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2

1. 서론 17

1.1. 연구배경 및 목적 18

1.2. 연구범위 및 방법 27

2. 미술관의 개념변천 및 유형분류개념을 위한 기초 연구 31

2.1. 미술관의 개념변천 32

2.1.1. 미술관의 개념변천 및 역사적 배경 32

2.1.2. 신고전주의와 미술관 건축 42

2.2. 미술관의 세대구분 및 공간구성 특성 45

2.2.1. 미술관의 세대구분 및 특성 45

2.2.2. 미술관 건축의 공간구성 변천 및 특성 52

2.3. 유형분류의 기본전제 및 필요성 60

2.3.1. 유형분류의 기본전제 60

2.3.2. 유형분류의 필요성 61

2.3.3. 건축 유형학의 전개 및 개념변천 62

2.3.4. 미술관 건축의 유형분류개념 및 선행연구 68

3. 사례대상 미술관의 계획학적 유형분류 83

3.1. 사례대상 미술관 선정 및 유형분류 기준 84

3.1.1. 사례대상 미술관 선정 84

3.1.2. 계획학적 유형분류 기준 제시 91

3.2. 미술관의 계획학적 유형분류에 따른 특성 분석 99

3.2.1. 분석대상 미술관의 유형분류 99

3.2.2. 미술관 유형별 특성 분석 107

3.2.3. 유형별 상관분석 111

3.3. 소결 : 미술관의 계획학적 유형분류 특성 종합 117

4.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의한 미술관 공간구성 특징 분석 121

4.1. 공간구문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분석기준 122

4.1.1. 공간구문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적용 필요성 122

4.1.2. 공간구문론 적용변수 및 분석기준 127

4.2. 분석대상 미술관 선정 및 각 사례별 특징 분석 132

4.2.1. 분석대상 미술관 선정 132

4.2.2. 각 사례별 공간구조 분석 136

4.3. 공간구문론에 따른 공간구성 분석 149

4.3.1. 접근성 종합 분석 150

4.3.2. 명료성 종합 분석 152

4.3.3. 통제성 종합 분석 154

4.4. 소결 : 공간구문론에 따른 미술관 공간구성 특징 종합 156

5. 미술관 기본계획을 위한 상관분석 및 유형분류 161

5.1. 계획학적 유형과 공간구문론적 특징 상관분석 162

5.1.1. 접근성 상관분석 162

5.1.2. 명료성 상관분석 168

5.1.3. 통제성 상관분석 173

5.2. 미술관 유형분류 및 특성분석 178

5.2.1. 직렬 방사형 미술관 및 공간구성 특성 184

5.2.2. 병렬 방사형 미술관 및 공간구성 특성 192

5.2.3. 선형 미술관 및 공간구성 특성 195

5.2.4. 그리드형 미술관 및 공간구성 특성 198

5.3. 각 유형별 대표 미술관 사례분석 202

5.3.1. 직렬 방사형 미술관 사례분석 202

5.3.2. 병렬 방사형 미술관 사례분석 205

5.3.3. 선형 미술관 사례분석 209

5.3.4. 그리드형 미술관 212

5.4. 21세기 미술관 건축 및 최근 경향 215

5.5. 소결 : 미술관 기본계획을 위한 유형분류 종합 222

6. 결론 231

참고문헌 239

부록 247

A. 95개 분석대상 미술관 선정 및 국가별 분포도 248

B. 공간구문론에 의한 각 사례별 공간구조 분석 250

C. 공간구문론 수치자료 276

ABSTRACT 295

감사의 글 303

표목차

〈표 2-1〉 미술관의 개념변천 및 특성 44

〈표 2-2〉 미술관의 세대구분 개념 47

〈표 2-3〉 제1세대-고전적 미술관 건축의 공간구성 특성 48

〈표 2-4〉 제2세대-근대 미술관 건축의 공간구성 특성 50

〈표 2-5〉 제3세대-현대 미술관 건축의 공간구성 특성(1/2) 53

〈표 2-6〉 제3세대-현대 미술관 건축의 공간구성 특성(2/2) 54

〈표 2-7〉 건축 유형학의 전개과정 68

〈표 2-8〉 국외의 미술관 유형분류 관련 선행연구 사례 72

