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6
II. 본론 17
1. 대상자 17
2. 연구방법 19
1) 안면사진찰영 19
(1) 카메라 19
(2) 조명 19
(3) 촬영방법 19
(3)-1. 피검자의 자세 20
(3)-2. 사진찍는 순서 20
(3)-3. 정면촬영 20
(3)-4. 측면촬영 21
2) 안면특징측정프로그램 21
(1) 측정점 24
(2) 측정항목 32
(2)-1. 정면 측정항목 중 제외되는 항목 33
(2)-2. 측면 측정항목 중 제외되는 항목 35
3) 측정항목의 성별, 연령별, 체질별 특징분석 36
(1) 성별 특징분석 36
(2) 연령별 특징분석 44
(2)-1. 남자의 연령별 특징분석 44
(2)-2. 여자의 연령별 특징분석 55
(3) 체질별 특징분석 68
(3)-1. 남자 68
① 남자 소년(17세-32세) 68
② 남자 장년(33세-48세) 73
③ 남자 노년(49세-64세) 80
(3)-2 여자 83
① 여자 소년(17세-32세) 83
② 여자 장년(33세-48세) 88
③ 여자 노년(49세-64세) 91
4) 측정자 신뢰도 분석 94
(1) 측정자내의 오차 94
(2) 측정자간의 오차 96
5) 체질판별함수 98
(1) 남자 98
(1)-1. 소년 98
(1)-2. 장년 101
(1)-3. 노년 103
(2) 여자 106
(2)-1. 소년 106
(2)-2. 장년 108
(2)-3. 노년 110
3. 연구결과 113
1) 성별 특징 113
(1) 정면 113
(1)-1. 정면 측정항목중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항목 113
(1)-2. 정면 측정항목중 남·여의 차이가 없는 항목 114
(2) 측면 116
(2)-1. 측면 측정항목중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항목 116
(2)-2. 측면 측정항목중 남·여의 차이가 없는 항목 117
2) 연령별 특징 119
2)-1. 남자(밑줄친 항목은 측면 측정항목) 119
(1) 소년·장년·노년의 부위별 특징 119
(1)-1. 소년 119
(1)-2. 장년 122
(1)-3. 노년 123
(2) 전안부·상안부·중안부·하안부의 소년·장년·노년간 비교 126
(2)-1. 전안부 126
(2)-2. 상안부 126
(2)-3. 중안부 128
(2)-4. 하안부 133
2)-2. 여자 135
(1) 소년·장년·노년의 부위별 특징 135
(1)-1. 소년 136
(1)-2. 장년 138
(1)-3. 노년 139
(2) 전안부·상안부·하안부의 소년·장년·노년간 비교 142
(2)-1. 전안부 142
(2)-2. 상안부 142
(2)-3. 중안부 145
(2)-4. 하안부 149
3) 체질별 특징 151
3)-1 남자(밑줄친 항목은 측면 측정항목) 151
(1) 소년 151
(2) 장년 155
(3) 노년 161
3)-2 여자(밑줄친 항목은 측면 측정항목) 171
(1) 소년 171
(2) 장년 175
(3) 노년 178
4) 측정자 신뢰도 분석 186
(1) 측정자내의 오차 186
(2) 측정자간의 오차 186
5) 체질 판별 함수 186
(1) 남자 186
(1)-1. 남자소년(체질판별 정확도 약71%) 186
(1)-2. 남자장년(체질판별 정확도 약75%) 187
(1)-3. 남자노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6%) 187
(2) 여자 188
(2)-1. 여자소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3%) 188
(2)-2. 여자장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3%) 188
(2)-3. 여자노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1%) 188
III. 결론 190
1. 성별 특징 190
1) 남자 190
2) 여자 190
2. 연령별 특징 190
(1) 전안부 190
(2) 상안부 191
(3) 중안부 191
(4) 하안부 191
2) 여자 191
(1) 전안부 191
(4) 하안부 192
3. 체질별 특징 192
1) 남자 192
(1) 소년 192
(1)-1. 소양인특징 192
(1)-2. 태음인특징 192
(1)-3. 소임인특징 192
(2) 장년 193
(2)-1. 소양인특징 193
(2)-2. 태음인특징 193
(2)-3. 소임인특징 193
(3) 노년 194
(3)-1. 소양인특징 194
(3)-2. 태음인특징 194
(3)-3. 소임인특징 194
(4) 연령대에 관계없이 보이는 체질별 특징 194
2) 여자 195
(1) 소년 195
(1)-1. 소양인특징 195
(1)-2. 태음인특징 195
(1)-3. 소임인특징 195
(2) 장년 195
(2)-1. 소양인특징 195
(2)-2. 태음인특징 195
(2)-3. 소임인특징 196
(3) 노년 196
(3)-1. 소양인특징 196
(3)-2. 태음인특징 196
(3)-3. 소임인특징 196
(4) 연령대에 관계없이 보이는 체질별 특징 196
IV. 참고문헌 198
부록 199
1. 측정점 199
2. 측정항목 227
국문초록
english abstract
표1. 대상자의 성별분포 18
표2. 대상자의 성별-연령별분포 18
표3. 대상자의 성별-체질별분포 19
표4. 성별 비교시 미측정 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측정점 24
표5. 연령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측정점(남자) 25
표6. 연령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측정점(여자) 25
표7. 체질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항목(남자 소년) 26
표8. 체질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항목(여자 소년) 26
표9. 체질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항목(남자 장년) 27
표10. 체질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항목(여자 장년) 27
표11. 체질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항목(남자 노년) 28
표12. 체질별 비교시 미측정되어 분석에서 제외된 항목(여자 노년) 28
표13-1. 정면 측정점의 미측정 이유와 빈도(1) 29
표13-2. 정면 측정점의 미측정 이유와 빈도(2) 30
표14-1. 측면 측정점의 미측정 이유와 빈도(1) 30
표14-2. 측면 측정점의 미측정 이유와 빈도(2) 31
표14-3. 측면 측정점의 미측정 이유와 빈도(3) 32
표15. 남녀별 차이가 없는 실측항목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37
표16-1.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실측항목(1)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37
표16-2.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실측항목(2)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38
표17-1.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수식항목(1)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38
