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3
목차=i,4,8
국문요약=ix,12,3
제1장 서론=1,15,1
제1절 문제의 제기=1,15,3
제2절 연구의 목적=3,17,3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5,19,5
제2장 환경행정소송의 의의=10,24,1
제1절 환경행정과 환경권=10,24,1
I. 환경행정=10,24,1
1. 환경행정의 의의=10,24,1
(1) 환경행정의 개념=10,24,2
(2) 환경행정의 특성=11,25,3
(3) 환경행정의 유형=13,27,3
2. 환경행정조직체계=15,29,1
(1) 한국의 환경행정조직체계=15,29,3
(2) 중국의 환경행정조직체계=18,32,4
II. 환경권=21,35,1
1. 헌법상의 환경권=21,35,2
(1) 한국헌법상의 환경권=22,36,1
(2) 중국헌법상의 환경권=22,36,2
2. 환경권의 법적 성질=23,37,2
3. 국가의 환경보전의무=25,39,1
(1) 한국에서의 환경보전의무=25,39,2
(2) 중국에서의 환경보전의무=26,40,2
제2절 환경행정소송의 개념과 특징=28,42,1
I. 환경행정소송의 개념=28,42,1
1. 한국법상의 개념정의=28,42,1
2. 중국법상의 개념정의=29,43,2
II. 환경행정소송의 특성=30,44,1
1. 환경문제의 발생원인의 다양성과 불명확성=30,44,1
2. 입증책임의 곤란성=31,45,1
3. 환경피해의 광역성과 다양성=31,45,2
4. 과다한 비용과 장시간의 필요=32,46,1
5. 불확실한 승산=33,47,1
III. 환경행정소송의 현황=33,47,1
1. 한국의 현황=33,47,6
2. 중국의 현황=38,52,2
제3절 환경행정소송의 종류=40,54,1
I. 한국의 환경행정소송의 종류=40,54,1
1. 항고소송=40,54,1
(1) 취소소송=41,55,1
(2) 의무이행소송=41,55,2
2. 손해전보소송=43,57,3
II. 중국의 환경행정소송의 종류=45,59,1
1. 사법심사의 소=45,59,2
2. 이행의 소=47,61,1
3. 행정침권배상의 소=48,62,2
제4절 환경행정소송의 소제기요건=50,64,1
I. 소제기요건의 의의=50,64,1
II. 소제기요건의 내용=50,64,1
1. 한국에서의 소제기요건=50,64,3
2. 중국에서의 소제기요건=52,66,3
제5절 소결=55,69,1
제3장 환경행정소송의 당사자=56,70,1
제1절 원고=56,70,1
I. 원고적격=56,70,1
1. 한국에서의 원고적격=56,70,1
(1) 원고적격의 의의=56,70,4
(2) 법률상 이익의 의미에 관한 학설과 판례=59,73,1
1) 학설=59,73,3
2) 판례=62,76,1
(3) 법률상 이익의 결정방법=62,76,2
2. 중국에서의 원고적격=64,78,1
(1) 원고적격의 의의=64,78,1
(2) 법률상 이해관계에 대한 법규정과 검토=65,79,5
3. 한국과 중국의 '환경상 이익'=70,84,1
(1) 한국법에서 이해하는 환경상 이익=70,84,3
(2) 중국법에서 이해하는 환경상 이익=72,86,2
4. 제3자의 원고적격문제=73,87,1
(1) 제3자의 인정여부=73,87,3
(2) 이론과 판례=75,89,1
1) 한국에서의 이론적 근거=75,89,2
2) 판례=76,90,5
5. 공동소송의 원고=80,94,1
(1). 한국에서의 공동원고=80,94,1
(2). 중국에서의 공동원고=80,94,1
II. 행정청의 원고적격=81,95,1
1. 한국에서의 행정청의 원고적격=81,95,1
2. 중국에서의 행정청의 원고적격=81,95,3
III. 검찰기관의 원고적격=83,97,1
1. 한국에서의 검찰의 원고적격=83,97,1
2. 중국에서의 검찰의 원고적격=83,97,3
IV. 환경단체의 원고적격=86,100,1
1. 한국에서의 환경단체의 원고적격=86,100,2
2. 중국에서의 환경단체의 원고적격=87,101,3
3. 집단소송제=90,104,1
(1) 한국에서의 집단소송=90,104,3
(2) 중국에서의 집단소송=93,107,2
V. 원고적격의 확대문제=94,108,1
1. 한국에서 원고적격의 확대=94,108,2
2. 중국에서 원고적격의 확대=95,109,3
VI. 원고적격의 승계=97,111,1
1. 한국에서의 원고적격의 승계=97,111,3
2. 중국에서의 원고적격의 승계=99,113,3
제2절 피고=102,116,1
I. 피고적격=102,116,1
1. 한국에서의 피고적격=102,116,1
2. 중국에서의 피고적격=102,116,3