〈표 2-9〉 국내의 미술관 유형분류 관련 선행연구 사례 78

〈표 3-1〉 서상우의 연면적에 따른 미술관 규모분류 (외국 미술관의 경우) 86

〈표 3-2〉 박석수의 연면적에 따른 미술관 규모분류 86

〈표 3-3〉 새로이 제안하는 연면적에 따른 미술관 규모분류 86

〈표 3-4〉 95개 분석대상 미술관 리스트 87

〈표 3-5〉 미술관 평면구성에 따른 유형분류 및 특성 93

〈표 3-6〉 미술관 전시공간 구성에 따른 유형분류 및 특성 96

〈표 3-7〉 동선구성 체계에 따른 유형분류 및 특성 98

〈표 3-8〉 분석대상 미술관(95개관) 유형분류 - 시대별/ 규모별/ 유형분류기준별 99

〈표 3-9〉 규모별 유형분포도 104

〈표 3-10〉 평면구성과 전시공간 구성간의 상관분석 105

〈표 3-11〉 전시공간 구성과 동선구성간의 상관분석 105

〈표 3-12〉 95개 미술관 유형분류 통계표 106

〈표 3-13〉 전시(G) 및 동선(C) 유형에 따른 평면(P)구성 유형별 해당 미술관 구분 112

〈표 3-14〉 평면(P) 및 동선(C) 유형에 따른 전시공간(G)구성 유형별 해당 미술관 구분 114

〈표 3-15〉 평면(P) 및 전시공간(G) 유형에 따른 동선(C)구성 유형별 해당 미술관 구분 116

〈표 4-1〉 공간구문론에 의한 공간구조 분석기준 132

〈표 4-2〉 개관연도 및 세대구분에 의한 33개 2차 분석대상 미술관 분류 134

〈표 4-3〉 유형분류 기준에 의한 33개 2차 분석대상 미술관 구분 135

〈표 4-4〉 Das Altes Museum 분석 137

〈표 4-5〉 Kimbell Art Museum 분석 138

〈표 4-6〉 Menil Collection & Museum 분석 139

〈표 4-7〉 Museum fur Moderne Kunst, Frankfurt 분석 140

〈표 4-8〉 Toyota Municipal Museum of Art 분석 141

〈표 4-9〉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Diego 분석 142

〈표 4-10〉 Chichu Art Museum 분석 143

〈표 4-11〉 전체통합도와 전체깊이에 따른 33개 미술관 유형구분 146

〈표 4-12〉 전체통합도와 전체연결도에 따른 33개 미술관 유형구분 148

〈표 4-13〉 주요 단위공간별 접근성 종합분석 (X축 - 통합도, Y축 - 깊이) 150

〈표 4-14〉 주요 단위공간별 명료성 종합분석 (X축 - 통합도, Y축 - 연결도) 152

〈표 4-15〉 주요 단위공간별 통제성 종합분석 (X축 - 통합도, Y축 - 통제도) 154

〈표 5-1〉 평면구성에 따른 주요 공간별 접근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깊이) 163

〈표 5-2〉 전시공간 구성에 따른 주요 공간별 접근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깊이) 165

〈표 5-3〉 동선구성 체계에 따른 주요 공간별 접근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깊이) 167

〈표 5-4〉 평면구성에 따른 주요 공간별 명료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연결도) 169

〈표 5-5〉 전시공간 구성에 따른 주요 공간별 명료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연결도) 171

〈표 5-6〉 동선구성 체계에 따른 주요 공간별 명료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연결도) 172

〈표 5-7〉 평면구성에 따른 주요 공간별 통제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통제도) 174

〈표 5-8〉 전시공간 구성에 따른 주요 공간별 통제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통제도) 176

