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3
감사의 말씀=0,4,1
차례=i,5,6
서론=1,11,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1,11,2
연구의 범위와 내용=2,12,3
제1장. 토착화 신학에 대한 개념적 고찰=5,15,2
1) Adaptation(적응, Accommodation)=6,16,1
2) Indigenization(본방화, 토속화)=7,17,1
3) Enculturation(문화순응, 문화화)과 Acculturation(문화변용)=7,17,2
4) Incarnation(육화)=8,18,2
5) Inculturation(토착화, 토착문화화)=9,19,2
6) Interculturation(상호문화화)=10,20,2
7) Contextualization(상황화, 맥락화)=11,21,2
제2장. 성서에 나타난 토착화 작업=13,23,1
I. 구약성서 안에 나타난 토착화 작업=13,23,1
1. 창조설화의 토착화 작업=13,23,2
1) 바빌론의 창조설화=14,24,2
2) 제관계 창조설화(창세 1,1-2,4a)=15,25,3
3) 바빌론의 창조설화와 제관계 창조설화의 비교=17,27,4
2. 지혜문학의 토착화 작업=20,30,2
1) 고대 근동의 지혜문학=21,31,2
2) 초기 이스라엘의 지혜 이해=22,32,3
3) 예언자 시대의 지혜 이해=24,34,2
4) 지혜문학의 정경화(정경화:Canonization)=25,35,3
5) 지혜의 의인화=27,37,2
II. 신약성서에 나타난 토착화 작업=28,38,3
1. 그리스인들과 히브리인들의 로고스(λογΟζ) 이해(이미지참조)=30,40,1
1) 그리스인들의 로고스 이해=30,40,1
① 피타고라스 학파의 로고스 이해=30,40,2
②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 이해=31,41,1
③ 스토아학파의 로고스 이해=31,41,2
④ 영지주의의 로고스 이해=32,42,1
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로고스 이해=32,42,3
2) 구약성서의 말씀 이해=34,44,3
3) 신약성서의 말씀 이해=36,46,4
2. 그리스인들과 히브리인들의 인간 이해=37,47,2
1) 그리스인들의 인간 이해=38,48,2
2) 구약성서의 인간 이해=40,50,3
3) 신약성서의 인간 이해=42,52,2
3. 요한복음 서문의 육화 사상 이해=44,54,1
1) 로고스의 선재사상=44,54,2
2) 로고스의 신성=45,55,1
3) 로고스의 인성(육화)=45,55,2
4) 로고스의 내재적인 특성=46,56,1
제3장. 교부 시대의 토착화-그리스도논쟁을 중심으로=47,57,1
1. 그리스도론의 대두 과정=48,58,1
1) 이단사상의 출현=48,58,1
① 에비오니즘(Ebionismus)=48,58,2
② 단원론(단원론, Monarchianismus)=49,59,5
③ 가현설(가현설:Docetismus)=53,63,3
2) 오리게네스의 사상=55,65,1
① 신플라톤주의의 유출설=55,65,4
② 오리게네스의 사상=58,68,3
2. 삼위일체논쟁(그리스도 신성론)=60,70,2
1) 아리우스 논쟁과 니체아 공의회=61,71,1
①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로고스-육신 그리스도론=61,71,3
② 아리우스의 사상=63,73,3
③ 니체아 공의회=65,75,2
2) 니체아 공의회 이후의 아리우스주의=66,76,1
① 니체아 옹호파에 대한 아리우스파의 정치적인 공격=66,76,3
② 'ι'논쟁=68,78,6
3. 그리스도논쟁(그리스도의 인성론)=73,83,2
1) 아폴리나리오의 사상=74,84,6
2) 네스토리오와 치릴루스의 사상=79,89,3
① 네소토리오의 사상=81,91,2
② 치릴루스의 사상=82,92,3
3) 에페소 공의회와 칼체돈 공의회의 결정=84,94,1
① 에페소 공의회의 결정사항=84,94,3
② 칼체돈 공의회의 결정사항=86,96,3
4) 칼체돈 공의회에 대한 평가=88,98,1
제4장. 선교 시대의 토착화 작업-중국의 의례논쟁을 중심으로-=89,99,1
1. 예수회 선교사들의 중국 선교와 보유론=89,99,3
2. 예수회의 적응주의적 선교방침과 교황청의 전통 제례 허용=91,101,5
3. 통일성의 선교정책과 정통제례의 금지=95,105,5
4. 중국 의례논쟁의 평가=99,109,2
제5장. 토착화에 대한 교도권의 가르침=101,111,1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101,111,2
1)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102,112,2
2) 『현대 세계의 사목헌장』=103,113,1
3) 『교회의 선교 활동에 관한 교령』=103,113,2
2. 교황 바오로 6세의 가르침=104,114,1
1) 연설문들 안에서=104,114,2
2) 사도적 권고『현대의 복음선교』=105,115,2
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가르침=106,116,1
1) 사도적 권고『현대의 교리교육』=106,116,2
2) 연설문들 안에서=107,117,2
3) 회칙『교회의 선교사명』=108,118,1
4) 회칙『신앙과 이성』=108,118,3
제6장. 한국 가톨릭 토착화 신학의 구조=111,121,1
