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기초노령연금법제의 개선방안 연구 = (A)study on the improvement of basic old-age pensions / 정현명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2
청구기호
TD 340 -14-342
형태사항
xv, 24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1699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2014.2. 지도교수: 채우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ABSTRACT 15

제1장 서론 18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8

1.2. 연구의 방법 21

1.3. 연구의 범위 22

제2장 기초노령연금제도의 규범적 고찰 25

2.1. 서언 25

2.2. 헌법과 기초노령연금제도 27

2.2.1. 사회국가원리와 노인에 대한 특별한 보호요구 27

2.2.2. 고령사회와 사회적 기본권 30

2.2.3. 사회적 기본권과 노인의 권리 33

2.2.4. 사회적 기본권 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35

2.3. 사회보장법과 기초노령연금제도 36

2.3.1. 사회보장법의 정의 36

2.3.2. 사회보장법의 기본이념 38

2.3.3.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보장법의 가치 41

2.3.4. 사회보장법의 분류 43

2.3.5. 사회보장수급권 48

2.4. 기초노령연금법의 법체계적 지위 51

2.4.1. 기초노령연금의 의의 51

2.4.2. 기초노령연금법의 연혁 53

2.4.3. 기초노령연금법의 법적 지위 62

2.5. 소결 67

제3장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70

3.1. 서언 70

3.1.1. 노인소득보장의 필요성 70

3.1.2.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의의 72

3.1.3.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발전과정 74

3.2.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현황 78

3.2.1. 공적연금제도의 개요 78

3.2.2. 국민연금제도 79

3.2.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86

3.2.4. 기초노령연금제도 90

3.3. 노후최저소득보장제도의 해외 입법례 91

3.3.1. 서설 91

3.3.2. 영국의 노후소득보장제도 93

3.3.3. 캐나다의 노령보장제도 97

3.3.4. 미국의 공적노후소득보장제도 99

3.3.5. 독일의 기초보장제도 103

3.3.6. 스웨덴의 노후소득보장제도 106

3.3.7. 일본의 국민연금(기초연금)제도 113

3.4. 소결 116

제4장 기초노령연금법의 과제와 각종 개선방안 비교 평가 121

4.1. 기초노령연금법의 현황 121

4.1.1. 개요 121

4.1.2.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요건 및 수급자 현황 123

4.1.3. 급여 수준과 급여지급현황 125

4.1.4. 국고보조 지원현황 128

4.2. 현행 기초노령연금법의 문제점 130

4.2.1. 급여수준의 한계 130

4.2.2. 재원조달 방식의 문제 131

4.2.3. 노후보장의 양극화 134

4.2.4. 선별적 기초노령연금제도의 문제점 135

4.3. 각종 개선방안의 비교 평가 136

4.3.1. 기초노령연금법 개정 논의에 대한 개요 136

4.3.2. 야당 및 노동시민단체 등의 개선방안 검토 140

4.3.3. 박근혜정부 인수위원회의 개선방안 검토 146

4.3.4. 정부의 개선방안 검토 153

4.4. 소결 178

제5장 기초노령연금법제의 개선방안 182

5.1. 노후소득보장체계의 개선방향 182

5.1.1. 기초노령연금제도 개선의 필요성 182

5.1.2. OECD와 국제기구 등의 연금개혁 권고안 184

5.1.3. 노후소득보장체계의 재구축 방안 188

5.2. 기초노령연금제도의 개선방안 191

5.2.1. 기초노령연금제도 개선방안의 주요 논점 191

5.2.2. 선별적 공공부조안과 보편적 기초연금화 방안의 비교평가 194

5.2.3. 개선방안으로서의 보편적 기초연금제 도입 199

5.2.4. 국민연금과의 연계 문제 203

5.2.5. 재원조달의 문제 205

5.3. 소결 210

제6장 결론 214

참고문헌 220

부록 234

[표 2-1] 2007년 초 기초연금관련 다양한 개선안 60

[표 3-1] 국민연금가입자 현황 81

[표 3-2] 사회보장연금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별 수급자비울 101

[표 3-3] SSI의 소득원천별 월평균급여와 총지급액 103

[표 3-4] 6개국의 노후최저소득보장제도 운영현황 비교 118

[표 4-1] 단계별 기초노령연금 수급률 122

[표 4-2] 가구별 선정기준액 123

[표 4-3] 연도별 수급자 현황 124

[표 4-4] 연도별 국민연금 A값의 변동내역 125

[표 4-5] 가구별 급여수준 126

[표 4-6] 연금액별 수급자 현황 127

[표 4-7] 연도별 동시수급자의 현황 128

[표 4-8] 국고 차등보조 현황(2012년도 기준) 129

[표 4-9] 시도별 급여 집행액 현황(2012년 결산기준) 133