표17-2.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수식항목(2)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39
표17-3.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실측항목(3)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40
표18-1. 남자가 여자보다 큰 값을 갖는 수식항목(1)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41
표18-2. 남자가 여자보다 큰 값을 갖는 수식항목(2)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42
표18-3. 남자가 여자보다 큰 값을 갖는 수식항목(3) (m=missing, T=Total, M=Male, F=Female) 43
표19-1.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남자) 44
표19-2.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남자) 45
표19-3.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남자) 46
표19-4.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4) (남자) 47
표19-5.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5) (남자) 48
표19-6.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6) (남자) 49
표19-7.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7) (남자) 50
표19-8.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8) (남자) 51
표19-9.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9) (남자) 52
표19-10.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0) (남자) 53
표19-11.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1) (남자) 54
표19-12.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2) (남자) 55
표20-1.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여자) 56
표20-2.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여자) 57
표20-3.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여자) 58
표20-4.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4) (여자) 59
표20-5.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5) (여자) 60
표20-6.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6) (여자) 61
표20-7.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7) (여자) 62
표20-8.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8) (여자) 63
표20-9.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9) (여자) 64
표20-10.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0) (여자) 65
표20-11.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1) (여자) 66
표20-12.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2) (여자) 67
표20-13. 소,장,노년대 별로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3) (여자) 68
표21-1.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남자 소년) 68
표21-2.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남자 소년) 69
표21-3.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남자 소년) 70
표21-4.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4) (남자 소년) 71
표21-5.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5) (남자 소년) 72
표21-6.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6) (남자 소년) 73
표22-1.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남자 장년) 73
표22-2.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남자 장년) 74
표22-3.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남자 장년) 75
표22-4.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4) (남자 장년) 76
표22-5.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5) (남자 장년) 77
표22-6.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6) (남자 장년) 78
표22-7.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7) (남자 장년) 79
표22-8.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8) (남자 장년) 80
표23-1.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남자 노년) 80
표23-2.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남자 노년) 81
표23-3.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남자 노년) 82
표23-4.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4) (남자 노년) 83
표24-1.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여자 소년) 83
표24-2.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여자 소년) 84
표24-3.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여자 소년) 85
표24-4.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4) (여자 소년) 86
표24-5.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5) (여자 소년) 87
표24-6.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6) (여자 소년) 88
