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국문초록
Contents
I. Introduction 11
II. Materials and Methods 14
1. Cell Culture. 14
2. Chemicals 14
3. Cell viability assay 15
4. Determination of NO 16
5. Western blot analysis 16
6. Preparation of nuclear extracts and electromobility shift assays 17
7. Assay of luciferase activity 19
8. WST-1 assay 19
9. Apoptosis Evaluation 19
10. Statistical analysis 20
III. Results 21
1. Cytotoxicity of obovatol 21
2. Inhibitory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NO generation 22
3. Inhibitory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COX-2 and iNOS expression 24
4. Inhibitory effect of obovatol on NF-kB-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26
5. Inhibition of NF-kB activation 28
6. Inhibition of SW620,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 Growth 30
7. Induction of apoptosis 34
8. Inhibition of NF-kB 39
IV. Discussion 43
References 46
Table I. Effect of obovatol on LPS-induced nitrat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22
Table II.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COX-2 and iNOS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24
Table III. Effects of obovatol on NF-kB-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RAW 264.7 cells 26
Table IV. Effects of obovatol on NF-k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28
Table V. Effect of obovatol on Cell Viability in SW620 Human colon Cancer Cells 32
Table VI. Effect of obovatol on Cell Viability i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33
Table VII. Effect of obovatol on Apoptosis i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35
Table VIII. Effects of obovatol on Apoptosis in SW620 Human colon Cancer Cells 37
Table IX. Effects of obovatol on NF-kB activation in SW620,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40
Fig. 1. Cytotoxic Effect of Obovatol in Raw264.7 Cells 21
Fig. 2. Effects of obovatol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NO) generation in Raw 264.7 cells 23
Fig. 3.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25
Fig. 4.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NF-k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Raw 264.7 cells. 27
Fig. 5. Effects of obovatol on LPS-induced NF-k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29
Fig. 6. Morphological changes of SW620 cells by obovatol. 30
Fig. 7. Morphological changes of HCT116 cells by obovatol. 31
Fig. 8. Cell Viability of SW620 and HCT116 cells by obovatol 34
Fig. 9. Effects of obovatol on induction of apoptosis of HCT116 cells 36
Fig. 10. Effects of obovatol on induction of apoptosis of SW620 cells 38
Fig. 11. Effects of obovatol on NF-kB Activity in SW620,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40
SCHEME INDEX
Scheme. 1. Method of obovatol Extraction 15
초록보기 더보기
연구목적 : 厚朴(Magnolia obovata)에서 추출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의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발된 염증, TNF-α로 유발된 human colon carcinoma SW620 및 HCT116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NO 생성량, iNOS와 COX-2의 발현, NF-κB활성, 전사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NO determina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고, HCT116, SW620 세포에 TNF-α로 증식을 유도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growth, apoptosis 및 apoptosis와 연관된 NF-κ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WST-I, Cell morphogy test, DAPI staining and TUNEL assay,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1. RAW264.7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κB의 활성 및 전사능력을 낮추고 iNOS와 COX-2의 발현과 NO 생성을 감소시켜 LPS로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였다.
2. HCT116, SW620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κB의 활성을 낮추어 세포자멸사을 촉진함으로써 TNF-α로 유발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이 항염 및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SW620, HCT116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obovatol 약침액이 만성염증성 질환 및 대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