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8
II. 재료 및 방법 10
1. 재료 10
1) 동물 10
2) 세포주 10
3) 약재 10
4) 시약 및 기기 10
2. 방법 11
1) 울금 시료의 제조 및 투여 11
2) 유방암 세포 증식율 측정 11
3) 유방암 유발 11
4) 실험군 분류 12
5) 체중의 측정 12
6) 종괴의 적출 및 무게측정 12
7) 비장 및 흉선세포 증식율 측정 12
8) 면역조직학적 검사 13
9) 채혈 및 검사 14
10) 통계처리 14
III. 성적 15
1. 유방암 세포 (MDA-MB-231) 증식율에 미치는 영향 15
2. 유방암 유발 전 실험군 간의 동질성 검정 17
3.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18
4. 암유발 흰쥐의 유방암종괴 무게에 미치는 영향 20
5. 흰쥐의 비장세포 증식율에 미치는 영향 22
6. 흰쥐의 흉선세포 증식율에 미치는 영향 24
7. ER-α (estrogen receptor-α)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반응 26
8. 혈청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28
9. 혈청내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29
10. 혈중 CBC에 미치는 영향 30
IV. 고찰 31
V. 결론 37
참고문헌 38
초록보기 더보기
Breast cancer is the commonest cancer among women and has rapid increasing rate annually. At present, western cancer therapy by surgery, radiation, and anticancer drug have not been fully effective, and have many side effect. So many interests are given to herbal medicine on cancer treatment in recent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cuma longa L.(CL) o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DMBA-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In this experiment, MDA-MB-231 cells were cultured in cell culture plates. 0.0625, 0.125, 0.25, 0.5, 1.0 mg/㎖ of CL extract were tested for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DA-MB-231 cells by MMT assay. And we 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The changes in tumor's weight, and the effects on proliferations of splenocyte and thymocyte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ER-α were also investigated.
In results, CL show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DA-MB-231 cells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of the CL. DMBA-induced breast cancer in rats, tumor's weight of the r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howed a tendency to be reduc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CL. Proliferation rate of the rat's splenocyte and thymocyte increased in proportion to CL. In breast cancer tissue, expression of ER-α was weakened proportionately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L.
In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CL can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breast cancer, then CL is useful to treat patient with breast cancer.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