[표 4-10] 「기초노령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 현황(제18대 국회 기준) 139

[표 4-11] 민주당 기초노령연금 개편관련 2012년 대선 공약 141

[표 4-12] 노인인구의 소득구간별 분포(2012.12) 142

[표 4-13] 기초연금 기본액-단신기준 149

[표 4-14] 수급자 중복조정을 감안한 기초연금 기본액 150

[표 4-15] 첫째 안 재정 소요 155

[표 4-16] 둘째 안 재정 소요 155

[표 4-17] 셋째 안 재정 소요 156

[표 4-18] 기초연금법 입법예고안과 최종정부안(국무회의 의결안) 비교표 160

[표 4-19] 박근혜정부의 기초연금 논의 과정 비교 163

[표 4-20]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연금 비교 166

[표 4-21] 기초연금 국회예산정책처 재정전망 167

[표 4-22]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연금 수급액 비교 173

[표 4-23] 최근 5년간 국민연금가입자 현황 175

[표 4-24] 2012년 지역별 고령화 순위 177

[표 5-1] 연령대별 자살률의 추이 183

[표 5-2]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전망 195

[표 5-3] 주요국가의 65세 이상 인구비율 206

[표 5-4] 한국 및 외국 공적연금 지출액의 GDP 비중 추계(2012~2060) 207

[표 5-5]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8

[표 5-6] 기초연금 논의(안)별 비교 209

[그림 3-1] 독일의 다층연금제도 체계 현황표 104

[그림 3-2] 재정방식으로 구분한 스웨덴 연기금 및 연금제도 108

[그림 3-3] 일본의 노후소득보장체계 및 가입자 규모(2011년 3월 기준) 114

[그림 4-1] A값과 물가상승률에 따른 기초연금액 추이 170

초록보기 더보기

 현행 기초노령연금제도는 노인빈곤의 해소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의 감소를 보완하려는 목적으로 2007년에 도입되고 2008년부터 시행되어 온 사회보장제도이다. 현재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수준 하위 70%의 노인을 포괄하여 급여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OECD 기준 최저 빈곤율과 가장 높은 노인 자살률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노인빈곤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많은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많은 부분이 기초노령연금을 포함한 열악한 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기인하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현행 기초노령연금법의 개정 등 노후소득보장체계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서만 이루어 질 수 있다.

기초노령연금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2012년 18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는 각 당의 대선후보들이 경쟁적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초연금제 도입을 노인복지를 위한 핵심공약으로 제시하기도 했었다. 현 정부에서도 현행 기초노령연금법을 대체할 기초연금 제정안을 만들어 입법 예고를 거치는 등 공론화하여 2014년 7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그러나 수개월여에 걸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정부의 국민행복연금위원회라는 특별 기구에서 숱한 논의를 거친 후 만들어 낸 최종 정부안은 더 큰 논쟁을 유발시키고 있다. 기초연금법 정부안은 공약파기 논란과 함께 현재의 기초노령연금보다도 후퇴한 개악안이라는 여론의 비판으로 원점에서 재 논의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향후 국회 논의 과정에서 어떻게 내용이 달라질지는 모르겠지만 노후빈곤 해소를 위한 제도적 개선안이 쉽게 마련될 것 같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정부여당과 야당 그리고 시민단체 등의 다양한 개선 방안들을 검토 분석한 후,기초연금법 정부안에 대한 평가와 문제점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나름대로 도출해 낸 기초노령연금제도의 대안은 보편적방식의 사회수당형 기초연금제 도입이라 본다. 65세 이상 모든 노인들에게 일정액을 국민연금 등의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조세를 재원으로 하여 지급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기초노령연금제도의 법적 개선방안으로서는 일정연령 이상의 모든 노인에게 조세를 재원으로 하여 정액급여를 제공하는 사회수당방식의 기초연금제 도입이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최소한의 노후소득보장을 노인들에게 확보해 주기 위해서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통합하여 우리나라의 노후소득보장체계를 근본적으로 재구축해야만 할 것이다.

