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3
목차=i,4,8
표목차=ix,12,2
그림목차=xi,14,1
약어 및 용어=xii,15,6
I. 서론=1,21,1
1. 문제제기=1,21,1
1.1 기본가정:통합과 통치=2,22,3
1.2 문제인식:다층적 통치=5,25,4
2. 문제규명=9,29,1
2.1 분석목적=9,29,2
2.2 분석대상=10,30,3
II. 경험적 발전과 통합이론의 재고=13,33,1
1. 경제적 변화=13,33,1
1.1 단일시장계획=13,33,1
1.1.1 시장과 국가의 분리=13,33,4
1.1.2 이중적 통합방식=16,36,3
1.2 규제국가화=18,38,1
1.2.1 규제적 자본주의=18,38,3
1.2.2 유럽적 조절방식=21,41,3
2. 정치, 제도적 변화=24,44,1
2.1 정부간 협상체제의 변화=24,44,1
2.1.1 체제의 한계:룩셈부르크 타협체제=24,44,4
2.1.2 새로운 조정=27,47,3
2.2 유럽화:통합에서 통치로 전환=29,49,1
2.2.1 정의:유럽적 정치과정=29,49,3
2.2.2 분석적 개념과 내용=31,51,4
3. 신기능주의=35,55,1
3.1 이론적 확장=35,55,1
3.1.1 초국가주의=35,55,3
3.1.2 신기능주의 법체계=37,57,2
3.2 공동체 분석:단일유럽의정서=38,58,3
3.3 비판=40,60,1
3.3.1 기본가정의 비적실성=40,60,3
3.3.2 분석의 한계:다층적 통치=43,63,3
4. 자유주의 정부간상호주의=46,66,1
4.1 문제인식=46,66,1
4.1.1 행위자의 권한=47,67,5
4.1.2 국가이익=51,71,3
4.2 공동체 분석:단일유럽의정서=53,73,3
4.3 비판=55,75,1
4.3.1 단선적 전제와 개념=55,75,4
4.3.2 분석의 한계:다층적 통치=59,79,3
소결론:공동체의 발전과 통합이론의 분석적 한계=62,82,4
III. 대안적 이론화로 다층적 통치=66,86,1
1. 이론적 전제와 배경:유럽적 통치=67,87,1
1.1 정의=67,87,1
1.1.1 정체=67,87,2
1.1.2 (다층적) 통치=69,89,4
1.2 목적:체제의 분화=73,93,1
1.2.1 목적지향과 통치의 질=73,93,2
1.2.2 권위배분=74,94,4
1.3 제 조건:시스템과 행위자=77,97,1
1.3.1 시스템과 구조적 조건=77,97,3
1.3.2 행위자의 관계양식=79,99,3
2. 이론적 전제와 배경:국가의 재해석=82,102,1
2.1 초국적 규범수용=82,102,1
2.1.1 국가의 수용패턴=82,102,6
2.1.2 국가간 조응=87,107,4
2.2 국가의 변화=90,110,1
2.2.1 권한위임=90,110,6
2.2.2 새로운 권한확장=95,115,4
3. 이론화 및 연구방법론=99,119,1
3.1 독립적 분과학문=99,119,2
3.1.1 독립적 통치기제=100,120,3
3.1.2 일반화된 정치적 단위체=102,122,4
3.2 이론적용=105,125,1
3.2.1 전통적 연구방법=105,125,3
3.2.2 이론간 융합=108,128,4
3.3 분석방법 및 수준=111,131,1
3.3.1 이원적 분석:다층적 통치의 이론화=111,131,3
3.3.2 다중적 분석수준=113,133,6
4. 중범위 이론의 적용:신제도주의=119,139,1
4.1 이론적 시각=119,139,1
4.1.1 이론적 가정과 접근=119,139,3
4.1.2 분화와 한계=122,142,2
4.2 역사적 제도주의=123,143,1
4.2.1 전제와 개념=123,143,2
4.2.2 분석틀:유용성과 한계=125,145,2
4.3 합리적 선택에 의한 제도주의=126,146,1
4.3.1 전제와 개념=126,146,3
4.3.2 분석틀:유용성과 한계=128,148,3
5. 중범위 이론의 적용:네트워크모델=131,151,1
5.1 이론적 시각=131,151,1
5.1.1 전제와 개념=131,151,3
5.1.2 분석유형:이익개입과 통치형태=133,153,4
5.2 공동체 연구=137,157,1
5.2.1 정책산출 과정=137,157,2
5.2.2 한계=138,158,3
소결론:개념의 설정과 이론화=141,161,4
