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1
B. 연구의 목적 26
C. 연구 방법 및 범위 27
II. 상황분석(Situation Analysis) 28
A. 현재의 상황 28
1. 교회의 상황 28
2. 교회의 지역적 상황 38
B. 이상적 상황 42
C. 장애요소 44
D. 도전과 질문 47
III. 연구(Research) 및 이론적 근거 51
A. 교회의 정의와 본질 51
1. 교회의 정의 52
a. 교회의 어원 52
b. 교회란 무엇인가 56
1) 그리스도의 몸 57
2) 공동체로서 교회 65
3) 성령의 전(殿)으로서의 교회 72
4)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적 실존으로서 교회 76
2. 교회의 본질 77
3. 교회의 표지 81
a. 사도성(使徒性, Apostolizitat)(이미지참조) 81
b. 보편성(普遍性, Katholizitat)(이미지참조) 84
c. 거룩성(聖性, Heiligkeit) 85
d. 통일성(統一性, Einheit) 87
B. 교회의 경험 89
1. 교회 역사속의 사회봉사 흐름 89
a. 교회개척기(1994년-1997년) 89
b. 교회부흥기(1997년-2003년) 90
c. 교회정착기(2004년-2010년) 92
2. 어린이도서관 사역 93
3. 어머니기도회 사역 95
4. 토요학교 사역 96
IV. 변화이론 97
A. 선교적 교회론의 존재 이유 98
B. 선교적 교회론의 역사적 고찰 101
1. A 유형의 신학 112
2. B유형 신학 116
3. C 유형의 신학 118
C. 선교적 교회론의 특징 119
1. 성육신적 교회론(Incarnational Ecclesiology) 134
2. 메시아적 영성(Messianic Spirituality) 141
3. 사도적 리더십(Apostolic Leadership) 145
4. 청지기적 삶(Stewardship) 150
5. 선교적 사회봉사 153
a. 교회와 사회봉사 153
b. 성육신적 사회봉사 163
c. 메시야적 사회봉사 166
d. 사도적 사회봉사 167
e. 청지적 사회봉사 169
D. 선교적 교회론의 종합적 논의 171
V. 타개책(Interventions) 및 비전 177
A. 비전제시 177
1. 어머니기도회 비전제시 179
a. 스테프들과 비전 나누기 179
b. 교인들과 비전 나누기 180
2. 토요학교 비전제시 181
a. 스테프들과 비전 나누기 181
b. 교인들과 비전나누기 183
B. 변화의 요청 183
C. 해빙의 단계 185
D. 변화단계 185
E. 재결빙단계 186
F. 위원회 조직, 훈련, 규범화 187
1. 어머니기도회 187
a. 조직 및 운영 188
1) 조직 188
2) 어머니기도회 운영 큐시트 및 기도회 인도 189
b. 역할 시행과정에서 실시된 사항 193
1) 복수 리더십 193
2) 교역자와 성도들의 도움 193
3) 실제적 사역에 있어서의 협조 194
c. 실천 194
1) 정책적 접근 194
2) 공감대 형성 195
3) 강사초청표(2010년 가을학기) 196
d. 사역의 조정 197
1) 책임의 조정 197
2) 컨텐츠의 연구 및 개발 198
2. 토요학교 199
a. 조직 및 운영 199
1) 조직 199
2) 토요학교 운영 199
목적 199
운영방법 199
2010년도 일암토요학교 연간사업계획 200
2010년도 일암토요학교 사업예산 203
토요학교초기 준비작업일정 206
토요학교 일지 1 207
토요학교 일지 2 208
b. 역할 구분 210
c. 역할 시행과정에서 실시된 사항 211
1) 복수리더십 211
2) 성도들의 도움 212
d. 실천 212
1) 공감대 형성을 위한 모임 212
2) 실시 후 나타나는 현상 213
VI. 평가(Evaluation) 216
A. 변화되어진 내용 216
1. 평가의 목적 216
2. 어머니기도회 설문조사 및 평가 216
3. 토요학교 평가 221
B. 배운 점 223
VII. 결론 225
A. 요약 225
B. 제언 228
부록(Appendix) 230
설문지 230
목회 분석을 위한 설문지 230
어머니기도회 설문지 235
VIII. 참고문헌 237
ABSTRACT 244
초록보기 더보기
필자가 고민하여서 연구하게 된 본 논문은 제도적 교회가 가지는 한계를 제시하면서 출발하였다. 크리스텐덤으로 불리우는 제도적 교회의 한계를 뛰어넘는 선교적 교회론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선교적 교회론 가운데 특히 사회봉사부분을 연구하게 되었다. 교회는 선교적이 되어야 한다. 선교적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교회는 제도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도적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선교적 교회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교회론 중에서 사회봉사 부분을 다루게 되면서 선교적 사회봉사의 영역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필자는 전통교회가 어떻게 하면 제도적 교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제도적 교회는 사람들을 모으는 일에 관심이 많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매력있는 외부를 치장한다. 그러나 존재론적인 교회론의 접근을 하지 않는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이원론의 문제이다. 이 세상의 일과 교회는 구분되어서 하나의 성역이 되어버린 교회의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전통적 교회는 의사소통의 방법이 수직적이고 권위적이다. 이러한 모습으로는 미래를 담을 수 없다.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목회 구조를 만들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전통교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신학적 이론을 구성하게 되었다.
첫째, 성육신적 사역이다. 교회는 이 세상을 향해 침투해 들어가는 성육신적인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오셔서 사역하신 것처럼 교회는 이 세상을 향해 침투해 들어가야 한다.
둘째, 메시야적 영성이다. 전통교회의 문제는 이원론적 사고의 문제이다. 세상과 멀리 있는 교회의 모습을 보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시야적 영성을 제시한다.
셋째, 사도적 리더십이다. 교회는 이 세상을 향한 리더십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사도적 리더십은 수직적인 리더십이 아니다. 평신도와 목회자와의 구별이 없는 복수 리더십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거룩한 공동체를 이룩한다.
넷째, 청지기적 삶이다. 교회의 사회봉사는 섬기는 사역이다. 자신의 모든 것을 이 세상을 향하여 내어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이 바로 그러하다. 예수 그리스도를 뒤따르는 제자들의 삶이 바로 청지기적 삶인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기반위에 전통교회가 가지는 제도적 문제를 극복하고 모든 교인들로 하여금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하여 사회봉사부분을 실천하기로 했다. 그 중에 프로그램이 바로, 어머니기도회와 토요학교이다. 이러한 사역을 통해서 많은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기존의 사회봉사영역을 선교적 교회론의 시각으로 재정립하여 프로그램화하여 교회의 조직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불신자들이 교회에 들어올 수 있는 계기가 제공된 것이다. 본 연구를 하면서 생각하게 된 것은 교회의 사회봉사가 선교적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섬기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세상은 그러한 우리들의 모습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8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