참고문헌 (18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사회복지법제론」,양서원,2007 미소장
2 「사회보장법」,고시계사,2010 미소장
3 「헌법학원론」,법문사,2010 미소장
4 국민연금연구원,「각국 기초노령연금제도 비교 및 시사점」,2007 미소장
5 국민연금연구원,「외국의 공공부조방식 노후소득보장제도」,2007 미소장
6 국민연금연구원,「OECD 주요국의 공적연금제도와 개혁 동향」,2012 미소장
7 「현대의 사회학」,박영사,1992 미소장
8 「행정법 Ⅱ」제15판,법문사,2011 미소장
9 「사회복지법제론」,홍익제,1991 미소장
10 공적연금의 이해 네이버 미소장
11 노령기초소득보장제도의 국제비교연구 네이버 미소장
12 「한국사회보장법론」,법문사,2002 미소장
13 「일본의 공적연금법제의 개혁과 과제」,한국법제연구원,2004 미소장
14 「국민 노후보장을 위한 노인특별공공부조 제도도입에 대한 연구;국민노후생활보장지원제도」,통합진보당연구보고서,2013 미소장
15 「저녁이 있는 삶」,폴리테이아,2012 미소장
16 「현대 한국사회복지국가의 제도적 전환」,서울대출판문화원,2012 미소장
17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역사와 자료」,나남,2008 미소장
18 「현세대 노인의 빈곤 실태 및 소득보장방안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미소장
19 OECD 국가의 노후최저소득보장제도 운영 현황과 시사점 네이버 미소장
20 고령시대를 대비한 소득보장체계 구축방안 네이버 미소장
21 사회보험형 및 사회수당형 기초연금 도입시 예상효과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2 「고령사회를 대비한 한국적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7 미소장
23 「노후준비 실태를 반영한 노후소득보장체계구축방안 노후소득보장제도와 관련 복지제도간 연관성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2011 미소장
24 「사회복지법제론」,나남,2013 미소장
25 「사회보장법」,법문사,2012 미소장
26 「헌법과 사회복지법제」,세창출판사,2010 미소장
27 「사회보장법」,신조사,2011 미소장
28 「독일사회보장법론」,법문사,1994 미소장
29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박영사,2008 미소장
30 「한국사회보장법론」제9판,집현재,2012 미소장
31 해외 공·사연금제도 Ⅰ(유럽) : 스웨덴, 영국, 독일, 스위스 네이버 미소장
32 「노후소득보장 강화를 위한 경로연금 개편방안」,보건사회연구원,2007 미소장
33 「행정법개론」제5판,법문사,2011 미소장
34 「한국헌법론」,박영사,2012 미소장
35 「헌법학」,현암사,2008 미소장
36 「행정법원론(상)」,박영사,2012 미소장
37 「政策視點의 老年學」,성원사,1992 미소장
38 「사회복지학총론」,이론과 실천,1992 미소장
39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과제」,성균관대출판부, 2011 미소장
40 「법치국가와 인간의 존엄」,삼영사,1994 미소장
41 강성태,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법적의의와 쟁점”,한국노동연구원 개원 23주년 기념 토론회 자료집,한국노동연구원,2011 미소장
42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의 의의 및 향후 과제”,개정 사회보장기본법에 관한 정책토론회 자료집,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미소장
43 Study on the Role and Task Social State Unification Germany 소장
44 “기초노령연금 도입 현황과 향후 발전방향”,「연금포럼」제28호,국민연금공단,2008 미소장
45 The Fiscal Impact of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on Local Governments 소장
46 “기초노령연금과 국민연금간 보완적 발전방향”,「국민연금재정계산 장기재정추계 및 운영개선방향보고서」,국민연금운영개선위원회,2008 미소장
47 노후소득보장체계에 대한 평가와 과제 네이버 미소장
48 “노령기초소득보장제도의 국제비교연구”미국편,국민연금연구원 정책보고서,2007 미소장
49 국민연금바로세우기 국민행동,“기초노령연금 주요쟁점에 대한 노동시민단체 입장발표문”,「복지동향」,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2013.2월호 미소장
50 “사회국가와 사회행정법”,「행정법의 기본문제」,법문사,1989 미소장
51 입법학의 관점에서 본 공공조달법제 : Luc Wintgens의 'legisprudence' 이론을 중심으로 소장
52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형성과정분석 : 노인복지법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53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안전망의 구축 소장
54 방향이 잘목 설정된 국민연금 개혁 논의 소장
55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의 개편방향”,「한국사회복지의 현실과 선택」,나눔의 집,2007 미소장
56 대량의 노인빈곤 유발할 기초노령연금 축소 방안 소장
