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선행연구 13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6
제2장 자료 및 기초분석 17
제1절 연구대상 표본선정과 자료 17
제2절 자료의 기초통계 및 상관관계 20
제3절 개별자료의 추세분석 23
(1) 해약률과 물가상승률 24
(2) 해약률과 실업률 25
(3) 해약률과 실질이자율 26
(4) 해약률과 동행종합지수 27
(5) 해약률과 선행종합지수 28
제3장 경제변수와 해약률간의 실증분석 29
제1절 단위근 검정 29
제2절 실증분석 결과 32
제 4장 경제정책과 해약률간의 실증분석 35
제1절 개인연금저축 및 소득공제정책 35
(1) 개인연금저축 35
(2) 소득공제정책 36
제2절 실증분석 결과 38
제5장 결론 45
참고문헌 48
〈그림 1〉 개인연금저축 및 일반연금 해약률 추이 19
〈그림 2〉 물가상승률 추세분석 24
〈그림 3〉 실업률 추세분석 25
〈그림 4〉 실질이자율 추세분석 26
〈그림 5〉 동행종합지수 추세분석 27
〈그림 6〉 선행종합지수 추세분석 28
본 논문은 경제변수 및 국가의 소득공제 정책이 개인연금저축의 해약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선형모형을 설정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물가상승률, 실질이자율, 실업률, 동행종합지수, 선행종합지수를 경제변수로 사용하고, 소득공제 정책을 더미변수로 사용하여 개인연금저축의 해약률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경제변수가 개인연금저축의 해약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두 번째 분석에서는 첫 번째 분석에 추가적으로 국가의 소득공제 정책의 변화를 더미변수로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분석 모두 물가상승률, 실질이자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해약률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연금의 실질가치 하락 및 보험유지를 위한 기회비용의 증가가 개인연금저축 해약유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업률의 경우 첫 번째 분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해약률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동행종합지수와 해약률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관계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국가의 정책적 측면을 살펴보면 보장성보험과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혜택한도의 증가는 해약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국가의 소득공제 정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