IV. 다층적 통치구조 및 시스템=145,165,1
1. 제도화=145,165,1
1.1 배경과 과정=145,165,1
1.1.1 행위자의 선택=145,165,3
1.1.2 경로의존성=147,167,3
1.2 제도화의 양태=149,169,1
1.2.1 공적 제도화=150,170,2
1.2.2 2차적 제도화=152,172,2
2. 적법성=154,174,1
2.1 근원 및 분화=154,174,1
2.1.1 문제인식:정체와 레짐의 분리=154,174,4
2.1.2 이원적 적법성:투입 및 산출지향=158,178,3
2.2 간접적 적법성=160,180,1
2.2.1 공동체수준=160,180,4
2.2.2 공동체와 국가간 관계:이형동질화=163,183,3
3. 법적레짐:독립적 법적질서=166,186,1
3.1 법적 권위=166,186,2
3.1.1 일반원칙=167,187,5
3.1.2 이론적 분석:제도발전과 사적행위자의 권한확장=171,191,2
3.2 사법재판소:행위자와 제도의 이중적 속성=173,193,1
3.2.1 권위의 속성=173,193,3
3.2.2 이론적 분석:독립적 경로발전=175,195,6
4. 법적레짐:입법=181,201,1
4.1 입법생성과 실행=181,201,4
4.2 신접근 전략=185,205,3
4.2.1 사적입법=187,207,4
4.2.2 상호인증 (까시스 독트린)=190,210,4
5. 다층적 헌정 및 정치체제:개념적 전제=194,214,1
5.1 주권=194,214,1
5.1.1 재해석=194,214,4
5.1.2 다층적 통치와 주권=197,217,3
5.2 보충성=200,220,1
5.2.1 정의=200,220,2
5.2.2 다층적 통치와 보충성=201,221,4
6. 다층적 헌정 및 정치체제모델=205,225,1
6.1 헌정구조:다층적 입헌주의=205,225,1
6.1.1 정의=205,225,3
6.1.2 중첩된 헌정구조=207,227,3
6.2 정치체제:협의주의=209,229,1
6.2.1 정의=209,229,2
6.2.2 국가간 수평적 연합=210,230,3
소결론:제도적 구조 및 정치질서=213,233,4
V. 다층적 통치내 행위자의 권한과 상호작용=217,237,1
1. 초국가 행위자:유럽의회=217,237,1
1.1 권한과 기능=217,237,1
1.1.1 제도적 권한변화=217,237,2
1.1.2 인식의 균형=218,238,3
1.2 이념적 분파와 연계=220,240,2
1.2.1 구조적 조건=221,241,5
1.2.2 행위자간 연계=225,245,2
1.3 이념적 정향과 정체성=226,246,1
1.3.1 이념적 정향=226,246,2
1.3.2 정체성:부가적 질서와 한계=227,247,2
2. 초국가 행위자:집행위원회=229,249,1
2.1 권한과 기능=229,249,1
2.1.1 정치적 조정=229,249,3
2.1.2 기술관료적 기능=231,251,2
2.2 정책네트워크와 연계=232,252,1
2.2.1 네트워크의 허브=232,252,3
2.2.2 다수준의 행위자간 연계=234,254,3
2.3 기능적 분화와 정체성=236,256,2
2.3.1 독립적 관료사회=237,257,4
2.3.2 정체성:기술합리성과 사회화 과정=240,260,3
3. 초국가내 정부간 행위자:이사회=243,263,1
3.1 목적과 운영원리:초국가내 국가간 협상=243,263,3
3.2 권한과 기능변화:가중다수결=245,265,1
3.2.1 행위자간 권력균형=245,265,3
3.2.2 유연한 합의구조=247,267,3
3.3 이중적 정체성:지역적 분할의 완화=250,270,4
4. 초국가내 정부간 행위자:국내관료=254,274,1
4.1 목적과 구성원리:지역적 분할과 초국가주의의 융합=254,274,4
4.2 권한과 기능=257,277,1
4.2.1 국가들간 협상시스템:상주대표부와 실무그룹=257,277,4
4.2.2 기술관료적 대리인:전문가위원회=260,280,3
4.3 이중적 정체성:2차적 사회화=262,282,3
5. 유럽적 행위자:사적행위자=265,285,1
5.1 초국적 침투:구조적 조건과 이익동인=265,285,4
5.2 초국적 연계=269,289,1
5.2.1 집행위원회=269,289,3
5.2.2 유럽의회=271,291,2