57 김연명,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공적연금제도의 개선방안 발표문”국회연금특위 주최공청회,2011 미소장
58 김연명, “기초노령연금 인상 논란?악마는 다른 곳에 있다”,오마이뉴스 2013.1.17일자 기고문 미소장
59 김연명, “박근혜표 행복연금, 국민연금가입자만 손해다”, 오마이뉴스 2013.2.27일자 기고문. 미소장
60 김연명, “기초연금도입 어떻게 할 것인가”국회 양승조 박완주의원 주최 기초연금도입 개선방안 토론회 토론문,2013 미소장
61 “다층노후소득보장 구축방안:공적연금(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을 중심으로”,한국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자료집,2012 미소장
62 김원섭, “박근혜정부의 기초노령연금 개편공약 어떻게 할 것인가”,국회 양승조 박완주의원 주최 정책토론회 발표문,2013 미소장
63 박근혜 정부의 기초연금 대안과 개선방향 소장
64 빈곤과 기초노령연금법 소장
65 Policy Issues for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소장
66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관련법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과제 소장
67 Social security as the solution and Social problems of aging 소장
68 “노인복지법 재개정 필요하다”,국회사무처 국회보,2001 미소장
69 남찬섭, ‘기초노령연금과 국민연금 통합해야’,한겨레신문 2009.12.16일자 기고문 미소장
70 Social Cohesion in Korea : Problems and Policy Responses 소장
71 “공적연금법제의 현황과 과제”,「법제연구」제27호,한국법제연구원, 2004 미소장
72 빈곤과 국민연금법 소장
73 “왜 2009년 공무원연금제도개혁은 점진적 개혁에 머물렀는가? 정책결정과정의 정치·제도적 특성을 중심으로”,「한국정책학회보」제20권... 미소장
74 “사회보험법과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기본원리에 입각한 현행사회보험법제 검토 ”,한국사회보장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2 미소장
75 박병현, ‘국민연금과 노인이 살기 힘든 나라’,2013.10.23일자 내일신문 기고문 미소장
76 “노인복지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4 미소장
77 “지방자치단체 기초노령연금 지출과 문제점 분석”,「재정지출 동향분석」3호,한국개발연구원,2008 미소장
78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문제와 개혁방안 소장
79 노령기초소득보장제도의 국제비교연구 네이버 미소장
80 입법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변화 연구 : 제17대, 18대 국회를 중심으로 소장
81 “고령사회대책기본법 제정검토 및 노인보건복지종합대책”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2 미소장
82 “노인빈곤해소를 위한 노후최저소득보장제도의 구축방안 검토”,2013 미소장
83 “노령소득보장체계의 재구축과 경로연금제도의 발전방향”,「사회복지학」통권 제50호,한국사회복지학회,2002 미소장
84 “한국의 정치체제변동과 사회정책의 변화”,「체제변동의 정치사회학」, 한울,1995 미소장
85 “고령자의 사회보장권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7 미소장
86 고령자 보호에 관한 사회법적 소고 소장
87 노후소득보장수단으로서의 기초노령연금에 관한 연구 소장
88 “한국 노후소득보장의 현황과 대안”,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2011 미소장
89 社會葛藤과 政府의 葛藤管理;行政學 소장
90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역사, 문제점 그리고 대안의 모색 소장
91 양재진, “한국복지국가 전략의 성찰과 모색”,사회디자인연구소 세미나 발표문,2011.3 미소장
92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정치경제학”,「한국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한국복지국가연구회,아연출판부,2012 미소장
93 “국민연금의 강화를 위한 다층구조의 재설계”,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2013 미소장
94 오건호, “박근혜,복지국가기둥 세우는 척하다 뽑아버려”,프레시안 2013.2.28일자 미소장
95 “기초노령연금 인상방안:쟁점과 과제”,「이슈와 논점」제266호, 국회입법조사처,2011 미소장
96 “기초연금 도입관련 쟁점과 과제”,「이슈와 논점」제602호,국회입법조사처,2013 미소장
97 A Discussion on National Pension Fund Management with an Alternative View to Government Pension Policy Direction 소장
98 Comparative Study on the Older Citizens Act Between Korea and U. S. A. - Proposing Some Comments Related to the Amendments of the Older Koreans Act - 소장