〈표 5-9〉 동선구성 체계에 따른 주요 공간별 통제성 분포도 (X축 - 통합도, Y축 - 통제도) 177

〈표 5-10〉 미술관 건축 유형 상관관계도 179

〈표 5-11〉 유형분류 기준에 의한 33개 2차 분석대상 미술관 구분 180

〈표 5-12〉 새 유형별 미술관(33개관) 구분 181

〈표 5-13〉 각 유형별 전체값(평균값) 그래프 182

〈표 5-14〉 각 유형별 다이어그램 183

〈표 5-15〉 분석대상 미술관(95개관) 새 유형분류-직렬 방사형/ 병렬 방사형/ 선형/ 그리드형 185

〈표 5-16〉 직렬 방사형 미술관 주요 공간별 분포도 189

〈표 5-17〉 직렬 방사형 미술관 사례분석도 190

〈표 5-18〉 병렬 방사형 미술관 주요 공간별 분포도 193

〈표 5-19〉 병렬 방사형 미술관 사례 분석도 194

〈표 5-20〉 선형 미술관 주요 공간별 분포도 196

〈표 5-21〉 선형 미술관 사례 분석도 197

〈표 5-22〉 그리드형 미술관 주요 공간별 분포도 199

〈표 5-23〉 그리드형 미술관 사례 분석도 200

〈표 5-24〉 샌프란시스코현대미술관 사례분석표 202

〈표 5-25〉 빌바오구겐하임미술관 사례분석표 203

〈표 5-26〉 키아즈마현대미술관 사례분석표 204

〈표 5-27〉 하이미술관 사례분석표 206

〈표 5-28〉 게티센터 사례분석표 207

〈표 5-29〉 휴스턴미술관 사례분석표 208

〈표 5-30〉 메닐컬렉션미술관 사례분석표 209

〈표 5-31〉 팅글리뮤지엄 사례분석표 210

〈표 5-32〉 지중미술관 사례분석표 211

〈표 5-33〉 프랑크푸르트조형예술뮤지엄 사례분석표 212

〈표 5-34〉 바이엘러미술관 사례분석표 213

〈표 5-35〉 스톡홀름현대미술관 사례분석표 214

〈표 5-36〉 덴버아트뮤지엄 사례분석표 216

〈표 5-37〉 리옹 미술관 사례분석표 218

〈표 5-38〉 까그리아리현대미술관 사례분석표 219

〈표 5-39〉 도쿄 국립신미술관 221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배경 22

〈그림 1-2〉 프랭크 게리-구겐하임 뮤지엄 아부다비 계획안 24

〈그림 1-3〉 자하 하디드-공연예술센터 계획안 24

〈그림 1-4〉 연구 구성도 30

〈그림 2-1〉 아테네의 보고(寶庫, Treasure Chamber), BC490 32

〈그림 2-2〉 보고 내 볼트(Vault)구조, Albrecht Durer의 목각(1515) 32

〈그림 2-3〉 Grand Duke Francesco의 스튜디오, 1570-72, 플로렌스 34

〈그림 2-4〉 루브르의 그랜드 갤러리 그림, Hubert Robert, 1794-96 34

〈그림 2-5〉 갤러리, 베르사이유 궁전 35

〈그림 2-6〉 유리홀, 베르사이유 궁전 35

〈그림 2-7〉 Roman Hall, Neue Museum, Berlin 36

〈그림 2-8〉 Cabinet, Kaiser-Freidrich Museum, Berlin 36

〈그림 2-9〉 불레의 미술관 계획안(1783) 37

〈그림 2-10〉 슈투트가르트 뮤지엄 신관 배치도 39

〈그림 2-11〉 뮤지엄 진입부 39

〈그림 2-12〉 프랑크푸르트의 샤우마인카이 뮤지엄거리(River Bank of Museums, Schaumainkai) 40

〈그림 2-13〉 미술관의 시대적 변천 및 사고체계의 변화 41

〈그림 2-14〉 바티칸 피오클레멘티노 실내전경 42

〈그림 2-15〉 내외부에서 출입이 가능 한 SF MoMA 편의시설 56

〈그림 2-16〉 관람객과 직원의 동선이 확연이 구분된 휴스턴의 메닐컬렉션 뮤지엄 56

〈그림 2-17〉 MFA Houston의 그룹핑형식 사례 58

〈그림 2-18〉 애틀랜타 하이미술관의 세 겹 공간구성 사례 58

〈그림 2-19〉 자연광을 고르게 유입하기 위한 메닐컬렉션 미술관 및 바이엘러 미술관의 천장 단면도 60

〈그림 2-20〉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1755 64

〈그림 2-21〉 듀랑의 건축요소 66

〈그림 2-22〉 듀랑의 미술관 계획안 (1802-05) 70

〈그림 2-23〉 게티센터의 중정형 평면도 73

〈그림 2-24〉 멕시코 타마요 미술관의 선큰된 메이저 스페이스 73

〈그림 2-25〉 베를린 신국립미술관 73

〈그림 2-26〉 한국의 독립기념관 배치도 74

〈그림 2-27〉 쉰켈의 베를린 알테스 미술관 평면도 75

〈그림 2-28〉 꼬르뷔제의 Mundaneum 계획안(1929) 75

〈그림 2-29〉 꼬르뷔제의 성장하는 미술관 계획안 개념도 75

〈그림 2-30〉 뉴욕 구겐하임미술관 단 면도 76

〈그림 2-31〉 바르셀로나 독일관 평면도 77

〈그림 2-32〉 베를린 뉴 내셔널 갤러리 평면도 77

〈그림 3-1〉 95개 미술관 평면구성에 따른 세대별 유형분포도 (세로축은 각 구간별 백분율(%)을 의미함) 107

〈그림 3-2〉 95개 미술관 전시공간 구성에 따른 세대별 유형분포도 (세로축은 각 구간별 백분율(%)을 의미) 109

〈그림 3-3〉 95개 미술관 동선구성 체계에 따른 세대별 유형분포도 (세로축은 각 구간별 백분율(%)을 의미) 110

〈그림 3-4〉 전시(G) 및 동선(C) 구분에 따른 평면(P)구성 유형별 분포도 112

〈그림 3-5〉 평면(P) 및 동선(C) 구분에 따른 전시공간(G)구성 유형별 분포도 114

〈그림 3-6〉 평면(P) 및 전시공간(G) 구분에 따른 동선구성(C) 유형별 분포도 116

〈그림 4-1〉 공간위상도의 작성방법 및 개념 125

〈그림 4-2〉 접근성, 명료성, 통제성 상관도 132

〈그림 4-3〉 전체통합도 개념도 144

〈그림 4-4〉 전체통합도와 전체깊이 상관관계 144

〈그림 4-5〉 단위공간 개수와 전체깊이와의 상관관계 145

〈그림 4-6〉 전체통합도와 전체깊이에 따른 33개 미술관 분포도 146

〈그림 4-7〉 전체통합도와 전체연결도 상관관 계 개념도 147

〈그림 4-8〉 전체통합도와 전체연결도에 따른 33개 미술관 분포도 148

초록보기

