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8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9
II. 본론 10
1. 슈베르트의 생애와 피아노 음악 10
1) 슈베르트의 생애 10
2) 슈베르트의 피아노 음악 13
2. 즉흥곡의 정의와 배경 17
3. Vier Impromptus op.142 작품 분석 19
1) 작품 개요 19
2) Impromptu op.142, No.1 20
3) Impromptu op.142, No.2 32
4) Impromptu op.142, No.3 40
5) Impromptu op.142, No.4 50
III. 결론 63
참고문헌 66
Abstract 68
〈악보 1〉 Impromptu op.142, No.1, 1-6마디,제시부의 제 1주제 22
〈악보 2〉 Impromptu op.142, No.1, 7-13마디, 제 1주제의 확보 22
〈악보 3〉 Impromptu op.142, No.1, 13-15마디, 제 2주제의 동음 반복 선율 23
〈악보 4〉 Impromptu op.142, No.1, 19-21마디, 관계조(A♭Major)로의 전조 23
〈악보 5〉 Impromptu op.142, No.1 , 22-24마디, 제 2주제의 3도 위 출현 24
〈악보 6〉 Impromptu op.142, No.1, 28-34마디, 제시부의 제 2주제 25
〈악보 7〉 Impromptu op.142, No.1, 51-53마디, 화성이 추가된 제 2주제 25
〈악보 8〉 Impromptu op.142, No.1, 66-69마디, 제 2경과구 26
〈악보 9〉 Impromptu op.142, No.1, 마디 69-74, 발전부 27
〈악보 10〉 Impromptu op.142 ,No.1, 마디 84-88, 이명동음에 의한 전조 28
〈악보 11〉 Impromptu op.142, No.1, 마디 92-97, 발전부 29
〈악보 12〉 Impromptu op.142, No.1, 마디 112-118, 재현부 29
〈악보 13〉 Impromptu op.142, No.1, 마디 131-134, F Major로의 재현 30
〈악보 14〉 Impromptu op.142, No.1, 마디 178-184, 재현부의 확장 31
〈악보 15〉 Impromptu op.142, No.2, 마디 1-16, 상행 6도 선율 윤곽 34
〈악보 16〉 Impromptu op.142, No.2, 마디 17-20, A의bmotive 35
〈악보 17〉 Impromptu op.142, No.2, 마디 20-26, A의b 35
〈악보 18〉 Impromptu op.142, No.2, 마디 31-46, A의a’ 36
〈악보 19〉 Impromptu op.142, No.2, 마디 47-52, 상행 3도 선율 윤곽(f,a♭)(이미지참조) 37
〈악보 20〉 Impromptu op.142, No.2, 마디 59-64, A♭M에서 a♭m로 선법교체(이미지참조) 37
〈악보 21〉 Impromptu op.142, No.2, 마디 65-69, a♭m에서 AM로 전조(이미지참조) 38
〈악보 22〉 Impromptu op.142, No.2, 마디 141-148, 종지 악구 39
〈악보 23〉 Impromptu op.142, No.3, 마디 1-4,주제 41
〈악보 24〉 Impromptu op.142, No.3, 마디 19-23, 제 1변주 41
〈악보 25〉 Impromptu op.142, No.3, 마디 37-39, 제 2변주 42
〈악보 26〉 Impromptu op.142, No.3, 마디 45-47, 제 2변주 43
〈악보 27〉 Impromptu op.142, No.3, 마디 52-54, 제 2변주의 마침악구 43
〈악보 28〉 Impromptu op.142, No.3, 마디 55-58, 제 3변주 44
〈악보 29〉 Impromptu op.142, No.3, 마디 63-66, 옥타브 위로의 음역 이동 45
〈악보 30〉 Impromptu op.142, No.3, 마디 81-88, 제 4변주 46
〈악보 31〉 Impromptu op.142, No.3, 마디 89-92, f-p의 다이나믹 대비 47
〈악보 32〉 Impromptu op.142, No.3, 마디 102-105, 제 5변주 48
〈악보 33〉 Impromptu op.142, No.3, 마디 117-119, 제 5변주 48
〈악보 34〉 Impromptu op.142, No.3, 마디 120-128, 제 5변주 코다 49
〈악보 35-1〉 Impromptu op.142, No.4, 마디 1-7, 선율 motive 52
〈악보 35-2〉 Impromptu op.142, No.2, 마디 1-2, motiveA♭-A♭-B♭-A♭(이미지참조) 52
〈악보 36〉 Impromptu op.142, No.4, 마디 17-33, 3박자 안에서의 2박자 리듬 53
〈악보 37〉 lmpromptu op.142, No.4, 마디 36-44, 연결구 54
〈악보 38〉 Impromptu op.142, No.4, 마디 74-86, codetta 55
〈악보 39〉 Impromptu op.142, No.4, 마디 87-92, 분산화음에 의한 motive 56
〈악보 40〉 Impromptu op.142, No.4, 마디 95-104,111-114선법 교체 56
〈악보 41〉 Impromptu op.142, No.4, 마디 121-122,분산화음에 의한 motive 57
〈악보 42〉 Impromptu op.142, No.4, 마디 129-135, 분산화음에 의한 motive 57
〈악보 43〉 Impromptu op.142, No.4, 마디 336-346, A부분 반복 58
〈악보 44〉 Impromptu op.142, No.4, 마디 412-439, Coda 59
〈악보 45〉 Impromptu op.142, No.4, 마디 469-489, Coda(셈여림의 변화) 60
〈악보 46〉 Impromptu op.142, No.4, 마디 490-495, 8도 병행 60
〈악보 47〉 Impromptu op.142, No.4, 마디 514-525, Cada중 f minor scale 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ubert's 「Impromptus op.142」that consists of four pieces. Ultimately understand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impromptus made in the early Romantic Age and the composer's world of the work based on both romanticism and classicism.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1st piece of「Impromptus op.142」has a classical sonata form, which employs a format of exposition-development-recapitulation. Generally, the piece was composed in sonata form. But partially, it has a rondo form.
Second, the 2nd piece hasa compound ternary form, A-B-A' which is usually found in the second movement of classical sonata. The only difference from the classical sonata form is that the second piece has a more expanded trio in the middle.
Third, the 3rd piece is comprised of 5 variations and coda on the Andante theme. Till the 2nd variation, no harmonic change is found.
Fourth, the 4th piece has a free ternary form(A - B - A - Coda). Throughout the piece, composition is based on a 3rd relation in tonality. In B part of the form, its mode is changed from a♭m to A♭M as a remote key above augmented 1st, that is, AM is inserted.
Thus, Schubert's 「Impromptus op.142」has a tonal structureof I - III - IV - I(1st piece fm -2nd A♭M -3rd B♭M -4th fm). These four pieces are not independent, but closely related with one another. They jointly form a piano music with in the framework of sonata. This represents Schubert's own will to compose, that is, his desire to musically express escape from stereotyped form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