99 노후소득보장제도 유형별 연금제도 개혁 특성 : 유럽연합 국가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100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발전방향: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의 관계설정을 중심으로”,문형표(편)「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에 관한... 미소장
101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공적연금제도 개선 방안 : 제19대 국회 보건복지 쟁점과 과제 토론회 소장
102 The OECD Proposal on Korean Pension Reform Direction: The Past and Now 소장
103 Key Issues and Prospects of Old-age Income Support Programs 소장
104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의 재구조화 관련 주요쟁점과 전망”, 「보건복지포럼」,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미소장
105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의 재구조화 방안”,한국연금학회 정책세미나 자료집,2013 미소장
106 “사회복지법의 체계화 방안 사회복지법의 체계화는 가능할 것인가?”,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자료집,1994 미소장
107 “노인복지법제의 문제점과 대안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상황과 현장 미소장
108 “기초노령연금의 존재 의의와 재편방안”,「KDIFocus」,한국개발연구원,2011 미소장
109 체계이론과 사회통합 네이버 미소장
110 사회통합에서 본 사회보장법 소장
111 기초노령연금정책결정에 관한 사회연결망 분석 소장
112 “사회정의와 사회법”,「법학논집」이철원선생 기념논문집,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1993 미소장
113 “다층연금체계 구축;내실화 과제를 중심으로”,한국연금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2011 미소장
114 Review and outlook on proposal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team on introduction of a basic pension scheme 소장
115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 : 지정토론요지 소장
116 기초노령연금정책의 의제설정과 정책결정에 관한 인지지도분석 소장
117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제의 현황과 과제 소장
118 “기초노령연금 재원분담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간의 형평성”,「한국지방자치학보」제22권 제4호,한국지방자치학회,2012 미소장
119 “사회보장법과 헌법의 규범력”,「연세법학연구」창간호,1981 미소장
120 西獨 社會保障法의 體系的 理解를 위한 試論 소장
121 “한국 노령보장법제의 현황과 과제 소득보장을 중심으로”,한림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와 한림과학원이 공동주최한 「복지국가의 현재와... 미소장
122 韓國 老齡保障法制의 現況과 課題 네이버 미소장
123 “빈곤문제와 법학의 과제”,「사회보장법학」,한림대출판부,1993 미소장
124 “사회보장의 소득재분배구조에 대한 헌법적 접근”,「사회보장법학」,한림대출판부,1993 미소장
125 “재산권과 사회보장청구권”,「사회보장법학」,한림대출판부,1993 미소장
126 韓國社會保障法의 現況과 課題 소장
127 “고령사회의 법학의 과제 연구의 제안”,「고령사회의 도래와 각국의 입법적 대응 및 현황Ⅱ」,한국법제연구원,2003 미소장
128 “사회적 기본권과 헌법재판”,「헌법논총」제19집,헌법재판소, 2008 미소장
129 “헌법 제119조”「헌법주석서 Ⅳ」,법제처,2010 미소장
130 사회복지법의 규범체계와 과제 소장
131 持續可能性과 世代間 正義 소장
132 한국 노인복지법제의 현황과 과제 : 소득보장을 중심으로 소장
133 “2011년 인구추계에 기초한 기초노령연금제도 개편대안 비교”, 「한국정책연구」제12권 1호,경인행정학회,2012 미소장
134 An Analytical study of Current Public Assistance 소장
135 신자유주의 시대의 연금개혁 : 노후보장의 시장화, 개별화, 금융화 소장
136 기초노령연금 개혁 논쟁 :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소장
137 “기초노령연금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고려대 노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138 국가의 과세권과 국민주권주의에 관한 연구 소장
139 헌법재판소,「사회보험법의 헌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헌법재판소, 2000 미소장
140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Security Legislation and Making Some Suggestion 소장