‘미술관(Art Museum)’이라는 건축 유형이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의 하나를 문화, 사회, 예술, 자연과학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전시품을 보관ㆍ전시하고 이를 다수의 대중에게 관람시키는 역할이라고 볼 때, 개인의 차원을 넘어 다수의 일반 관람객에게 개방되는 근대적 의미의 미술관 건축은 교회나 도서관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건축유형에 비해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변화, 미술관 기능과 사회적 역할의 변화 및 관람자의 다양해지는 지적 요구에 따라 그 존재의 개념을 달리 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하여 온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일치성, 보편성, 대중성 또는 합리성을 추구하였던 모더니즘의 보편적 사고보다는 개별적인 사고가치와 다양성을 기초로 이중성과 창조성이 강조되는 다원적(Pluralism) 사고가 존중받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공간의 표현방식에 있어서도 인간중심적인 사고를 중심으로 개인의 감각을 통해 얻어지는 느낌이나 감성적 태도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오늘날의 미술관은 단순히 전시, 보존, 연구기능뿐 아니라 공연을 비롯한 방문객의 휴식, 여가 및 교육정보위락(eduinfotainment)를 겸한 공공장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다기능적 건축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전시공간 구성에 있어서도 작가의 의도나 큐레이터의 보편적인 정보전달체계에서 벗어나 관람객 스스로의 움직임을 통한 스스로의 의미를 창출하며 다양한 정보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이전보다 복잡한 정보추출방법 이나 의미전달방법에 의한 전시공간 구조와 다양한 동선체계를 갖춘 미술관들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보편화 시대에서 다원화 시대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시대적 배경 하(下)에 지금까지 지어진 미술관에 대한 유형화 작업을 통해 건축적 이해를 도모하고 연속적 맥락에서의 의사전달 기회를 마련하는 작업은 나름대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품을 위주로 하는 미술관을 대상으로 공간구성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초기 미술관 기획설계단계에 필요한 새로운 유형 및 특성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향후 지어질 새로운 미술관이 지향해야할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5개의 분석대상 미술관을 선정하여 1차적으로 규모 및 계획학적 기준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 미술관 중 유형별 특성이 두드러지는 33개의 미술관을 선별하여 공간 상호간의 위상학적(topological) 관계와 통합관계 및 연결 관계를 정량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한 S_cube 2.0)’을 사용하여 접근성, 명료성, 통제성의 기준을 통해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유형별 공간구성 특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계획학적 유형의 특성과 공간구문론에 의한 공간구성 특징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미술관 건축의 기본계획을 위한 공간구성별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고, 유형별 공간구성 특성을 종합ㆍ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술관은 주제, 성격, 운영 및 전시 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규모계획에 의해서도 적용되는 유형구분이 어느 정도 명확하게 분류 가능하였으며, 따라서 추진하고자 하는 미술관의 규모에 따라 유형뿐 아니라 적용 가능한 공간구조에 대한 예측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계획학적 유형분류를 통해 평면구성에 있어서는 중심홀형과 보편형을 중심으로 다원화시기에 적응하기 위한 미술관의 공간구조적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21세기에 들어서는 중심홀형이 보편형보다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대기적 순서 또는 주제별 분리에 의한 전시형식에 따른 연속실형이 제3세대에 들어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연속실형과 개방형의 비중이 줄어들고, 관람객 스스로의 동선선택에 의한 다양한 공간체험학습이 가능한 홀복도형과 복합형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동선구성 체계에 따른 유형에서는 관람객의 다양한 공간경험을 중요시하는 제3세대 다원화시기의 미술관에서는 강제순환방식보다 선택순환방식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두 가지 유형이 혼용된 절충형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미술관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라 미술관의 정보전달 체계에서의 변화도 예측된다.