I. 한국 가톨릭 토착화 신학 형성사=111,121,1
1. 조선 후기 가톨릭의 수용과 토착화 작업=111,121,1
1) 조선후기 가톨릭의 수용=112,122,2
2) 조선후기 신서파 학자들의 토착화 노력=113,123,1
① 이벽의『천주공경가』와『성교요지』=113,123,2
② 정약종『주교요지』=114,124,2
③ 정하상의『상재상서』=115,125,2
④ 정약전의『십계명가』=116,126,1
⑤ 정약용의 사상=116,126,2
3) 조선 후기 토착화 작업에 대한 평가=117,127,2
4) 교회 내·외적인 상황으로 인한 조선 후기 토착화 작업의 좌절=118,128,2
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한국교회의 토착화 신학=119,129,3
II. 한국천주교회 창립200주년 기념 사목회의의 토착화론=121,131,2
1. 200주년 기념 사목회의의 육화 토착화론=122,132,4
2. 사목회의 '육화-토착화론' 안에서 복음과 문화와의 상관성 문제=125,135,3
3. 사목회의의안에서의 교회와 민족의 이분법적인 관계 구도=127,137,2
III. 심상태의 그리스도 중심의 '적응-대화론'=128,138,2
1. 심상태의 토착화 신학의 해석학적 구조=129,139,1
1) 심상태의 토착화 신학 안에서의 주체성 물음과 한국적 특성=129,139,3
2) '한국적 특성' 문제와 '환인-하느님론'=131,141,4
2. 그리스도 신앙 진리와 한국적 특성과의 창조적 긴장 관계=134,144,3
제7장. 한국 개신교 토착화 신학=137,147,1
I. 한국 개신교 토착화신학 형성사=137,147,2
1. 탁사 최병헌의 변증론=138,148,4
2. 1930년대의 한국 토착화 신학=141,151,2
1) 박형룡의 근본주의적 정복 모델=142,152,3
2) 김재준의 진보주의적 발효 모델=144,154,3
3. 1960년대 토착화 논쟁=146,156,1
1) 논쟁의 배경=146,156,3
2) 유동식과 전경연의 토착화 논쟁=148,158,1
① 유동식의 실존적 선교신학과 문화적 토착화=148,158,3
② 전경연의 역사적 토착화론과 복음과 문화의 관계 신학=150,160,2
③ 유동식과 전경연의 논쟁에 대한 평가=151,161,3
4. 1960년대 이후의 한국의 토착화 신학의 경향=153,163,3
II. 한국의 문학신학=155,165,1
1. 윤성범의 '성'의 신학=155,165,4
2. 유동식의 풍류신학=158,168,4
3. 초기 변선환의 불교적 그리스도론=161,171,4
4. 김경재의 문화신학=165,175,2
5. 박종천의 상생의 신학=166,176,5
III. 한국 민중신학에 대한 고찰=170,180,2
1. 민중신학의 태동=171,181,1
1) 민중신학의 태동 배경=172,182,1
① 1970년대의 한국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172,182,4
② 해방신학의 영향=175,185,1
2) 민중신학의 태동과 이에 대한 논쟁=175,185,6
2. 민중은 누구인가?=180,190,2
1) 성서에 나타난 민중 개념=181,191,1
① 구약성서의 암 하아레츠=181,191,2
② 구약성서에서 민중에 속하는 이들=182,192,6
2) 민중 개념 정의에 대한 민중신학자들의 입장=187,197,4
① 민중은 역사의 주체이며 사회적 실체이다=190,200,2
② 민중은 정치적 피억압자, 경제적 피수탈자, 사회적 소외자등 사회의 하류층이다=191,201,1
③ 민중은 자각된 대중(민중)뿐만 아니라 우매한 대중도 포함한다=191,201,2
3. 민중신학의 신학적 전거=192,202,1
1) 출애굽 사건=192,202,4
2) 십자가 사건=195,205,2
3) 부활 사건=196,206,3
4. 서남동의 민중 메시아론=198,208,1
1) 서남동의 민중신학 방법론=198,208,2
① 사회경제사적 방법론=199,209,6
② 문학사회학적 방법론=204,214,4
2) 서남동의 민중 메시아론=207,217,5
5. '사건의 신학'으로서의 안병무의 민중신학=211,221,1
1) 민중에 대한 안병무의 이해=211,221,1
① 민중은 역사의 주체이다=211,221,2
② 예수가 민중이다=212,222,3
③ 예수와 민중의 관계=214,224,2
2) '사건의 신학'으로서의 안병무의 민중신학=215,225,3
IV. 문화신학과 민중신학의 합류로서의 변선환의 종교해방신학=218,228,1
1. 한국의 전위신학(문화신학과 민중신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218,228,4
2. 한국신학의 탈서구화와 새 모형 시도=221,231,1
1) 한국신학의 탈서구화를 위한 조건들=221,231,2
① 서구적 종교 편견에 대한 극복=222,232,2
② 교회 중심중의의 포기=223,233,3
③ 그리스도론의 배타적 절대성 주장의 지양=225,235,2
2) 한국신학의 새 모형 시도=226,236,1
① 피에리스 신학의 영향=226,236,3
② 타종교와의 만남:깊이와 넓이의 차원=228,238,3
3. 변선환의 신중심적 비규범적 그리스도론=230,240,1
1) 파니카의 우주적 그리스도론(cosmic Christology)=230,240,4
2) 변선환의 신중심적 비규범적 그리스도론=233,243,3
결론=236,246,7
참고문헌=243,253,14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