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2

목차 = 0,3,3

국문초록 = i,6,3

1. 서론 = 1,9,1

1.1. 연구의 목적 = 1,9,1

1.2. 『일본서기』의 편찬 과정 = 2,10,2

1.3. 『일본서기』의 필사본ㆍ판본ㆍ교주본 = 3,11,3

1.4. 기존 연구 검토 = 5,13,9

1.5. 기존 연구의 문제점 = 13,21,3

2. 『일본서기』음가명의 추출 = 15,23,1

2.1. 고대 한국어 표기 음가명의 추출 = 15,23,1

2.1.1. 고대 한국어 표기 일람표의 작성 = 15,23,2

2.1.2. 고대 한국어 표기 음가명의 추출 = 16,24,16

2.2. 일본 고유명사 음가명의 추출 = 31,39,1

2.2.1. 일본 고유명사 일람표의 작성 = 32,40,1

2.2.2. 일본 고유명사 음가명의 추출 = 32,40,4

2.3. 음가명의 비교 = 35,43,2

3. 『일본서기』고대 한국어 표기의 특징 = 36,44,1

3.1. 고대 한국어 표기 주음의 성격 = 36,44,2

3.2. αㆍβ군 구분에 의한 특수성 검증 = 37,45,1

3.2.1. αㆍβ군 구분의 근거 = 37,45,3

3.2.2. ka(カ)행에서의 후음자의 분포 = 40,48,1

3.2.3. sa(サ)행, ta(タ)행, fa(ハ)행에서의 차청음자의 분포 = 40,48,2

3.2.4. a(ア)열에서의 [마]운자 분포 = 41,49,2

3.2.5. 양성운자와 입성운자 분포 = 42,50,3

3.3. '추고유문' 음가명과의 일치 = 44,52,5

3.4. 한국측 자료에 나타난 음차자와의 비교 = 49,57,25

3.5. 성모 구성 비율의 비교을 통한 특수성 검증 = 73,81,7

3.5.1. 순음 : fa(ハ)행ㆍma(マ)행ㆍバ(ba)행 = 79,87,2

3.5.2. 설음 : ta(タ)행ㆍda(ダ)행ㆍna(ナ)행 = 80,88,3

3.5.3. 아음 : ka(カ)행ㆍga(ガ)행 = 82,90,3

3.5.4. 치음 : sa(サ)행ㆍza(ザ)행 = 84,92,2

3.5.5. 후음ㆍ반설음 : a(ア)행ㆍja(ヤ)행ㆍua(ワ)행ㆍラ(ra)행 = 85,93,2

3.5.6. 한국측 자료의 성모 분포 = 86,94,6

3.6. 운모 구성 비율의 비교를 통한 특수성 검증 = 91,99,3

3.6.1. a(ア)열 = 93,101,2

3.6.2. u(ウ)열 = 94,102,2

3.6.3. 한국측 자료의 운모 분포 = 95,103,2

3.7. 유운미자 비율 비교를 통한 특수성 검증 = 96,104,5

3.8. 고대 한국어 표기의 자료성 = 100,108,2

4. 고대 한국어 표기에 의한 음운 현상의 추정 = 101,109,1

4.1. '백제사료'에 의한 음운 현상의 추정 = 101,109,1

4.1.1. '백제사료'에 인용된 일본 인명 = 101,109,3

4.1.2. '백제사료' 일본인 인명 음가명 자료성 = 103,111,3

4.1.3. 일본인 인명에 의한 음운 현상의 추정 = 105,113,8

4.1.4. 고대 한국어[백제어]의 음운 현상 = 112,120,2

4.2. 동명 이표기 = 113,121,1

4.2.1. 고대 한국어 표기의 동명 이표기 = 113,121,5

4.2.2. 동명 이표기의 자료성 = 117,125,5

4.2.3. 동명 이표기에 의한 음운 현상의 추정 = 121,129,5

4.3. '연합가명'에 의한 음운 현상 추정 = 125,133,14

4.4. 고대 한국 한자음의 일본 전파 = 138,146,3

5. 결론 = 140,148,7

6. 참고문헌 = 146,154,6

부록 (별첨1)『일본서기』고대 한국어 표기 일람표 = 152,160,27

부록 (별첨2)『일본서기』일본 고유명사 일람표 = 179,187,35

(Abstract) = 214,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