3) 계획학적 유형 특성과 공간구문론에 의한 공간구성 특징의 상관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제시한 4가지 유형은 ①직렬 방사형, ②병렬방사형, ③선형, ④그리드형으로, 이 유형을 통해 95개 미술관을 재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계획학적 유형분류에 의한 미술관과 비교하면, 집중형은 직렬 방사형 및 병렬방사형과 공간구조적 특징을 같이 하며, 분동형의 경우는 대공간의 역할을 담당하는 중정으로 인해 방사형 미술관 성격의 공간구조를 보이고,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미술관에 적용되는 분리형과 보편형의 경우는 미술관 특성에 따라 선형과 그리드형으로 분리된다. 또한 개방형 미술관의 전시유형은 주로 그리드형의 공간 구조적 특성을 따르며 선택순환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탈구조적ㆍ탈장르적 성향의 건축형태와 다양한 전시 공간 구조 및 동선체계를 갖춘 미술관이라 할지라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유형에 의해 모두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층별 가용면적의 변화로 인해 층별 유형을 달리하며 두 가지의 유형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미술관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기획ㆍ순회전시의 증가로 인해 기획전시만을 주관하는 전문미술관의 출현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이런 유형의 미술관이 가지고 있는 공간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5) 전시 중심의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제1세대 미술관과 사회적 역할의 변화 및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의 등장에 따른 과도기적 공간구조를 보이는 제2세대 미술관은 주로 평면구성 또는 외부형태분석만으로도 유형구분이 가능하였으나 관람객의 움직임에 의한 공간경험을 중시하는 다원화시기의 제3세대 미술관에서는 전체 공간구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는 종합적 관점에서의 유형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ㆍ분석을 토대로 향후 새로운 미술관 계획 시 고려되어져야할 내용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대 미술관은 작가의 의도나 큐레이터의 보편적인 정보전달체계에서 벗어나 관람객 스스로의 움직임을 통한 스스로의 의미를 창출하며 다양한 정보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관점에서 공간적 질서는 관람객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창출해 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대 미술관의 특성 및 경향을 보다 적합하게 수용할 수 있는 유형으로 ‘홀복도형’ 또는 ‘복합형’ 전시공간 구성과 ‘선택순환’ 또는 ‘절충형’ 동선구성형식을 포함하며 공간간 네트워킹이 유기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병렬 방사형’과 ‘그리드형’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 인간의 다양한 경험을 중시하는 제3세대 다원화시기의 미술관은 다양한 외관만큼이나 복잡한 공간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병렬식 공간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경로선택 및 공간체험 제공이라는 장점도 있으나 전체공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며 길 찾기(way-finding)에 대한 어려움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관의 공간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공간 위계(hierarchy) 설정을 통해 공간에 질서를 부여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하며, 이를 통한 식별성과 심리적 안정감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특히 고전적 미술관에서부터 출발하여 미술관 건축의 역사와 맥(脈)을 같이하고 있는 ‘중심성(centrality)’의 개념은 다원화 시기의 미술관에서도 중요한 공간구성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현대 미술관에서 중심의 위치는 대칭적이고 획일화된 근대적 공간구성에서 벗어난 비대칭ㆍ비정형 형태로 탈 중심적 특성을 보이며 다원화 시기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앞으로의 미술관에서는 다차원적이며, 실험적이고, 설치적 성격의 예술적 경향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기능과 전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들을 수용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의 유용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21세기 들어 기획 전시만을 주관하는 미술관이 출현하는 등 기획ㆍ순회전시의 증가로 인한 기획전시실의 가변적 활용이 필수적이고, 이는 종래의 상설전시와 기획전시의 엄격한 구분을 수정하는 개념으로서 현대의 미술관건축계획에 기여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상설전시공간의 일부에 기획전시공간을 병치시키거나 전통적 구성기법을 현대적으로 변화시킨 대소 전시공간의 적절한 병렬배치구획 등을 통해 필요에 따라 확장 가능한 공간구조를 이용하여 공간의 가동성을 높여야 한다.

4) 주제전시, 연대기적 전시, 비교전시 등과 같이 교육적 목적이 강한 전시를 위한 공간구조로는 전시공간의 구성방법이나 동선흐름상 연속적인 배열이 가능한 직렬방사형 또는 선형이 비교적 유리하며, 직렬 방사형의 경우 통합도가 높은 대공간을 위상학적 중심으로 구축하고 층별 주제 및 연대기적 구분을 통한 수직적 배열도 가능하다. 반면 회화, 조각 등의 미술품을 중심으로 하는 전시의 경우 통제되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의 무작위적 경로선택이 가능한 선택순환방식 또는 절충형 동선구조가 바람직하며, 이를 실현시키기에 유리한 병렬 방사형 또는 그리드형이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5) 미술관의 운영방향, 성격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신축하고자 하는 미술관의 규모계획에 의해서도 유형 및 공간구조의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층 이상의 미술관에서는 깊어지는 공간 깊이로 인해 관람객의 경로 선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뉴욕구겐하임미술관처럼 위상학적 중심에 대공간을 설치하여 사회적 공간을 제공하거나 애틀랜타하이미술관과 같이 대공간 주변에 휴게, 부분전시, 또는 정보습득 등 상징적ㆍ다기능적 성격의 홀복도 공간을 분산배치시킴으로써 공간깊이에 따른 부담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며, 공간위계상 먼 곳에 위치하는 전시공간을 ‘개방형’으로 계획함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줄일 수 있다.