5.3 이익분화와 투입수준=272,292,2
5.3.1 사회적, 계급이익:노조=273,293,3
5.3.2 경제적 이익:사용자 집단=276,296,3
6. 유럽적 행위자:국가내 하위정치단위체=279,299,1
6.1 초국적 침투=279,299,1
6.1.1 이익동인=279,299,5
6.1.2 다중전략=283,303,3
6.2 초국적 연계=285,305,1
6.2.1 공동체수준=285,305,2
6.2.2 국가수준=286,306,2
6.3 연계유형과 투입수준=287,307,1
6.3.1 중심부간 연합=287,307,3
6.3.2 능력의 격차:국가의 내적속성=289,309,3
소결론:다행위자간 수평적 연합=292,312,4
VI. 다층적 통치과정=296,316,1
1. 유럽적 문제해결=296,316,1
1.1 문제해결 기제:다층적 분화=296,316,3
1.2 정책과정과 레짐의 분할=299,319,1
1.2.1 정책과정:제도분할=299,319,5
1.2.2 정책레짐:정책분할=303,323,7
1.3 정책결정과 집행의 분할=309,329,3
1.3.1 정책결정=311,331,2
1.3.2 정책집행=312,332,3
2. 정책과정:초국가수준=315,335,1
2.1 공동체방식=316,336,4
2.2 공동결정=319,339,1
2.2.1 완화된 정책산출=319,339,3
2.2.2 권력균형 원리:조건적 의제제안=322,342,6
2.2.3 다행위자간 합의기제=327,347,4
2.3 커미톨로지=330,350,2
2.3.1 기능과 분화=331,351,3
2.3.2 기술관료적 통치=333,353,3
3. 정책과정:정부간 수준=336,356,1
3.1 조정영역=336,356,2
3.1.1 초국가내 정부간 조정=337,357,3
3.1.2 정부간 외교적 협상=339,359,2
3.2 합의기제=340,360,1
3.2.1 공적 제도화:상호주권성과 긴밀한 협력=340,360,4
3.2.2 2차적 제도화:국가간 비대칭성의 완화=343,363,3
3.3 투입과 산출=345,365,1
3.3.1 국가의 선호와 완화된 투입=345,365,5
3.3.2 가변적 정책집행=349,369,5
4. 정책과정:유럽수준=354,374,1
4.1 개념과 목적=354,374,1
4.1.1 제3의 정책과정=354,374,3
4.1.2 공적통치의 확장=356,376,3
4.2 실행기제와 적용=358,378,1
4.2.1 연성화된 제도적 합의=358,378,4
4.2.2 적용:중층적 정책레짐=361,381,2
4.3 다층적 통치의 구현=363,383,1
4.3.1 개념적 유사성=363,383,3
4.3.2 한계=365,385,2
5. 정책레짐:다변적 정책레짐 (multi-dimensional policy regime)=367,387,1
5.1 분권화 조건:구조적 차원=367,387,1
5.1.1 정책네트워크=367,387,3
5.1.2 다행위자시스템=369,389,2
5.2 분권화 조건:행위자 차원=371,391,1
5.2.1 행위자의 선택=371,391,3
5.2.2 기술관료=373,393,3
5.3 분권화 기제=375,395,1
5.3.1 비연속적 시스템=375,395,5
5.3.2 비선형적 시스템=379,399,4
6. 정책레짐:중층적 정책레짐 (multi-layered policy regime)=383,403,2
6.1 지정학과 시장기제=384,404,1
6.1.1 정책영역=384,404,3
6.1.2 정책속성:규제적 경쟁과 국내정책의 초국가화=387,407,4
6.2 통합방식=390,410,1
6.2.1 전통적 통합방식=391,411,2
6.2.2 통합방식의 전환:구성적 통합=392,412,3
6.3 긍정적 통합과 갈등=395,415,1
6.3.1 갈등기제=395,415,3
6.3.2 제도적 대응=398,418,4
보론:다층적 통치의 한계:간접적 민주주의=402,422,2
7.1 민주적 정당성의 결핍=404,424,3
7.2 초국적 투입의 왜곡=406,426,6
VII. 결론=412,432,1
1. 분석의 함의와 한계=412,432,3
2. 이론적 한계와 과제=415,435,2
참고문헌=417,437,36
Abstract=453,473,1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