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감사의 글 6

Ⅰ. 서론 8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8

B. 연구방법 및 범위 11

Ⅱ. “■(이솨 자라)”와 “■(노크리야)”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이미지참조) 13

A. 제의적 해석 15

B. 사회학적 해석 18

C. 문학적 해석 20

D. 실제적 인물로서의 해석 22

E. 여성신학적 해석 24

Ⅲ. 잠언 1-9장의 “■(이솨 자라)”와 “■(노크리야)”(이미지참조) 26

A. 2장 16-19절 27

B. 5장 1-23절 30

C. 6장 20-35절 35

D. 7장 1-27절 38

E. 9장 13-18절 42

F. 소결론: 잠언 1-9장의 “■(이솨 자라)”와 “■(노크리야)”(이미지참조) 45

Ⅳ. 쿰란 문헌의 “■(이솨 자라)”와 “■(노크리야)”(이미지참조) 47

A. 쿰란 문헌에 대한 전반적 이해 47

B. 4Q184 사역 및 해설 49

1. 본문 사역 51

2. 본문 해설 (잠언 1-9장과 비교하여) 57

C. 소결론: 4Q184의 “■(이솨 자라)”와 “■(노크리야)”(이미지참조) 62

Ⅴ. 결론 64

A. 잠언 1-9장의 “■(이솨 자라)”와 “■(노크리야)”와 쿰란 문헌 4Q184의 “어리석은 여인”의 공통적인 특징(이미지참조) 64

B. "음녀"나 "이방 계집"의 번역 문제 67

(1) 잠언 2장 16-19절 68

(2) 잠언 5장 1-23절 68

(3) 잠언 6장 20-35절 70

(4) 잠언 7장 1-27절 71

(5) 잠언 9장 13-18절 72

참고문헌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