II. 행정청=104,118,1
1. 한국에서의 행정청=104,118,2
2. 중국에서의 행정기관=105,119,5
III. 위임기관=110,124,1
1. 수권(위임)기관=110,124,1
(1) 한국에서의 위임기관=110,124,2
(2) 중국에서의 위임기관=111,125,4
2. 파출기구=114,128,2
3. 종합성 법집행기관의 피고적격문제=115,129,2
IV. 공동피고=116,130,1
1. 공동피고=116,130,1
(1) 한국에서의 공동피고=116,130,2
(2) 중국에서의 공동피고=117,131,1
2. 중국에서의 공동피고의 부분적격문제=117,131,3
V. 피고의 변경=120,134,1
1. 한국에서의 피고변경=120,134,3
2. 중국에서의 피고변경=123,137,2
제3절 소결=124,138,1
제4장 환경행정소송의 대상=125,139,1
제1절 환경행정소송의 대상의 의의=125,139,1
I. 대상의 개념=125,139,1
1. 한국에서의 대상의 개념=125,139,1
2. 중국에서의 대상의 개념=125,139,2
II. 환경행정소송의 대상에 대한 해석=126,140,1
1. 한국법상의 처분성에 대한 해석=126,140,9
2. 중국법상의 구체적인 행정행위에 대한 해석=135,149,32
3. 소송상 화해행위=166,180,1
(1) 한국에서의 화해행위=166,180,2
(2) 중국에서의 화해행위=167,181,2
4. 용어사용상의 차이점=169,183,1
(1) 한국의 '처분'=169,183,3
(2) 중국의 '행정행위'=171,185,3
제2절 환경행정소송의 구체적 대상=174,188,1
I. 환경행정입법=174,188,2
II. 환경행정계획=175,189,2
III. 환경행정지도=177,191,3
IV. 환경행정조사=180,194,1
V. 가환경행정행위와 다단계환경행정행위=180,194,2
제3절 처분등의 효과가 소멸된 경우의 소이익=182,196,1
I. 의의=182,196,1
II. 성질=182,196,1
1. 원고적격성의 인정여부=182,196,2
2. 취소소송성의 인정여부=183,197,1
III. 인정범위=183,197,1
1. 학설=183,197,2
2. 판례의 입장=184,198,2
3. 결어=185,199,1
제4절 소결=185,199,1
제5장 환경행정소송의 형식=186,200,1
제1절 행정심판전치=186,200,1
I. 의의=186,200,1
1. 개념=186,200,1
2. 기능=187,201,1
II. 행정심판의 임의절차화=187,201,1
1. 한국에서의 임의절차화=187,201,1
2. 중국에서의 임의절차화=188,202,2
III.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련정도=189,203,2
제2절 소제기기간=190,204,1
I. 개념=190,204,1
1. 한국법상의 개념=191,205,1
2. 중국법상의 개념=191,205,1
II. 소제기기간의 내용=191,205,1
1. 한국법상의 제소기간=191,205,5
2. 중국법상의 제소기간=195,209,3
3. 기간규정상의 차이=198,212,1
제3절 환경행정소송의 관할=199,213,1
I. 의의=199,213,1
II. 환경행정소송의 토지관할=199,213,1
1. 일반관할=199,213,1
(1) 한국법상의 관할=199,213,5
(2) 중국법상의 관할=203,217,11
2. 둘 이상의 행정구역과 관련한 소송의 관할=214,228,1
3. 이지재판문제=215,229,1
(1) 한국에서의 이지재판=215,229,1
(2) 중국에서의 이지재판=215,229,8
III. 환경행정소송의 심급관할=223,237,1
1. 법원조직=223,237,1
(1) 한국의 법원조직=223,237,5
(2) 중국의 법원조직=227,241,7
2. 심급관할=233,247,2
(1) 한국의 3급 3심제=234,248,2
(2) 중국의 4급 2심제=235,249,5
3. 재심절차=240,254,1
(1) 한국의 재심절차=240,254,2
(2) 중국의 재심절차(심판감독절차)=242,256,5
제4절 소결=246,260,2
제6장 결론=248,262,8
참고문헌=256,270,6
부록=262,276,1
[도표] 한국과 중국의 중앙환경행정기관=262,276,1
판례색인=263,277,2
중국 환경법의 관련 조항=265,279,3
중화인민공화국 행정소송법=268,282,38
(Abstract)=306,320,2
중문개요=308,322,1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