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1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2

II. 이론적 배경 14

1. Mozart의 생애와 Concerto의 작품 배경 14

1) Mozart의 생애 14

2) Mozart의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작품 배경 16

3)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곡의 형식 및 개요 16

2. 음악적 용어의 정의 18

1) Articulation 18

2) Legato 18

3) Ornament 18

4) Staccato 19

5) Trill 19

III. 작품 비교 분석 20

1. W. A Mozart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중 1악장 연주법 비교 연구 -Articulation을 중심으로- 20

1) 제시부 (57마디~171마디) 20

2) 발전부 (172마디~250마디) 32

3) 재현부 (251마디~359마디) 37

IV. 결론 45

참고문헌 47

부록 49

Abstract 57

표목차

〈표 1〉 6명의 연주자 13

〈표 2〉 제 1악장의 형식 및 구조 17

악보목차

〈악보 1〉 반주 악기의 Codetta 20

〈악보 2-a〉 K. Leister, P. Meyer, S. Meyer, R. Stoltman, 신현각의 연주기법 21

〈악보 2-b〉 S. Kam의 연주기법 21

〈악보 3-a〉 K. Leister, 신현각의 연주기법 22

〈악보 3-b〉 P. Meyer, S. Meyer, R. Stoltman의 연주기법 22

〈악보 3-c〉 S. Kam의 연주기법 22

〈악보 4-a〉 K. Leister, R. Stoltman,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23

〈악보 4-b〉 P. Meyer의 연주기법 23

〈악보 4-c〉 S. Meyer의 연주기법 23

〈악보 5-a〉 K. Leister, S. Meyer, R. Stoltman,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23

〈악보 5-b〉 P. Meyer의 연주기법 24

〈악보 6-a〉 K. Leister, P.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24

〈악보 6-b〉 S. Meyer,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24

〈악보 7-a〉 K. Leister, P.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25

〈악보 7-b〉 S. Meyer,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25

〈악보 8-a〉 K. Leister, P.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25

〈악보 8-b〉 S. Meyer의 연주기법 26

〈악보 8-c〉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26

〈악보 9-a〉 K. Leister, P. Meyer, S. Meyer,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26

〈악보 9-b〉 R. Stoltman의 연주기법 27

〈악보 10-a〉 K. Leister, S. Meyer, R. Stoltman의 연주기법 27

〈악보 10-b〉 신현각의 연주기법 27

〈악보 10-c〉 P. Meyer의 연주기법 28

〈악보 10-d〉 S. Kam의 연주기법 28

〈악보 11-a〉 K. Leister, S. Meyer, S. Kam의 연주기법 28

〈악보 11-b〉 R. Stoltman, 신현각의 연주기법 29

〈악보 11-c〉 P. Meyer의 연주기법 29

〈악보 12-a〉 K. Leister, S. Meyer, S. Kam의 연주기법 29

〈악보 12-b〉 P. Meyer, R. Stoltman,의 연주기법 30

〈악보 13-a〉 K. Leister, 신현각의 연주기법 30

〈악보 13-b〉 P. Meyer, S. Meyer,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30

〈악보 14-a〉 P. Meyer, S. Kam의 연주기법 31

〈악보 14-b〉 K. Leister, S. Meyer, R. Stoltman, 신현각의 연주기법 31

〈악보 15-a〉 K. Leister, R. Stoltman, 신현각의 연주기법 32

〈악보 15-b〉 S. Meyer, S. Kam의 연주기법 32

〈악보 15-c〉 P. Meyer의 연주기법 32

〈악보 16-a〉 K. Leister, P. Meyer,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33

〈악보 16-b〉 S. Meyer의 연주기법 33

〈악보 16-c〉 R. Stoltman의 연주기법 33

〈악보 17-a〉 K. Leister, P. Meyer, S. Meyer,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33

〈악보 17-b〉 R. Stoltman의 연주기법 34

〈악보 18-a〉 K. Leister, P.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34

〈악보 18-b〉 S. Kam의 연주기법 34

〈악보 18-c〉 S. Meyer의 연주기법 34

〈악보 18-d〉 S. Meyer의 연주기법 35

〈악보 19-a〉 신현각의 연주기법 35

〈악보 19-b〉 K. Leister, P. Meyer, S. Meyer,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35

