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Anti-tumor activity of a novel c-met inhibitor, KRC-327 against human cancer [전자자료] = 신규 c-Met 저해제 KRC-327의 항암효과 및 기전 연구 / 박병희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1 온라인자료 : PDF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2233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생명학전공, 2013.2. 지도교수: 홍순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국문초록

Abstract

Contents

Introduction 12

Materials and Methods 22

Cells and materials 22

Cell viability assay 23

Western blot 23

Phospho-receptor tyrosine kinase (RTK) array analysis 24

Cell cycle analysis 25

Immunofluorescence 26

Soft agar assay 26

Immunodetection of incorporation of 5'-bromo-2'- deoxyuridine (BrdU) 26

Migration assay 27

Tumor xenograft study 27

Immunohistochemistry 28

Statistical analysis 29

Results 30

Synthesis of KRC-327 and its binding mode to c-Met 30

KRC-327 inhibits c-Met phosphorylation and c-Met signaling pathways 31

KRC-327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c-Met-dependent cancer cells 31

KRC-327 selectively inhibits the ligand dependent c-Met activity 32

KRC-327 inhibits cell proliferation through G0/G1 arrest 33

KRC-327 suppressed tumor growth in a xenograft model together with in vivo anti-proliferative effects 34

Discussion 35

Reference 40

APPENDIX 63

Table 1. FDA approved monoclonal antibodies 14

Table 2. FDA approved small molecular inhibitors 15

Table 3. HGF and c-Met expression in a variety of carcinomas 19

Table 4. HGF/c-Met pathway inhibitors in development 20

Fig. 1. Statistics of main cause of mortality in Korea from 2003 to 2010. 12

Fig. 2. Structure of c-Met 16

Fig. 3. Major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of c-Met 18

Fig. 4. Chemical structure and docking mode of KRC-327. 46

Fig. 5. Effect of KRC-327 on the c-Met activation and its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in the MKN-45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47

Fig. 6. Effect of KRC-327 on the cell viability of human cancer cell lines with/without c-Met expression. 49

Fig. 7. Effect of KRC-327 on HGF-induced cell proliferation, anchorage-independent cancer cell growth, and cell migration. 53

Fig. 8. Effect of KRC-327 on cell cycle in MKN-45 cells. 56

Fig. 9. In vivo effect of KRC-327 in MKN-45 human gastric cancer cell-derived mouse xenograft model. 58

Fig. 10. Liver toxicity by KRC-327 treatment in plasma of MKN-45 human gastric cancer cell-derived mouse xenograft model. 62

초록보기 더보기

 c-Met은 hepatocyte growth factor (HGF)/scatter factor (SF)에 높은 친화성을 갖는 receptor tyrosine kinase (RTK)의 한 종류로, 위암, 백혈병, 흑색종, 폐암 등의 고형암에서 주로 발견되며 암의 침윤과 전이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한 새로운 c-Met 저해제인 KRC-327의 암세포에서의 효능과 그 기전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실험하였다.

먼저 KRC-327의 c-Met의 활성화 및 그 하위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KRC-327은 낮은 농도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c-Met의 활성도 및 하위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KRC-327은 MTS assay를 이용한 실험에서 c-Met이 과발현 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c-Met의 리간드인 HGF에 의해 암세포들이 활성화 되어 성장, 전이되는 것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RC-327은 c-Met이 과발현 된 세포의 세포주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24시간동안 KRC-327을 처리한 세포군에서 G0/G1 arrest를 통한 세포주기의 arrest를 일으켰는데 이것은 주로 Cyclin D1의 감소 및 p21과 p27 단백질의 축적을 통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 즉 PARP, Cleaved-caspase-3는 변화가 없었는데, 이것은 KRC-327의 항암효과가 주로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vivo 실험에서는 누드마우스에 c-Met이 과발현 된 사람의 위암세포인 MKN-45를 이종 이식하여 모델을 만들었으며, KRC-327을 100mg/kg씩 17일동안 매일 경구투여 하였을 때 이식된 고형암의 성장억제가 특이할 만한 독성 없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암조직을 면역염색법으로 관찰하였을 때는 KRC-327을 처리한 군에서는 활성화 된 c-Met과 세포 증식과 관련된 인자들인 PCNA, p-STAT3, p-Akt, p-Mek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KRC-327은 c-Met이 발현된 암 종에 대해 항암효과를 갖는데 이것은 주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메카니즘을 통해서 일어나며, 또한 HGF 의존적으로 일어나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KRC-327은 c-Met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표적치료제 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