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8
I. 서론 9
II. 본론 11
1. 브람스 피아노 음악의 시기구분 11
1) 전기(1851-1856) 11
2) 중기(1856-1866) 12
3) 후기(1866-1896) 13
2. 브람스의 성격 소품 15
3. 브람스의 「Phantasien Op.116」분석 18
1) 제 1곡 Capriccio 19
2) 제 2곡 Intermezzo 28
3) 제 3곡 Capriccio 34
4) 제 4곡 Intermezzo 40
5) 제 5곡 Intermezzo 45
6) 제 6곡 Intermezzo 48
7) 제 7곡 Capriccio 53
III. 결론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3
(표 1) 브람스의 전기 피아노 작품목록 12
(표 2) 브람스의 중기 피아노 작품목록 13
(표 3) 브람스의 후기 피아노 작품목록 13
(표 4) 브람스의 성격 소품들 16
(표 5) 제 1곡의 카프리치오 구조 19
(표 6) 제 2곡의 인터메초 구조 29
(표 7) 제 3곡의 카프리치오 구조 34
(표 8) 제 4곡의 인터메초 구조 40
(표 9) 제 5곡 인터메초 구조 45
(표 10) 제 6곡의 인터메초 구조 49
(표 11) 제 7곡의 카프리치오 구조 54
(악보 1) 제 1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와 모티브 b, 마디 1-6 20
(악보 2) 제 1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의 전위, 마디 7-12 20
(악보 3) 제 1곡 카프리치오, 헤미올라와 반음계적 진행, 마디 21-33 21
(악보 4) 제 1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의 감7분산화음과 모티브 b, 마디 37-41 22
(악보 5) 제 1곡 카프리치오, B부분과 A'부분의 연결구, 마디 56-58 23
(악보 6) 제 1곡 카프리치오, 하행 3도-5도-7도 음의 첨가 및 모티브 a의 연속적인 3도 하행과 모티브 b, 마디 67-78 23
(악보 7) 제 1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의 진행과 모티브 b의 축소된 형태의 연속 진행, 마디 83-92 24
(악보 8) 제 1곡 카프리치오, 하성부의 반음계적 선율 및 헤미올라, 마디 185-188 25
(악보 9) 제 7곡 카프리치오, 헤미올라 리듬, 마디 80-92 26
(악보 10) 제 1곡 카프리치오, 3도 병진행 및 6도 간격으로 전위되어 상행, 마디 200-204 28
(악보 11) 제 2곡 인터메초, 교차리듬, 마디 1-9 30
(악보 12) 제 2곡 인터메초, 동형 진행, 마디 18-23 31
(악보 13) 제 2곡 인터메초, 1-4마디의 성부교차, 마디 51-54 32
(악보 14) 제 2곡 인터메초, 마디 1-4의 성부 진행 32
(악보 15) 제 2곡 인터메초, 반음계적 진행과 상행진행, 마디 63-65 33
(악보 16) 제 2곡 인터메초, 순차 하행 선율과 확대 진행, 마디 83-86 33
(악보 17) 제 3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와 전위된 모티브 a'의 동형 진행 및 확대, 마디 9-15 35
(악보 18) 제 3곡 카프리치오, 반음계적 진행 및 병진행, 마디 21-28 36
(악보 19) 제 3곡 카프리치오, 성부의 교차, 마디 9-34 37
(악보 20) 제 3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b'의 모방 및 교차리듬, 마디35-38 38
(악보 21) 제 3곡 카프리치오, 독일 6화음의 사용, 마디 58-60 38
(악보 22) 제 3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의 음가 확대, 마디 99-104 39
(악보 23) 제 4곡 인터메초, 모티브 b'와 경과음, 마디 1-5 41
(악보 24) 제 4곡 인터메초, 모티브 a'와 3도 병진행, 마디 11-14 41
(악보 25) 제 4곡 인터메초, 모티브 a'와 교차리듬, 마디 15-22 42
(악보 26) 제 4곡 인터메초, 도미넌트 페달 포인트, 상성부의 순차 하행선율, 마디 37-40 43
(악보 27) 제 4곡 인터메초, 타닉 페달 포인트와 비화성음, 마디 67-69 43
(악보 28) 제 4곡 인터메초, 제 6곡 상성부 알토 선율과 동일한 진행 및페달 포인트, 마디 69-71 44
(악보 29) 제 6곡 인터메초, C#-B-A#-G#음의 진행, 마디 61-64(이미지참조) 44
(악보 30) 제 5곡 인터메초, 순차와 도약 진행, 마디 1-7 46
(악보 31) 제 5곡 인터메초, 상성부와 하성부의 모티브 a', 마디 11-14 47
(악보 32) 제 5곡 인터메초, 오르간 포인트 및 양손의 사진행, 마디25-28, 35-39 47
(악보 33) 제 6곡 인터메초, 모티브 b', 마디 1-8 49
(악보 34) 제 6곡 인터메초, 교차리듬 및 순차 하행 선율, 마디 25-30 50
(악보 35) 제 6곡 인터메초, 순차 하행선율 및 제 4곡의 주제 인용, 마디57-64 51
(악보 36) 제 4곡 인터메초, 상성부의 주제 선율 및 내성 진행, 마디36-40, 69-70 52
(악보 37) 제 7곡 카프리치오, 모티브 a와 전위 모방, 마디 1-4 54
(악보 38) 제 7곡 카프리치오, 상성부와 하성부에서의 성부 교환 및 모티브 b, 마디 21-24 55
(악보 39) 제 7곡 카프리치오, 페달포인트 사용, 마디 54-58 55
(악보 40) 제 7곡 카프리치오, 페달 포인트와 종지, 마디 76-92 56
초록보기 더보기
19세기 독일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작곡가인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음악적 특징을 결합시켜 자신만의 음악관으로 작품을 작곡한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브람스의 피아노 작품은 세 시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그의 전기 작품은 소나타형식으로, 중기에는 변주곡을 중심으로, 후기에는 성격 소품을 중심으로 작곡하였다. 그의 성격 소품은 스케르초 Op.4와 발라드 Op.10과 같이 전기에 쓰여진 작품들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후기에 많이 작곡되었다. 브람스의 후기 주요 피아노 소품 중 하나인 「Phantasien Op.116」은 1892년에 작곡된 곡으로 3곡의 카프리치오와 4곡의 인터메초로 구성되어있다.
「Phantasien Op.116」의 7개의 곡들은 형식적으로 고전시대 소나타의 영향을 받아 주로 3부 형식(A-B-A)으로 작곡되었으며, 순환 2부 형식 혹은 2부 형식으로 작곡되었음을 볼 수 있다. 화성적인 특징 즉, 빈번하게 사용된 부감7화음은 고전주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낭만주의적 색채를 잘 드러내고 있다. 선율적으로는 분산화음으로 된 주제와 반음계적 진행, 3도와 8도의 중복된 선율과 도약진행을 사용해 작곡하였다. 또한 곡 전체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모티브 a와 순차 하행하는 모티브 b는 원형 또는 변형된 형태로 나타남으로서 곡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낭만주의적 고전주의자'라고 불리우는 작곡가인만큼 브람스는 바로크 음악 기법인 페달 포인트, 피카르디3도, 그리고 모방기법을 사용하여 곡을 작곡하였다.
이처럼 「Phantasien Op.116」은 여러 음악적 특징들이 잘 융합되어 표현되었고 브람스는 고전주의의 형식적이며 구조적인 틀 안에서 그가 추구한 낭만적 색채와 리듬, 화성을 사용해 내적인 감정을 표현하여 작곡하였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