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ABSTRACT 15
제1장 서론 18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8
1.2. 연구 대상과 방법 27
1.3. 선행 연구 검토 29
1.3.1. 조사의 명칭과 품사 문제 30
1.3.2. 국어학에서의 '은/는'과 '이/가' 37
1.3.3. 한국어 교육에서의 '은/는'과 '이/가' 44
1.4. 논문의 구성 57
제2장 '은/는'과 '이/가'의 의미기능 60
2.1. '은/는'의 의미기능 63
2.1.1. 주제(topic) 63
2.1.2. 대조(對照) 77
2.2. '이/가'의 의미기능 102
2.2.1. 주어 표지 102
2.2.2. 강조 105
2.2.3. 초점 주제·도입 주제 108
제3장 '은/는'과 '이/가'의 상황모형 120
3.1. '은/는'의 상황모형 123
3.1.1.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3
3.1.2. 문두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29
3.1.3. 문중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3
3.1.4. 접속문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5
3.2. '이/가'의 상황모형 137
3.2.1. 주어로 사용되는 상황 138
3.2.2.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0
3.2.3. 접속문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46
3.2.4. 담화 도입에서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9
제4장 실험 152
4.1. 실험 대상 152
4.2. 실험 방법 및 절차 153
4.3. 실험 결과 154
제5장 결론 163
참고문헌 169
부록_설문지 177
[표 1-1] 각 유형별 고빈도 오류 조사 분석표 21
[표 1-2] '이/가'의 오류 유형 및 빈도 23
[표 1-3] '은/는'의 오류 유형 및 빈도 23
[표 1-4] 격조사와 보조사에 대한 설명 31
[표 1-5] 문장의 세 층위 40
[표 1-6] 주제 표지 '은/는'과 다른 보조사와의 대비 41
[표 1-7] 이동동사의 어휘통사구조 50
[표 2-1] 문장의 세 층위 61
[표 2-2] (8ㄱ~ㅁ)의 주제-설명 구조 65
[표 2-3] (10ㄱ~ㅁ)의 주제-설명 구조 67
[표 2-4] (11)의 주제-설명 구조 69
[표 2-5] 주어 자리에서의 조사 실현 양상 72
[표 2-6] (13ㄱ~ㅁ)의 주제-설명 구조 73
[표 2-7] (15ㄱ,ㄴ,ㄷ)의 해석 76
[표 2-8] 주제(topic)의 특성 77
[표 2-9] (16ㄱ',ㄴ',ㄷ')의 해석 80
[표 2-11] (20ㄷ'~ㄷ")의 주제-설명구조 83
[표 2-12] '이/가'가 있던 자리에 '이/가'대신 '은/는'을 사용 90
[표 2-13] (ㄱ~ㄷ)을 일반적인 사실문으로 수정 92
[표 2-14] '이/가'가 있던 자리에 '이/가'대신 '은/는'을 사용 95
[표 2-15] 대조(對照)의 분포 100
[표 2-16] 대조(對照)의 특성 101
[표 2-17] '은/는'의 의미기능 102
[표 2-18] (41ㄱ~ㅁ)의 주제-설명 구조 110
[표 2-19] '은/는'과 '이/가'의 의미기능 115
[표 2-20] (44ㄱ~ㄹ)에서 '은/는'과 '이/가'의 의미기능 115
[표 2-21] '이/가'의 의미기능 119
[표 3-1] 한국어 교재에서 주제 '은/는'의 출현 122
[표 4-1] 문항에서 제시된 '은/는'과 '이/가'의 의미기능 및 상황 153
[표 4-2] 테스트 결과 155
[그림 3-1]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4
[그림 3-2]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4
[그림 3-3]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5
[그림 3-4]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6
[그림 3-5]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7
[그림 3-6] 문두에서 주제(topic)로 사용되는 상황 128
[그림 3-7] 문두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0
[그림 3-8] 문두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1
[그림 3-9] 문두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1
[그림 3-10] 문두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2
[그림 3-11] 문중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3
[그림 3-12] 문중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5
[그림 3-13] 접속문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6
[그림 3-14] 접속문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37
[그림 3-15] 주어로 사용되는 상황 138
[그림 3-16] 주어로 사용되는 상황 139
[그림 3-17] 주어로 사용되는 상황 140
[그림 3-18]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1
[그림 3-19]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2
[그림 3-20] 의문사 문답에서 '이/가'의 사용 143
[그림 3-21]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3
[그림 3-22]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4
[그림 3-23] 의문사 문답에서 '이/가'의 사용 144
[그림 3-24]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5
[그림 3-25] 의문사 문답에서 초점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45
[그림 3-26] 의문사 문답에서 '이/가'의 사용 146
[그림 3-27] 접속문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47
[그림 3-28] 접속문에서 대조로 사용되는 상황 148
[그림 3-29] 담화 도입에서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50
[그림 3-30] 담화 도입에서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50
[그림 3-31] 담화 도입에서 주제로 사용되는 상황 15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