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약어표기 10
I. 들어가는말 11
1. 연구 목적 및 연구 범위 11
2. 연구 방법론 14
II. 시편 51편의 본문 연구 17
1장 본문 번역과 본문 비평 17
1.1. 시편 51편의 번역: 히브리시 악센트 표기를 기준으로 구분 17
1.2. 본문 비평 19
2장 시편 51편의 저자, 저작 연대, 장르 및 구조 24
2.1. 저자(auctor) 24
2.1.1. 개인으로서 다윗 24
2.1.2. 이스라엘 왕으로서 다윗 26
2.1.3. 제사장이 제의적 목적으로 기록하였을 가능성 28
2.1.4. 소결론: 왕이자 대제사장으로서의 다윗 29
2.2. 저작 연대 31
2.3. 장르 33
2.2.1. 개인 애가로 보는 경우 34
2.2.2. 공동체 애가로 분류하는 경우 34
2.2.3. 기타 분류 35
2.4. 구조분석 37
2.4.1. 김정우의 분석 38
2.4.2. 가이저의 분석 39
2.4.3. 연구자의 분석 40
3장 시편 51편 주석 45
3.1. 표제 45
3.2. 본문 주석 48
3.2.1. 부정: 부정의 상태에서의 죄고백 (3-11절) 48
3.2.2. 정결: 정결의 상태로의 간구 (12-14절) 55
3.2.3. 거룩: 거룩한 삶을 서원함 (15-17절) 58
3.2.4. 회복I: 참된 영적인 제사 (18-19절) 60
3.2.5. 회복II: 시온의 회복 (20-21절) 61
III. 시편 51편의 문학과 신학 63
1장 시편 51편의 문학적 배경 63
1.1. 시편 51편의 문학적 위치와 의의 63
1.2. 시편 50편의 빛에서 본 51편 64
1.3. 시편 51편과 52편과의 관계 65
2장 시편 51편의 제의적 배경 67
2.1. 궁켈(H. Gunkrl) 67
2.2. 모빙켈(S. Mowinckel) 69
2.3. 바이저(A. Weiser) 69
2.4. 크라우스(J. Kraus) 70
2.5. 제사의식 및 언약과 관련된 용어 71
2.6. 소결론 77
3장 시편51편의 정경적 해석 80
3.1. 시편 51편과 사무엘하 11-12장의 관계 82
3.2. 시편 51편의 정경적 해석과 기여 84
IV. 시편 51편의 신학적 기여 : 회복의 신학 86
1. 성령을 통한 회복 87
2. 회개를 통한 회복 88
3. 온전한 제사의 회복 89
4. 시온의 회복 90
5. 새창조를 통한 회복 92
6. 소결론 94
V. 나가는말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5
〈표 2-1〉 시편 51편의 양식 분석 도표 35
〈표 2-2〉 51편의 구조 분석: 개인의 회개가 공동체의 제사로 나아가는 과정 43
〈표 2-3〉 $$에 대한 역본의 해석의 변천(이미지참조) 57
〈표 2-4〉 시편 51:12-14의 역본의 해석의 변천 57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