〈악보 20-a〉 K. Leister, P.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36

〈악보 20-b〉 S. Meyer의 연주기법 36

〈악보 20-c〉 R. Stoltman의 연주기법 36

〈악보 20-d〉 S. Kam의 연주기법 37

〈악보 21-a〉 S. Kam의 연주기법 37

〈악보 21-b〉 K. Leister, P. Meyer, S. Meyer, R. Stoltman, 신현각의 연주기법 37

〈악보 22-a〉 K. Leister,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38

〈악보 22-b〉 P. Meyer, S. Meyer, R. Stoltman의 연주기법 38

〈악보 23-a〉 K. Leister, 신현각의 연주기법 38

〈악보 23-b〉 S. Meyer,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39

〈악보 23-c〉 P. Meyer의 연주기법 39

〈악보 24-a〉 K. Leister, P.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39

〈악보 24-b〉 S. Meyer, S. Kam의 연주기법 40

〈악보 24-c〉 R. Stoltman의 연주기법 40

〈악보 25-a〉 K. Leister, P. Meyer, S. Meyer, 신현각의 연주기법 40

〈악보 25-b〉 S. Kam의 연주기법 41

〈악보 25-c〉 R. Stoltman의 연주기법 41

〈악보 26-a〉 K. Leister, S. Kam의 연주기법 41

〈악보 26-b〉 S. Meyer, R. Stoltman, 신현각의 연주기법 42

〈악보 26-c〉 P. Meyer의 연주기법 42

〈악보 27-a〉 K. Leister, P. Meyer, S. Meyer, 신현각, S. Kam의 연주기법 42

〈악보 27-b〉 R. Stoltman의 연주기법 43

〈악보 28-a〉 K. Leister, 신현각의 연주기법 43

〈악보 28-b〉 P. Meyer, S. Meyer, R. Stoltman, S. Kam의 연주기법 43

〈악보 29-a〉 P. Meyer, S. Meyer, S. Kam의 연주기법 44

〈악보 29-b〉 K. Leister, R. Stoltman의 연주기법 44

〈악보 29-c〉 신현각의 연주기법 44

초록보기

 클라리넷은 고전주의 시대부터 독주악기로 쓰이기보다는 주로 화음을 이루는 반주악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독주 악기로써 미약했던 클라리넷의 가치를 높여준 것이 바로 모차르트 작품 중 마지막 협주곡인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 622』이다.

본래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K. 622는 Basset-horn을 위한 G장조 협주곡이었으나, 모차르트는 평소 친분이 있던 Clarinet 연주자인 안톤 슈타들러(Anton Stadler)를 위하여 '재탄생된 곡'으로, 처음에는 Basset-Clarinet로 연주 하였으나, 지금은 A Clarinet으로 바뀌어 연주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K. 622를 연구하기 위해서 유명한 Clarinetist 6명(Karl Leister/ Paul Meyer/Sabine Meyer/Richard Stoltzman/신현각/Sharon Kam)의 연주를 듣고, 그들의 각기 다른 연주기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이 곡을 비교 분석 연구하기 위해 모차르트의 관한 문헌을 읽고, 고전시대 모차르트의 콘체르토에 대한 양식 및 특징을 조사하였고, 이후 악곡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각기 다른 연주자들의 CD를 반복적으로 들으면서 아티큘레이션을 중심으로 연주기법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았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래 모차르트 협주곡에 연주되는 클라리넷은 Basset-Clarinet과 A Clarinet으로 나뉜다. 현재는 A Clarinet을 주로 사용한다.

위 6명의 연주자 중 Sabine Meyer,와 Sharon Kam은 Basset-Clarinet으로 연주를 하는데 A Clarinet보다 두 음이 낮은 Basset-Clarinet 특유의 저음 음역을 살려 연주를 하였으며, 다른 연주자들(Karl Leister / Paul Meyer / Richard Stoltzman / 신현각)은 A Clarinet만의 음색으로 곡의 분위기를 부드러우면서도 한층 더 밝은 느낌으로, 아티큘레이션을 살려 그들만의 연주기법을 잘 표현하고 있다. 각기 다른 연주자마다 해석의 차이가 다양함을 알 수 있었고, 비교 연구를 통해 작품의 예술적 가치와 연주자들의 다른 스타일을 이해 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아티큘레이션에 따라 곡의 음악적 느낌이 매우 달라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이 듣는 사람에게 흥미와 동기를 부여하며, 연주자들이 보다 이해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연주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