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8
INTRODUCTION 10
MATERIALS AND METHOD 13
1. Cell culture 13
2. Transfection and Immunoprecipitation 13
3. Antibodies 14
4. Small Interfering RNAs (siRNAs) 14
5. Plasmids 14
6. Homologous Recombination and Non-homologous End Joining Assay 15
RESULTS 16
1. Screening strategy for identification of a new player in DNA damage response. 16
2. Identification of RNF126 as a novel negative regulator of iRIF of 53BP1 18
3. Aschematics of RNF126 structure 20
4. RNF126 acts between RNF8 and RNF168 during IR-induced 53BP1 foci formation 22
5. RNF126 is associated with RNF8, but not with RNF168 25
6. Self-assembly of RNF126 into inactive homodimers upon DNA damage. 27
7. RNF126 interacts with RNF8 through its central region 29
8. Regulation of RNF126-RNF8 interaction in competition-based manner 32
9. RNF126 expression negatively regulates homologousrecombination and non-homologous end joining 34
DISCUSSION 37
REFFRENCE 40
ABSTRACT IN KOREAN 43
Figure 1. Screening strategy 17
Figure 2. Identification of a negative regulator of 53BP1 foci... 19
Figure 3. Aschematics of RNF126 structure 21
Figure 4. RNF126 regulates recruitment of repair proteins to DSBs. 24
Figure 5. Identification of RNF126 as a RNF8-bindingprotein. 26
Figure 6. Self-assembly of RNF126 into inactive homodimers upon... 28
Figure 7. RNF126 interacts with RNF8 through its central region 31
Figure 8. Regulation of RNF126-RNF8 interaction in competition-... 33
Figure 9. Expression of RNF126 negatively regulates HR and NHEJ. 35
Figure 10. Working Hypothetical schematic image. 36
초록보기 더보기
인간의 유전자는 한 개의 세포 당 하루에 수만 번 이상의 DNA 손상을 입으며, 이는 DNA 손상신호전달(DNA damage responses)나 DNA 손상복구(DNA repair) 기작 등에 의해서 유전체 안정성(Genome maintenance)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NA 손상신호전달 과정 중 의도치 않은 세포 내 복구 기작을 방지하는 Negative regulator 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RNF Protein 중 하나인 RNF126 단백질이 DNA 손상신호전달 내 새로운 negative regulator 역할을 가지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RNF126을 과발현 시키고 방사선 유도(Ionizing radiation)에 노출 시켰을 때 53BP1과 RAP80 foci형성이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Homologus recombination과 non-homologous end joining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분자수준에서 RNF126 기능을 본 결과, DNA 손상 복구 기작에 중요한 역할로 알려져 있는 RNF8와 RNF168 사이에서 RNF8과 직접적인 연결을 하므로 RNF8의 활성을 조절함을 알 수 있었다. 세포 손상이 생기지 않은 보통의 상태에서는 RNF8과 RNF126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세포 내 DNA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RNF126과 RNF126 결합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NF8과 RNF126이 연결하는 도메인과 RNF126이 스스로 호모 다이머(homo-dimer)를 형성하는 도메인이 같음을 통하여 RNF8과 RNF126이 DNA 복구 기작에서 경쟁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결론적으로, RNF126이 RNF8과의 결합 또는 분리를 통하여 RNF8 활성을 조절 하게 되고, DNA 손상신호전달 기작 내에 RNF126이 Negative regulator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