141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 국가의 노인보호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소장
142 "A New Theoretical Approach to Legislation",European Academy of Legal Theory Series, Hart Publishing 2002. 미소장
143 OECD Country Review(August 2001),OECD Economic Surveys; Korea, 미소장
144 OECD,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2 미소장
145 OECD, Pensions at a Glance 2011. 미소장
146 OECD, “Diveded we stand: why inequality keeps rising,” Country note: Korea, 2011 미소장
147 OECD, Framework for Growth 미소장
148 UN DESA, World Economic and Social Survey 2007 Development in an Ageing World, E/2007/50/Rev.1, ST/ESA314,2007 미소장
149 "Ageing and the welfare state: securing sustainability",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26(4). 미소장
150 "Poverty and income of older people in OECD countries",(March 26,2009) 미소장
151 국민연금공단,「2012국민연금 통계연보」,2013 미소장
152 국민연금 기초노령연금통합 및 재구조화 소위원회,「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 통합 및 재구조화방안」,보건복지부 ,2008 미소장
153 국회예산정책처,「2014년도 예산안 부처별 분석 Ⅳ」,2013 미소장
154 국회 김성주의원실 2013.10.24일자 보도자료 ‘기초연금 연계로 국민연금이 흔들린다’ 미소장
155 국회 남윤인순 국회의원,2013.10.13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56 국회 이언주·김용익(민주당)의원,2013.10.13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57 국회 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2013.9.12(의안번호6813)발의 미소장
158 김용익의원 대표발의 기초노령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5464),2013.6.13일자 미소장
159 보건복지부,2013.6.18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60 보건복지부,2013.7.17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61 보건복지부,2013.9.25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62 보건복지부,“기초연금 도입을 위한 「기초연금법」제정안 입법 예고”, 2013.10.2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63 보건복지부,“「기초연금법안」및 「장애인연금법」일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2013.11.19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64 보건복지부,「2012년 보건복지백서」,2013 미소장
165 2012년 기초노령연금 통계연보 네이버 미소장
166 보건복지부,「통계로 본 2012년 기초노령연금」,2013 미소장
167 보건복지부 고시,제201196호,2011.8.31일자 미소장
168 보건복지부공고,제2012301호,2012.5.2일자 미소장
169 보건복지부공고,제2013479호,기초연금법 제정(안)입법예고 미소장
170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2013.2.27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171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박근혜정부 희망의 새 시대를 위한 실천과제」,인수위백서,2013 미소장
172 통계청,‘2013고령자 통계’,2013.9.30일자 통계청 보도자료 미소장
173 OECD,「OECD 한국경제보고서」,2012.4. 미소장
174 경향신문,2013.10.5일자 미소장
175 노컷뉴스,2013.10.8일자,2013.11.5일자 미소장
176 내일신문,2013.9.30일자,2013.11.5일자,2013.11.6일자 미소장
177 동아일보,2013.10.5일자 미소장
178 서울신문,2013.10.3일자 미소장
179 세계일보,2013.10.5일자 미소장
180 연합뉴스,2013.10.1일자,2013.11.5일자,2013.11.10일자 미소장
181 조선일보,2013.6.20일자 미소장
182 중앙일보,2013.10.4일자 미소장
183 한국경제신문,2012.4.16일자. 미소장
184 국민연금 홈페이지(www.nps.or.kr) 미소장
185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 미소장
186 OECD 홈페이지(www.oecd.org/) 미소장
187 Guardiancich,2010;www.ose.be. 미소장
188 www.helpage.org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