Bowen PE, Hussain EA, Damayanti-Wood BI, Farnsworth NR (2001):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of prunes: a functional food? Crit Rev Food Sci Nutr 41(4): 251-8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