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5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5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II. 본론 7
1. J. S. 바흐 이전의 오스티나토적 변주곡에 관한 고찰 7
A. 오스티나토적 변주곡의 기원 및 발전 7
B. J. S.바흐 이전의 오스티나토적 변주곡 12
2. J. S. 바흐의 “파사칼리아 다단조, BWV 582” 의 악곡분석 26
A. 작품개요 26
B. 악곡분석 28
III. 결론 70
참고문헌 72
Abstract 74
[표 1] 파사칼리아 주제의 성부위치 및 변주의 특징 56
[표 2] 푸가의 구성과 주요 조성 57
[표 3] 푸가의 구성 67
(악보 1) 작자미상, 13세기경에 작곡된 모테트 7
(악보 2) 아르보(Thoinot Arbeau)의 파반느(pavane) 8
(악보 3) 작자미상, 이태리의 팟사멧조(passamezzo) 9
(악보 4) 카베존(Antonio de Cabezon)의 변주곡(이미지참조) 10
(악보 5) 버드, "My Lady Nevell Ground"의 그라운드 진행과 상성부의 다양한 리듬 변화 14
(악보 6) 퍼셀, "Dido and Aeneas", "When I Am Laid" 의 베이스 주제선율 17
(악보 7) 퍼셀, "Ground for Harpsichord, A new Ground"의 베이스 주제 선율 18
(악보 8) 파헬벨, Ciaconna in d 의 베이스 주제선율과 장식을 가진 변주 19
(악보 9) 파헬벨, Ciaconna in d의 베이스 성부에서 제시되는 주제 선율의 리듬 변형 20
(악보 10) 파헬벨, Ciaconna in f 의 주제선율 변주 20
(악보 11) 북스테후데, Passacaglia in d, (BuxWV 161) 의 베이스 주제 선율의 진행 23
(악보 12) 북스테후데, Prelude, Fugue and Ciacona in C, (BuxWV 137)의 베이스 주제 선율 24
(악보 13) 북스테후데, Ciacona in c (BuxWV 159)의 베이스 주제선율의 변형 24
(악보 14) (제목없음) 28
(악보 15) [변주 11] 29
(악보 16) [변주 5] 29
(악보 17) [변주 9] 29
(악보 18) [변주 10] 29
(악보 19) [변주 18] 30
(악보 20) [변주 12] 30
(악보 21) [변주 13] 30
(악보 22) [변주 14] 30
(악보 23) [변주 15] 31
(악보 24) 푸가의 첫 부분에서 제시되는 파사칼리아 전반부 4마디 주제선율과 푸가의 종결부에서 제시되는 파사칼리아 후반부 4마디 주제선율 33
(악보 25) 바흐의 8마디 파사칼리아 주제 (mm. 1-8) 35
(악보 26) 레이종의 파사칼리아 주제 35
(악보 27) mm. 8-16 36
(악보 28) mm. 16-24 37
(악보 29) mm. 24-32 38
(악보 30) mm. 32-40 39
(악보 31) mm. 40-48 40
(악보 32) mm. 48-56 41
(악보 33) mm. 56-64 42
(악보 34) mm. 64-72 43
(악보 35) mm. 72-80 44
(악보 36) mm. 80-88 45
(악보 37) mm. 88-96 46
(악보 38) mm. 96-104 47
(악보 39) mm. 104-112 48
(악보 40) mm. 112-120 49
(악보 41) mm. 120-128 50
(악보 42) mm. 128-136 51
(악보 43) mm. 136-144 52
(악보 44) mm. 144-152 53
(악보 45) mm. 152-160 54
(악보 46) mm. 160-168 55
(악보 47) mm. 168-173 58
(악보 48) mm. 173-177 59
(악보 49) mm. 180-182 59
(악보 50) mm. 185-187 60
(악보 51) mm. 191-193 60
(악보 52) mm. 197-199 61
(악보 53) mm. 208-210 61
(악보 54) mm. 220-222 62
(악보 55) mm. 233-235 63
(악보 56) mm. 245-247 63
(악보 57) mm. 255-257 64
(악보 58) mm. 271-273 64
(악보 59) mm. 282-285 65
(악보 60) mm. 285-292 66
초록보기 더보기
J. S. Bach was a great musician who created the artistic peak in German organ music during the Baroque Age.
From among his works for organ, “Passacaglia in C Minor, BWV 582”, a sole variation with ostinato, was composed in the original and completed form while exceeding other works in the form of Passacaglia, which had been composed by previous great musicians.
J. S. Bach’s "Passacaglia in C Minor, BWV 582" has been evaluated as being a masterpiece throughout all organ music. This is because the work was compos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passacaglia form and the fugue form in a very unique method by utilizing the excellent counterpoint technique only of Bach, and because the work proposed an infinite musical potential in terms of the variation method with ostinato in organ music.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