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9
II. 본론 11
1. 모차르트의 생애 11
2. 안톤 슈타들러(Anton Stadler) 14
3. 모차르트와 바셋호른 15
3.1. 바셋호른 15
3.2. 모차르트의 바셋호른 작품 17
3.3. 바셋호른의 발전 18
3.4. 바셋호른 협주곡 초고 21
3.5. 슈타들러에 의한 클라리넷의 개조 21
3.6. 바셋호른과 바셋클라리넷 25
4.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K. 622≫ 28
4.1. 제 1 악장 Allegro 가장조 4/4박자 29
4.2. 제 2 악장 Adagio 라장조 3/4박자 52
4.3. 제 3 악장 Rondo Allegro 가장조 6/8박자 61
III. 결론 84
IV. 참고문헌 86
ABSTRACT 87
악보 1: 제 1 주제 제시, 1-4 마디 31
악보 2: 제 1 주제의 반복과 완전종지, 9-16 마디 32
악보 3: 전환적인 제 3 악절, 16-19 마디 33
악보 4: 제 1 주제의 다성적인 전개, 25-27 마디 33
악보 5: 제 2 구분의 단편적인 소재, 39-41 마디 34
악보 6: 제 1 주제의 B 에 기초를 두는 선율의 도입, 49-51 마디 34
악보 7: 제 2 주제의 리듬 도입, 72-79 마디 35
악보 8: 솔로 클라리넷의 제 2 주제의 제시(전반부), 75-88 마디 35
악보 9: 제 5 군의 제 1 구분, 전개부로의 전환, 100-104 마디 37
악보 10: 제 5 군의 제 2 구분의 전환부, 115-127 마디 37
악보 11: 제 1 주제 A, 솔로 클라리넷의전개, 128-141 마디 39
악보 12: 제 2 군의 소재의 전개의 16 분음표의 빠른 움직임, 154-161 마디 40
악보 13: 제 1 주제 B, 솔로 도입의 준비, 164-170 마디 41
악보 14: 제 1 주제 A 의 자유로운 전개의 16 분음표의 빠른움직임, 172-180, 193- 199 마디 42
악보 15: 제 2 주제의 전개, 전환적인 성격, 200-210 마디 43
악보 16: 제 5 군의 종결, 227-238 마디 44
악보 17: 라장조의 시작과 가장조로의 이동, 239-253 마디 45
악보 18: 제 1 주제의 재현과 약간의 변주, 251-254 마디 47
악보 19: 제 2 주제의 재현과 자유로운 변화, 272-282 마디 48
악보 20: 종지의 재현과 자유로운 변화 288-295 마디 49
악보 21: 화성적인 음형, 단편적인 소재, 솔로 클라리넷의 기교적인 움직임,316-324 마디 50
악보 22: 제 3 부, 제 4 군, 제 2 구분의 제 1 주제의 B 형 도입, 343-359 마디 51
악보 23: 제 1 부, 제 1, 2 악절의 동일 선율, 1-25 마디 54
악보 24: 제 2 부, 제 1 군의 선율, 33-36 마디 56
악보 25: 제 2 부, 제 2 군의 선율, 54-59 마디 57
악보 26: 제 1 부의 제 1, 3 악절의 재현, 60-77 마디 59
악보 27: 제 3 부의 제 2 군 선율, 83-87 마디 60
악보 28: 솔로 클라리넷의 제 1 부, 제 1 구분의 제 1 주제, 1-8 마디 63
악보 29: 제 1 부, 제 1 군, 제 2 구분, 8-10 마디 64
악보 30: 제 1 부, 제 1 군, 제 3 구분, 16-23 마디 65
악보 31: 제 1 부, 제 1 군, 제 4 의구분, 24-35 마디 66
악보 32: 제 1 부, 제 2 주제의 제시, 35-42 마디 67
악보 33: 제 1 부, 제 2 군, 제 2 구분의 새로운 소재의 도입, 43-56 마디 68
악보 34: 제 1 부, 제 3 군, 제 1 구분의 제 3 주제, 57-64 마디 69
악보 35: 제 1 부, 제 3 군, 제 1 구분의 제 3 주제의 후반부, 69-72 마디 70
악보 36: 제 1 부, 제 3 군, 제 2 구분의 주제 소재 전개, 72-76 마디 70
악보 37: 솔로 클라리넷의 16 분음표의 빠른 패시지, 84-89 마디 71
악보 38: 새로운 주제의 전환적인 부분, 97-109 마디 72
악보 39: 제 2 부, 제 1 군, 120-135 마디 74
악보 40: 제 2 부, 제 2 군, 제 1 구분, 137-147 마디 75
악보 41: 제 2 부, 제 2 군, 제 2 구분의 단편적인 새로운 소재의 도입, 161-164 마디 76
악보 42: 제 2 부, 제 2 군, 제 3 구분의 제 1 주제의 소재를 이용한 전환적인 부분, 178-179 마디 76
악보 43: 제 2 부, 제 3 군, 제 1 구분의 제 3 주제의 전개, 196-207 마디 77
악보 44: 제 2 부, 제 3 군, 제 2 구분의 솔로 클라리넷의 빠른 패시지, 주제 소재의 발전, 207-221 마디 78
악보 45: 제 3 부, 제 3 군, 제 1 구분의 솔로 클라리넷의 16 분음표의 빠른 패시지, 301-310 마디 80
악보 46: 제 3 부, 제 3 군, 제 2 구분의 제 1 주제의 소재의 전개, 321-328 마디 81
악보 47: 제 3 부, 제 3 군, 제 2 구분의 솔로 클라리넷에 의해 제 1 주제, 자유로운 화성적인 움직임, 334-353 마디 82
모차르트는 그의 작곡에 있어서 클라리넷과 바셋호른(Basset-horn)을 아주 특별히 다루고 있었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클라리넷 자체가 독주 악기로서 유명하지는 않았고, 주로 화음을 이루는 반주 악기였다.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클라리넷 연주가로서 유명했던 안톤 슈타들러(Anton Stadler)는 모차르트와 아주 긴밀한 관계를 가진 동료였다. 모차르트는 슈타들러의 클라리넷 연주 능력을 아주 높이 평가하였다. 슈타들러라는 클라리넷 연주자가 있었기에 모차르트가 클라리넷과 바셋호른이라는 악기에 주목한 것이었다는 것은 지나친 말은 아니다. 슈타들러가 클라리넷이라는 악기를 개조하고, 바셋호른을 만들었다고 하는 것도 역사적인 사실일 것이다.
모차르트는 많은 협주곡을 작곡을 하였는데,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K. 622≫는 그의 마지막 협주곡이며, 이 작품은 슈타들러를 위해서 작곡을 하였다. 이 작품은 220여년 전에 작곡이 되었지만, 악보 출판사들은 많은 고증을 통해서 수많은 수정본을 새롭게 출판을 하고, 음반회사 또한 새로운 음반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모차르트 협주곡이 얼마나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차르트와 슈타들러와의 관계, 클라리넷과 바셋호른 악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바셋호른의 발전과 바셋호른 협주곡 초고와 슈타들러의 클라리넷 개조에 대하여 언급을 하였다.
또한, ≪클라리넷 협주곡 가장조, K. 622≫의 분석을 통하여 연주에 있어서 필요한 악곡분석과 연주가의 연주법등을 소개함으로써 이 작품을 준비하는 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