표25-1.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여자 장년) 89
표25-2.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여자 장년) 90
표25-3.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여자 장년) 91
표26-1.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1) (여자 노년) 92
표26-2.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2) (여자 노년) 93
표26-3. 체질별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3) (여자 노년) 94
표27. 측정자내의 오차가 나타난 측정항목과 측정치(측정자1, 단위는㎝) 95
표28. 측정자내의 오차가 나타난 측정항목과 측정치(측정자2, 단위는㎝) 96
표29. 측정자간의 오차가 나타난 이수점방사경의 측정치(단위는㎝) 97
표30.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 항목 수와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 항목 수 비교 98
표31.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001) 99
표32.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1) 100
표33. 태음인-비태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0
표34. 소양인-소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1
표35.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01) 101
표36.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1) 102
표37. 태음인-비태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3
표38. 소양인-소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3
표39.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05) 104
표40.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2) 105
표41. 태음인-비태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5
표42. 소양인-소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6
표43.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005) 106
표44.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5) 107
표45. 태음인-비태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7
표46. 소양인-소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08
표47.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01) 108
표48.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2) 109
표49. 태음인-비태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10
표50. 소양인-소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10
표51. 태음인과 비태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01) 111
표52. 소양인과 소음인간의 차이를 보이는 측정항목(p〈0.05) 112
표53. 태음인-비태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12
표54. 소양인-소음인 판별 함수에 의한 체질판별 결과 113
표55. 소양인의 연령간 비교(밑줄친 항목은 중복되는 항목) 166
표56. 태음인의 연령간 비교(밑줄친 항목은 중복되는 항목) 168
표57. 소음인의 연령간 비교(밑줄친 항목은 중복되는 항목) 170
표58. 소양인의 연령간 비교(밑줄친 항목은 중복되는 항목) 182
표59. 태음인의 연령간 비교(밑줄친 항목은 중복되는 항목) 184
표60. 소음인의 연령간 비교(밑줄친 항목은 중복되는 항목) 186
초록보기 더보기
목적
사상인의 용모 중, 두면부의 외형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체질별로 서로 다른 점을 알아보고, 외형을 통한 체질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경희의료원과 강남경희한방병원에 내원한 1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면과 측면 사진을 촬영한 후 안면특징측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폭경, 고경, 방사경을 측정하여 성별, 연령별, 사상체질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적인 얼굴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면부의 성별, 연령별, 사상체질에 따른 형태학적인 특징을 얻었으며, 표15에서 표26에 제시하였다.
결론
1. 성별에 따른 두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
① 남자는 대부분의 측정항목값이 여자보다 크다.
② 여자의 눈은 남자보다 크게 보인다.
③ 여자의 얼굴은 남자보다 꽉 차게 보인다.
④ 남자의 이주점은 동공점보다 높고, 여자의 이주점은 동공점보다 낮다.
2. 연령에 따른 두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
① 소년의 상안부는 노년보다 길고, 방사경도 크다.
② 소년의 눈썹은 노년보다 좌우로 넓다.
③ 소년의 눈은 노년보다 크게 떠있는 것으로 보인다.
④ 노년의 코는 소년보다 길고 펑퍼짐하다.
⑤ 노년의 귀는 소년보다 길다.
⑥ 노년의 하악각간폭은 소년보다 넓다.
⑦ 노년의 하안부는 소년보다 발달되어 있다.
3. 체질에 따른 두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
⑴ 남자
① 소양인의 태음인과 소음인보다 눈이 커 보인다.
② 태음인은 소양인과 소음인보다 하안부가 발달하였다.
③ 소음인은 소양인과 태음인보다 소년과 장년에서 얼굴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가 크다.
⑵여자
① 소양인은 태음인과 소음인보다 소년에서 코길이에 대한 이마의 높이가 크고, 장년에서 두정점높이가 낮고, 노년에서 턱이 날렵하다.
② 태음인은 소양인과 소음인보다 얼굴의 대부분의 폭경과 방사경이 크지만, 노년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적어진다.
③ 소음인은 소양인과 태음인보다 소년과 장년에서 이마가 길어보이고, 노년에서 턱이 들어가 보이며, 이마는 좁게 보인다.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