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서론 6
1. 연구목적 6
2. 연구범위 및 방법 7
본론 8
1. 18세기 음악 안에서 클라리넷의 역할 변화상 8
(1) 18세기 클라리넷의 제작 및 발전 9
(2) 작곡가와 연주자 14
2. 모차르트 작품 속에서 클라리넷의 역할 변화상 20
(1) 역사적 고찰 20
(2) 모차르트 작품에서의 클라리넷 25
3. 모차르트, 《클라리넷 5중주》K581작품 분석 35
(1) 작품의 개요 35
(2) 1악장 분석 37
(3) 2악장 분석 45
(4) 3악장 분석 49
(5) 4악장 분석 53
결론 60
참고문헌 62
ABSTRACT 64
[그림 1] 초기의 샬뤼모 9
[그림 2] 덴너 가에 의해서 제작된 악기 10
[그림 3] R. Baur에 의한 3키의 C조 클라리넷, 1760년 제작 11
[그림 4] John Hale에 의한 5키의 C조 클라리넷, 1785년 제작 11
[악보 1] 모차르트, 《코지 판 투테》, 1막 13
[악보 2] 모차르트, 《레퀴엠》중 "Dona eis requiem" 23
[악보 3] 모차르트, 《이도메네오》, 서곡 중 제1주제 26
[악보 4] 모차르트,《황제 티토의 자비》중 Scena IX, No. 9 아리아〈Parto, ma tu ben mio〉(마디 44-53) 27
[악보 5]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중 클라리넷 사용의 예1 30
[악보 6]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중 클라리넷 사용의 예2 31
[악보 7]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중 클라리넷 사용의 예3 33
[악보 8] 1악장의 시작부분- 제1주제부 중, 마디 1-16 38
[악보 9] 제시부- 경과부의 도입부분 (마디 19-33) 40
[악보 10] 제시부- 제2주제부 도입 (마디42-53) 41
[악보 11] 발전부 중 단락 ② (마디 99-110) 42
[악보 12] 재현부- 경과부 중 (마디 126-134) 43
[악보 13] 2악장- 단락 A (마디 1-19) 46
[악보 14] 2악장- 단락 B2 중 14-1, 마디 32-37 47
[악보 15] 3악장- 미뉴엣 중 단락 a, b (마디 1-24) 50
[악보 16] 3악장- Trio I 중 단락 a (마디 33-48) 51
[악보 17] 3악장- Trio II 중 단락 a의 시작부분, 단락 a'의 종결부분 52
[악보 18] 4악장- 주제부분 (마디 1-16) 54
[악보 19] 4악장- Var.I (마디 17-32) 55
[악보 20] 4악장- Var.II와 Var.III 56
[악보 21] 4악장- Var.IV 57
[악보 22] 4악장- Adagio(Var.V) 중 (마디 93-96) 58
[악보 23] 4악장- Coda 중 (마디 118-129) 59
18세기 클라리넷은 제작에서 발전까지 수많은 변화를 겪고 있었다. 그 속에서 모차르트라는 고전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는 클라리넷을 모든 장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냈다. 모차르트에게 클라리넷은 슈타들러라는 명연주자와의 관계와 맞물려서 자신의 음악적 표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수용이 결국 작품 속에서의 클라리넷의 역할을 공고히 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클라리넷 역사 속에서의 악기 역할 변화상을 고찰해보고, 음악 문화의 역사적 변화 아래 모차르트라는 인물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볼 것이다. 2장에서는 모차르트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클라리넷의 역할 변화를 조금 더 심층적으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활용하여 분석해 볼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클라리넷을 위한 대표적인 작품인 《클라리넷 5중주》의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서 모차르트 작품에서의 클라리넷역할을 되짚어 볼 것이다.
본 논문은 《클라리넷 5중주》 악곡 분석에만 단순히 집중하지 않고, 이 작품이 작곡된 18세기 당시의 클라리넷 역할과 효과의 변화를 고찰하면서, 이것이 실제 작품에서 어떠한 음악적 현상들로 적용되었는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또한 18세기 클라리넷이라는 악기의 발전사는 실제 연주자들에게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통해 그 시대의 작품 연구에 보다 객관적이고 다층적인 분석을 제안하게 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