6) 현대의 미술관은 무엇보다 지역사회 및 도시공간과의 관계, 그것과의 상호연계하는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 문화적 영향력 및 파급효과, 도시경제 활성화, 관람객과의 관계설정, 관람객 참여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사회ㆍ경제ㆍ문화적 측면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활동프로그램과 운영관리 체계를 구축하면서 상기의 내용들을 수용할 수 있는 탄력적인 공간적 대응과 건축적 해결을 통해 미술관이 해당 지역사회에 올바르게 정착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이 시급한 당면과제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20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On the Typolog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33, 1964 미소장
2 "Musee." Reprinted in Completes, vol I., Paris: Gallimard, 1970(1930) 미소장
3 The Architecture of the French Enlightenment, Thames & Hudson, 1980 미소장
4 The New Museum: Architecture and Display, New York: Frederick A. Praeger, 1965 미소장
5 "Democratic monument", Architectural Review, London, December 1984 미소장
6 "On the museum's ruins" H. Foster (Ed). The antiaesthe- tics: Eassays on postmodern culture. Port Townsend, Washington: Bay Press, 1983 미소장
7 Museums and Art Gallery, Images Publishing, Victoria, Australia, 2003 미소장
8 "Virtuosity around a void", Architectural Review, London, December 1984 미소장
9 Typological Production in Architecture, University Penn, 1983 미소장
10 The Order of Things: An Archaeology of the Human Sciences, New York: Vintage, 1973(1966) 미소장
11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London: Thames & Hudson, 1980 미소장
12 Architecture of Museums,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1968 미소장
13 Museums in the 21st Century; Concepts Projects Buildings, Prestel, MunichBerlinLondonNew York, 2006 미소장
14 High Museum of Art, Renzo Piano's Village for the Arts, High Museum of Art, Atlanta, 2005 미소장
15 The Social Logic of Space 네이버 미소장
1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6 미소장
17 The Modern Museum: Temple or Showroom, Jerusalem: Dvir Publishing House, 1983 미소장
18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What's New and What's Not 네이버 미소장
19 The Manual of Museum Planning, HMSO, London, 1991 미소장
20 The Concept of Type in Architecture: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Architectural For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Zurich, Swiss: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1995 미소장
21 Buildings as classifying devices 네이버 미소장
22 "Museum without walls". The Voices of Silen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미소장
23 Richard Meier Museum für Kunsthandwerk Frankfurt am Main, Wilhelm Ernst & Sohn Verlag, Berlin, 1985 미소장
24 Exhibitions in Museum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91 미소장
25 1,3-PROPANEDIOLS FROM KETONES BY FORMYLATION AND REDUCTION 네이버 미소장
26 The Museums of the Last Generation, London: Academy Editions, 1986 미소장
27 New Museums, London: Architecture Design and Technology Press, 1990 미소장
28 Evolution in Architecture, The Cleveland Museum of Art, 1963 미소장
29 A Design Manual: Museum Buildings, BIRKHÄ Peponis, J. & J. Hedin, "the Layout of Theories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9H, no3, 1982 미소장
30 A History of Building Ty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76 미소장
31 Quatremére de Quincy, Type, Oppositions, The MIT Press, NY, 1977. 8 미소장
32 New Museums, Phaidon Press Limited, NY, 2005 미소장
33 Yoshio Taniguchi: Nine Museums,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2004 미소장
34 An Analogical Architecture, Cambridge, MA: MIT Press, 1976 미소장
35 Art Spaces: The architecture of four Tates, Tate Publishing, London, 2004 미소장
36 New American Art Museum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미소장
37 (Ed), Building the New Museum, New York: The Architectural League of New York, 1986 미소장
38 Architecture for Art: American Art Museums 1938-2008,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2004 미소장
39 James Grayson with a foreward by David C. Levy, Designing the New Museum: Building a Destination, Rockport, 2000 미소장
40 Architecture as Theme, Electa/Rizzoli, NY, 1982 미소장
41 Towards a New Museum, Monacelli Press, NY, 1998 미소장
42 The Idea of Type: The Transformation of the Academic Ideal, 1750-1830, Oppositions, 8, Spring 1977 미소장
43 Losing Face: Notes on the Modern Museum 네이버 미소장
44 Museums for a New Millennium: Concepts Projects Buildings, Prestel, 2001 미소장
45 NEW MuSEUMS;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around the World, Universe, New York, 2005 미소장
46 博物館 槪論, 學苑社, 1978 미소장
47 광주시립박물관, 미술관학강좌, 광주시립박물관, 1999 미소장
48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건축과 환경, 新裕文化社, 1995 미소장
49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학강좌, 국립현대미술관 섭외교육과, 2001 미소장
50 현대건축사고론, 미건사, 1997 미소장
51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22권, 1984 미소장
52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100; 진중권의 추천사, 서강북스, 2007 미소장
53 건축디자인과 분석, 도서출판국제, 1997 미소장
54 세계의 미술관, 한길사, 2005 미소장
55 박물관 미술관 건축총서(전 3권), 기문당, 1995 미소장
56 새로운 뮤지엄건축 ․ 미소장
57 한국의 박물관미술관 건축: MUSEUM IN KOREA 1995-2000, CA Press, 2000 미소장
