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ABSTRACT 10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 문제 18

II. 이론적 배경 20

1. 부모교육의 개념과 실태 20

1) 부모교육의 개념 20

2) 부모교육 실태 22

2. 예비부모교육의 의미와 내용 26

1) 예비부모교육의 의미 및 필요성 27

2) 예비부모교육의 현황 및 내용 33

3)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37

III. 연구방법 42

1. 연구대상 42

2. 연구도구 43

3. 연구절차 44

1) 예비조사 45

2) 본 조사 45

4. 자료처리 46

IV. 연구결과 및 해석 47

1.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개인 배경에 따른 인식 차이 47

1-1.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인식 47

1-2.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연령별 인식 차이 49

1-3.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51

1-4.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부모유형별 인식 차이 53

1-5.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교육경험별 인식 차이 55

1-6.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최종학력별 인식 차이 57

2. 부모유형별(예비부모, 부모, 조부모) 예비부모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차이 59

2-1. 예비부모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59

2-2. 부모유형별 자기이해 교육내용 인식 차이 60

2-3. 부모유형별 배우자 선택 및 결혼 교육내용 인식 차이 61

2-4. 부모유형별 임신과 출산 교육내용 인식 차이 62

2-5. 부모유형별 양육 교육내용 인식 차이 63

2-6. 부모유형별 부모역할 교육내용 인식 차이 64

V. 논의 및 결론 66

1. 논의 66

2. 결론 및 제언 67

1) 결론 67

2) 제언 69

참고문헌 71

부록 75

〈표 II-1〉 부모교육 관련 기관 23

〈표 II-2〉 예비부모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37

〈표 III-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42

〈표 III-2〉 예비부모교육내용 인식 문항 및 신뢰도 44

〈표 IV-1〉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인식 47

〈표 IV-2〉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연령별 인식 차이 49

〈표 IV-3〉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51

〈표 IV-4〉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부모유형별 인식 차이 53

〈표 IV-5〉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교육경험별 인식 차이 55

〈표 IV-6〉 예비부모교육 요구에 대한 최종학력별 인식 차이 57

〈표 IV-7〉 예비부모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59

〈표 IV-8〉 부모유형별 자기이해 교육내용 인식 차이 60

〈표 IV-9〉 부모유형별 배우자 선택 및 결혼 교육내용 인식 차이 61

〈표 IV-10〉 부모유형별 임신과 출산 교육내용 인식 차이 62

〈표 IV-11〉 부모유형별 양육 교육내용 인식 차이 63

〈표 IV-12〉 부모유형별 부모역할 교육내용 인식 차이 64

[그림 IV-1] 예비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 59

[그림 IV-2] 부모유형별 자기이해 교육내용 인식 차이 60

[그림 IV-3] 부모유형별 배우자 선택 및 결혼 교육내용 인식 차이 61

[그림 IV-4] 부모유형별 임신과 출산 교육내용 인식 차이 62

[그림 IV-5] 부모유형별 양육 교육내용 인식 차이 63

[그림 IV-6] 부모유형별 부모역할 교육내용 인식 차이 64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와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부모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부모유형별 273명에 대해 관련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배경을 볼 때,연령별,부모유형별,최종학력별 항목에서 의무적 시행, 시기, 실시기관, 형식, 참가자 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부모유형별로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필요는 모두 높은 요구를 나타냈고, 국가의 의무적 시행을 요구도가 높으며, 교육 시기는 결혼날짜를 잡은 이후를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또한 실시기관은 국가가 정한 기관으로, 횟수는 2~5회, 교육의 형태는 소그룹 워크삽으로, 교육에 함께 참가하고 싶은 대상으로는 배우자(예비배우자)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부모교육의 필요 요구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므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정상적인 단계에 따라 결혼을 하며 아이를 낳아가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성인이 되어 부모가 되기 전 예비부모교육을 받아 아이를 양육하므로 바른 가정과 사회의 모습을 세울 수 있음을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예비부모교육의 교육내용 인식에서 항목별, 부모유형별 차이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그러나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욕구가 강하게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유형별 인식 차이 없이 모두가 함께 원하는 예비부모교육이 결혼날짜를 잡은 후 배우자(예비배우자)와 함께 의무적으로 국가가 정한 기관에서 이루어진다면 생명에 대한 소중한 가치를 알고, 자기를 존중할 줄 알며, 아이들을 바르게 양육하며 바른 부모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중요하고 필요한 욕구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예비부모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예비부모, 부모, 조부모 모두 인식 차이 없이 예비부모교육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예비부모들의 욕구에 비해 교육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지않아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함을 또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가 의무적으로 시행하기를 원하는 욕구를 밝힌 것이 이 연구의 성과라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