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4

목차=i,5,2

표목차=iii,7,1

그림 목차=iii,7,1

제1장 서론=1,8,1

제1절 연구의 배경=1,8,4

제2절 연구의 목적=4,11,1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5,12,1

제2장 퇴직연금 재정의 이론적 배경=6,13,1

제1절 퇴직연금 재정방식의 개념=6,13,1

제2절 재정방식 결정시 고려사항=6,13,1

1. 안전성(Security)=7,14,1

2. 안정성(Stability)=7,14,2

3. 항상성(Durability)=8,15,1

4. 유동성(Liquidity)=8,15,2

제3절 재정방식의 기본원리=9,16,1

1. 수지상등의 원칙(Equivalence Principle)=9,16,2

2.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10,17,2

제4절 재정방식 관련 주요위험=11,18,1

제5절 주요국 현황=12,19,1

1. 영국=12,19,2

2. 일본=13,20,2

3. 미국의 퇴직연금제도=15,22,1

제6절 선행 연구=16,23,1

1. 국내 연구=16,23,1

2. 국외 연구=16,23,2

제3장 퇴직연금 준비금 적립방식=18,25,1

제1절 퇴직연금제도에서의 준비금의 의의 및 산출과정=18,25,1

제2절 퇴직연금 재원조달의 종류=19,26,2

제4장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관련 재원조달 방식=21,28,1

제1절 정기적 적립방식 재원조달의 기여금(연금비용) 산정방식=21,28,1

제2절 정기적 적립 방식 재원조달에서의 준비금 산정 방식=22,29,1

1. 발생급부 평가방식(과거법 책임준비금)=22,29,2

2. 예측급부 평가방식(장래법 책임준비금)=23,30,2

제5장 수치비교=25,32,1

제1절 기본 가정=25,32,1

제2절 재정방식별 수치비교=26,33,1

1. PUM방식(Projected Unit Credit Method)=26,33,4

2. ENT방식(Entry Age Normal Method)=30,37,3

제3절 가상집단별 연금 채무 비교=33,40,1

1. 피라미드형=33,40,1

2. 종형=34,41,2

제6장 결론=36,43,1

참고 문헌=37,44,1

ABSTRACT=38,45,2

표목차

(표5-1) 가상집단별 인원 구성=25,32,1

(표5-2) PUM방식에서 매 연령 보유해야 할 기금=27,34,1

(표5-3) PUM 방식에서 임금에 대한 기여금 비율=29,36,1

(표5-4) ENT방법에서 특정시점 기금에 대한 수치=31,38,1

(표5-5) ENT 방법에서 매 연령 발생되는 순 연금 채무=32,39,1

(표5-6) 가상집단별 연금채무 비교=35,42,1

그림목차

(그림1) 피라미드형인 경우 두 재정방식 결과=33,40,1

(그림2) 종형인 경우 두 재정방식 결과=34,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