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1장 서론 12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1.2. 철근이음별 주요 특징 15
1.3. 기계식 이음의 현장시공 선조립 일례 17
1.4. 국내·외 연구동향 18
1.4.1. 국내의 경우 18
1.4.2. 일본의 경우 18
2장 철근이음의 구조 일반사항 20
2.1. 기계적 이음의 요구조건 20
2.2. 기둥철근이음에 관한 특별규정 20
2.3. 내진설계시 특별 고려사항 21
2.3.1. 적용범위 및 일반규정 21
2.3.2. 기계적 이음 22
2.3.3. 휨과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골조의 요구사항 22
2.3.4. 휨과 축력을 받는 중간모멘트골조의 요구사항 23
2.4. 휨과 축력을 받는 기둥의 설계식 25
2.4.1. 일반 설계 개요 25
2.4.2. 축력과 모멘트 산정 절차 27
2.4.3. 강도감소계수 32
2.5. P-M상관 곡선의 계산(일례) 33
2.5.1. 조건 33
2.5.2. 계산 33
2.6. P-M상관곡선의 계산 결과 47
3장 기계식 이음을 갖는 RC기둥의 실험 50
3.1. 실험계획 50
3.1.1. 실험체 50
3.1.2. 실험체 형상 및 변수 51
3.1.3. 실험체 제작 53
3.2. 구조실험 계획 55
3.2.1. 실험체 설치 55
3.2.2. 측정계획 57
3.2.3. 하중 가력 계획 60
3.3. 소재시험 결과 62
3.3.1. 콘크리트 압축시험 62
3.3.2. 강재의 인장시험 63
3.4.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결과 64
1) U0D560XN-1실험체 66
2) J0D560SN-2실험체 68
3) J0D560SF-3실험체 70
4) L0.7M560XN-4실험체 72
5) J1.5D560SN-5실험체 74
6) J1.5D560SF-6실험체 76
7) L0.98M530XN-7실험체 78
8) J1.5D530SN-8실험체 80
9) J1.5D530SF-9실험체 82
10) L0.56M460XN-10실험체 84
11) J1.5D460SN-11실험체 86
12) J1.5D460SF-12실험체 88
3.5. 주철근의 파괴모드 90
3.6. P-M상관식에 의한 계산값과 실험값의 비교 96
1) SD 500강재와 콘크리트 60MPa적용 조건 96
2) SD 500강재와 콘크리트 30MPa적용 적용 조건 97
3) SD 400강재와 콘크리트 60MPa적용 적용 조건 97
4장 기계식 이음을 갖는 RC기둥의 결과분석 및 고찰 104
4.1. 에폭시 충전 유무에 따른 비교 104
4.2. 콘크리트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비교 108
4.3. 철근 인장강도 변화에 따른 비교 111
4.4. 기계식 이음재의 이음 위치에 변화 따른 비교 113
4.5. 실험체별 강도조합에 따른 모멘트 상승값 비교 116
5장 결론 118
참고문헌 120
Abstract 122
첨부_실험체 제작도면 125
표 1.1. 철근 이음별 특징 15
표 1.2. 국내∙외 연구동향 19
표 2.1. Єsi=0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34
표 2.2. Єsi=-0.25ey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35
표 2.3. Єsi=-0.5ey일 때(균형변형률 상태) 내력산정(이미지참조) 36
표 2.4. Єsi=-0.75ey일 때(균형변형률 상태) 내력산정(이미지참조) 37
표 2.5. Єsi=-ey일 때(균형변형률 상태) 내력산정(이미지참조) 38
표 2.6. Єsi=-1.25ey 일 때(균형변형률 상태) 내력산정(이미지참조) 39
표 2.7. Єsi=-1.5ey 일 때(균형변형률 상태)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0
표 2.8. Єsi=-1.75ey 일 때(균형변형률 상태)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1
표 2.9. Єsi=-2ey 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2
표 2.10. Єsi=-2.5ey 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3
표 2.11. Єsi=-3ey 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4
표 2.12. Єsi=-3.5ey 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5
표 2.13. Єsi=-4ey 일 때 내력산정(이미지참조) 46
표 2.14. P-M곡선 해석을 위한 조건 47
표 3.1. 실험체 일람 52
표 3.2. 횡력 및 축력 도입을 위한 시험장비 56
표 3.3. 콘크리트 소재시험 63
표 3.4. 철근소재시험 64
그림 1.1. 기계식 이음 형상(일례, ACE JOINT) 13
그림 1.2. 철근 선조립공법 현장 사진 17
그림 2.1. 중간모멘트골조 배근상세 24
그림 2.2. 휨과 축하중을 받는 기둥 27
그림 2.3.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 29
그림 2.4. 휨과 축하중을 받는 기둥의 공칭강도 상관곡선 31
그림 2.5. 변화구간 단면의 강도감소계수 32
그림 2.6. RC기둥의 단면 및 철근중심까지 거리 34
그림 2.7. 기둥의 P-M상관곡선 48
그림 3.1. 중간모멘트골조시스템의 철근배근 상세 51
그림 3.2. 시험체 제작 과정 55
그림 3.3. 실험체 세팅 56
그림 3.4. 변위계 설치 위치 58
그림 3.5. 변형률게이지 부착 위치 59
그림 3.6. 가력프로그램 61
그림 3.7. 콘크리트 공시체 시험결과 63
그림 3.8. 철근파단사진 64
그림 3.9. U0D560XN-1실험체의 실험결과 67
그림 3.10. J0D560SN-2실험체의 실험결과 69
그림 3.11. J0D560SF-3실험체의 실험결과 71
그림 3.12. L0.7M560XN-4실험체의 실험결과 73
그림 3.13. J1.5D560SN-5실험체의 실험결과 75
그림 3.14. J1.5D560SF-6실험체의 실험결과 77
그림 3.15. L0.98M530XN-7 실험체의 실험결과 79
그림 3.16. J1.5D530SN-8 실험체의 실험결과 81
그림 3.17. J1.5D530SF-9 실험체의 실험결과 83
그림 3.18. L0.56M460XN-10실험체의 실험결과 85
그림 3.19. J1.5D460SN-11실험체의 실험결과 87
그림 3.20. J1.5D460SF-12 실험체의 실험결과 89
그림 3.21. 실험체별 종국 파괴모드 형상 92
그림 3.22. 계산값과 실험값의 비교 그래프 98
그림 4.1. 에폭시 충전유무에 따른 실험체별 거동 비교 106
그림 4.2. 콘크리트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실험체별 거동 비교 109
그림 4.3. 철근 인장강도 변화에 따른 실험체별 거동 비교 112
그림 4.4. 기계식 이음재의 이음 위치 변화에 따른 실험체별 거동 비교 115
그림 4.5. P-M상관식에 의한 계산값과 실험값의 모멘트 상승 비율 117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