58 새 우리말 큰 사전, 삼성이데아, 1987 미소장
59 박물관학입문, 삼화출판사, 1993 미소장
60 박물관전시의 이해, 학문사, 2000 미소장
61 7개의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미소장
62 문학과 예술의 사회학, 근세편(제3권), 창작과 비평사, 1996 미소장
63 서양 박물관의 역사: The Museum Age, (사) 한국박물관협회, 2000 미소장
64 미술관 전시, 이론에서 실천까지, 학고재, 1998 미소장
65 권력과 건축공간, Spacetime, 2006 미소장
66 라스베가스의 교훈, 태림문화사, 1983 미소장
67 The Effectiveness of Architectural Typology as a Communicative Tool - Its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소장
68 ‘흐름의 공간’으로 본 벤 반 버클베르나르 츄미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작품, 대한건축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24 n.2, 2004, 10 미소장
69 미술관의 전시공간의 변천사, 건축세계, 1997년 4월호 미소장
70 博物館 展示空間의 形態의 特性과 變化에 관한 硏究 소장
71 유형학적(Typological) 측면에서 살펴본 알도 로시의 갈라라테제(Gallaratese)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 소장
72 시대적 변화가 유럽 미술관 건축의 유형별 특징에 미친 영향 소장
73 박물관 건축의 공간구획 체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조형논총, 제16호, 1997 미소장
74 한불 문화시설 건축세미나, 한국건축가협회 주최, 1987 미소장
75 現代의 博物館 建築에 관한 計劃學的 硏究 소장
76 리차드 마이어(Richard Meier)의 미술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연구 소장
77 박물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 소장
78 현대건축의 유형학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 10 미소장
79 MED 박물관의 전시환경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환경개발연구원, 1997 미소장
80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Museum Layouts 소장
81 미술관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학 소장
82 박물관 건축의 역사적 변천, 한국 박물관 건축학회 발족 총회 발표회, 1997 미소장
83 Space syntax model에 의한 공간해석방법에 관한 고찰 소장
84 現代 뮤지엄 建築空間의 美的體驗에 관한 硏究 소장
85 An Approach to Evaluating Exhibition Spaces in Art Galleries, Univ. of Bath 박사논문, 1992 미소장
86 현대 뮤지엄의 전시계획 및 평가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소장
87 미술관 전시공간 구조의 시대적 의미 변화에 관한 해석, 홍익대학교박사논문, 2004 미소장
88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객 움직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박사논문, 2005 미소장
89 뮤지엄건축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1998 미소장
90 現代의 博物館 建築에 관한 計劃學的 硏究 소장
91 뮤지엄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20세기 이후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92 On the Typolog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33, 1964 미소장
93 "Musee." Reprinted in Completes, vol I., Paris: Gallimard, 1970(1930) 미소장
94 The Architecture of the French Enlightenment, Thames & Hudson, 1980 미소장
95 The New Museum: Architecture and Display, New York: Frederick A. Praeger, 1965 미소장
96 "Democratic monument", Architectural Review, London, December 1984 미소장
97 "On the museum's ruins" H. Foster (Ed). The antiaesthe- tics: Eassays on postmodern culture. Port Townsend, Washington: Bay Press, 1983 미소장
98 Museums and Art Gallery, Images Publishing, Victoria, Australia, 2003 미소장
99 "Virtuosity around a void", Architectural Review, London, December 1984 미소장
100 Typological Production in Architecture, University Penn, 1983 미소장
101 The Order of Things: An Archaeology of the Human Sciences, New York: Vintage, 1973(1966) 미소장
102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London: Thames & Hudson, 1980 미소장
103 Architecture of Museums,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1968 미소장
104 Museums in the 21st Century; Concepts Projects Buildings, Prestel, MunichBerlinLondonNew York, 2006 미소장
105 High Museum of Art, Renzo Piano's Village for the Arts, High Museum of Art, Atlanta, 2005 미소장
106 The Social Logic of Space 네이버 미소장
107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6 미소장
108 The Modern Museum: Temple or Showroom, Jerusalem: Dvir Publishing House, 1983 미소장
109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What's New and What's Not 네이버 미소장
110 The Manual of Museum Planning, HMSO, London, 1991 미소장
111 The Concept of Type in Architecture: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Architectural For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Zurich, Swiss: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1995 미소장
112 Buildings as classifying devices 네이버 미소장
113 "Museum without walls". The Voices of Silen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미소장
114 Richard Meier Museum für Kunsthandwerk Frankfurt am Main, Wilhelm Ernst & Sohn Verlag, Berlin, 1985 미소장
115 Exhibitions in Museum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91 미소장
116 1,3-PROPANEDIOLS FROM KETONES BY FORMYLATION AND REDUCTION 네이버 미소장
117 The Museums of the Last Generation, London: Academy Editions, 1986 미소장
118 New Museums, London: Architecture Design and Technology Press, 1990 미소장
119 Evolution in Architecture, The Cleveland Museum of Art, 1963 미소장
120 A Design Manual: Museum Buildings, BIRKHÄ Peponis, J. & J. Hedin, "the Layout of Theories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9H, no3, 1982 미소장
121 A History of Building Ty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76 미소장
122 Quatremére de Quincy, Type, Oppositions, The MIT Press, NY, 1977. 8 미소장
123 New Museums, Phaidon Press Limited, NY, 2005 미소장
124 Yoshio Taniguchi: Nine Museums,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2004 미소장
125 An Analogical Architecture, Cambridge, MA: MIT Press, 1976 미소장
126 Art Spaces: The architecture of four Tates, Tate Publishing, London, 2004 미소장
127 New American Art Museum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미소장
128 (Ed), Building the New Museum, New York: The Architectural League of New York, 1986 미소장
129 Architecture for Art: American Art Museums 1938-2008,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2004 미소장
130 James Grayson with a foreward by David C. Levy, Designing the New Museum: Building a Destination, Rockport, 2000 미소장
131 Architecture as Theme, Electa/Rizzoli, NY, 1982 미소장
132 Towards a New Museum, Monacelli Press, NY, 1998 미소장
133 The Idea of Type: The Transformation of the Academic Ideal, 1750-1830, Oppositions, 8, Spring 1977 미소장
134 Losing Face: Notes on the Modern Museum 네이버 미소장
135 Museums for a New Millennium: Concepts Projects Buildings, Prestel, 2001 미소장
136 NEW MuSEUMS;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around the World, Universe, New York, 2005 미소장
137 博物館 槪論, 學苑社, 1978 미소장
138 광주시립박물관, 미술관학강좌, 광주시립박물관, 1999 미소장
139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건축과 환경, 新裕文化社, 1995 미소장
140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학강좌, 국립현대미술관 섭외교육과, 2001 미소장
141 현대건축사고론, 미건사, 1997 미소장
142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22권, 1984 미소장
143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100; 진중권의 추천사, 서강북스, 2007 미소장
144 건축디자인과 분석, 도서출판국제, 1997 미소장
145 세계의 미술관, 한길사, 2005 미소장
146 박물관 미술관 건축총서(전 3권), 기문당, 1995 미소장
147 새로운 뮤지엄건축 ․ 미소장
148 한국의 박물관미술관 건축: MUSEUM IN KOREA 1995-2000, CA Press, 2000 미소장
149 새 우리말 큰 사전, 삼성이데아, 1987 미소장
150 박물관학입문, 삼화출판사, 1993 미소장
151 박물관전시의 이해, 학문사, 2000 미소장
152 7개의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미소장
153 문학과 예술의 사회학, 근세편(제3권), 창작과 비평사, 1996 미소장
154 서양 박물관의 역사: The Museum Age, (사) 한국박물관협회, 2000 미소장
155 미술관 전시, 이론에서 실천까지, 학고재, 1998 미소장
156 권력과 건축공간, Spacetime, 2006 미소장
157 라스베가스의 교훈, 태림문화사, 1983 미소장
158 The Effectiveness of Architectural Typology as a Communicative Tool - Its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소장
159 ‘흐름의 공간’으로 본 벤 반 버클베르나르 츄미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작품, 대한건축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24 n.2, 2004, 10 미소장
160 미술관의 전시공간의 변천사, 건축세계, 1997년 4월호 미소장
161 博物館 展示空間의 形態의 特性과 變化에 관한 硏究 소장
162 유형학적(Typological) 측면에서 살펴본 알도 로시의 갈라라테제(Gallaratese)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 소장
163 시대적 변화가 유럽 미술관 건축의 유형별 특징에 미친 영향 소장
164 박물관 건축의 공간구획 체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조형논총, 제16호, 1997 미소장
165 한불 문화시설 건축세미나, 한국건축가협회 주최, 1987 미소장
166 現代의 博物館 建築에 관한 計劃學的 硏究 소장
167 리차드 마이어(Richard Meier)의 미술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연구 소장
168 박물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 소장
169 현대건축의 유형학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 10 미소장
170 MED 박물관의 전시환경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환경개발연구원, 1997 미소장
171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Museum Layouts 소장
172 미술관 공간구조의 연대기적 유형학 소장
173 박물관 건축의 역사적 변천, 한국 박물관 건축학회 발족 총회 발표회, 1997 미소장
174 Space syntax model에 의한 공간해석방법에 관한 고찰 소장
175 現代 뮤지엄 建築空間의 美的體驗에 관한 硏究 소장
176 An Approach to Evaluating Exhibition Spaces in Art Galleries, Univ. of Bath 박사논문, 1992 미소장
177 현대 뮤지엄의 전시계획 및 평가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소장
178 미술관 전시공간 구조의 시대적 의미 변화에 관한 해석, 홍익대학교박사논문, 2004 미소장
179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객 움직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박사논문, 2005 미소장
180 뮤지엄건축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1998 미소장
181 現代의 博物館 建築에 관한 計劃學的 硏究 소장
182 뮤지엄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20세기 이후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183 뮤지엄 기능분류단위에 관한 건축 계획 연구 소장
184 시스템 접근에 의한 박물관 프로그래밍 체계에 관한 연구 소장
185 美術館 建築의 接近性 增進에 關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186 미술관 전시부문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쓰쿠바대학 박사논문, 1992 미소장
187 미술관 전시공간의 시각적 시퀀스 구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3 미소장
188 지식전달장치로서의 박물관 전시공간 구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189 미술관 건축의 규모계획을 위한 면적산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석사논문, 1994 미소장
190 90년대 이후 미술관 공간구성의 경향에 대한 연구 소장
191 한국 주거건축의 근대화에 관한 공간통사해석 네이버 미소장
192 뮤지엄 기능분류단위에 관한 건축 계획 연구 소장
193 시스템 접근에 의한 박물관 프로그래밍 체계에 관한 연구 소장
194 美術館 建築의 接近性 增進에 關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195 미술관 전시부문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쓰쿠바대학 박사논문, 1992 미소장
196 미술관 전시공간의 시각적 시퀀스 구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3 미소장
197 지식전달장치로서의 박물관 전시공간 구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198 미술관 건축의 규모계획을 위한 면적산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석사논문, 1994 미소장
199 90년대 이후 미술관 공간구성의 경향에 대한 연구 소장
200 한국 주거건축의 근대화에 관한 공간통사해석 네이버 미소장
201 국내 소규모 갤러리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