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교육정책과 그 유형에 관한 연구 : 1945~1979/ 박호근
발행사항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8
청구기호
TD 370.951 ㅂ861ㅎ
형태사항
38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05362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2000.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i,4,6

표목차 = vii,10,3

그림목차 = ix,12,1

I. 서론 = 1,13,1

1. 연구목적 및 연구의 필요성 = 1,13,3

2. 연구내용 = 3,15,2

3. 연구방법 = 4,16,1

4. 연구범위 = 4,16,2

5. 연구의 제한점 = 5,17,1

II. 교육정책의 개념과 유형 = 6,18,1

1. 교육정책의 개념 = 6,18,1

가. 정책의 개념분석 = 6,18,1

1) 정책의 개념 = 6,18,6

2) 정책의 개념 분석 = 11,23,5

나. 교육정책의 개념 분석 = 15,27,1

1) 교육정책의 개념 = 15,27,2

2) 교육정책의 개념 분석 = 16,28,2

다. 정책과 교육정책 개념의 비교 분석 = 17,29,2

2. 교육정책의 분류 유형 = 19,31,1

가. 정책의 분류 유형 = 19,31,6

나. 교육정책의 분류 유형 = 24,36,5

다. 정책과 교육정책 분류 유형의 비교 분석 = 28,40,1

3. 정책결정이론의 유형 = 29,41,1

가. 정책결정과정 = 29,41,4

나. 정책결정이론의 유형 분석 = 32,44,1

1) 정책결정이론의 유형 = 33,45,14

2) 정책결정이론의 종합 분석과 한국적 적용가능성 = 46,58,8

4. 정책결정 기준의 유형 = 54,66,1

가. 정치적 가치(political values) = 54,66,1

나. 조직적 가치(organization values) = 54,66,2

다. 개인적 가치(personal values) = 55,67,1

라. 정책적 가치(policy values) = 55,67,2

마. 이념적 가치(ideological values) = 56,68,1

바. 경제적 가치(economical values) = 56,68,1

5. 분석의 틀 = 57,69,1

가. 분석 대상 = 57,69,1

나. 분석의 틀 = 58,70,1

다. 분석의 준거 = 58,70,2

III. 한국 교육정책과 그 유형 = 60,72,1

1. 미군정기의 교육정책 = 60,72,1

가. 유형별 교육정책 = 60,72,1

1) 교육체제 확립 정책 = 61,73,1

가) 미군정의 등장과 교육 주도세력의 재편 = 61,73,1

(1) 미군정의 등장과 민족주의 세력의 배제 = 61,73,3

(2) 교육주도세력의 재편 = 64,76,4

(3) 학무국 편성과 문교부로의 개편 = 67,79,3

(4) 교육주도세력 재편 과정의 평가 분석 = 69,81,9

나) 교육이념 정책 = 77,89,1

(1) 교육이념으로서의 '홍익인간' = 77,89,3

(2) 새교육 운동 = 79,91,5

다) 교육제도 정책 = 84,96,1

(1) 단선형 학제로의 개편 = 84,96,4

(2) 의무교육제도 확립 = 87,99,2

(3) 교육자치제의 태동 = 88,100,3

2) 형식교육 정책 = 90,102,1

가) 초ㆍ중등교육 정책 = 90,102,1

(1) 학교의 개교와 교육과정 편성 = 90,102,6

(2) 초ㆍ중등학교 교과서의 제작과 보급 = 95,107,5

(3) 초ㆍ중등 교육 정책의 평가 분석 = 99,111,3

나) 고등교육정책 = 101,113,1

(1) 국립서울대학교의 설치 = 101,113,5

(2) 사립대학의 승격과 대학확충정책 = 105,117,2

(3) 고등교육 정책의 평가 분석 = 106,118,4

3) 비형식 교육 정책 = 109,121,2

가) 문맹퇴치교육 = 110,122,1

(1) 문맹퇴치교육의 전개 과정 = 110,122,6

(2) 문맹퇴치교육의 평가 분석 = 115,127,1

4) 교원 정책 = 116,128,1

가) 사범학교 및 사범대학의 설치 = 116,128,3

나) 교사 재교육 강습회 = 118,130,1

다) 교원교육에 관한 평가 분석 = 118,130,2

나. 미군정기 교육정책 종합 분석 = 120,132,5

2. 제1공화국의 교육정책 = 125,137,1

가. 유형별 교육정책 = 125,137,1

1) 교육체제 확립 정책 = 126,138,1

가) 교육이념 정책 = 126,138,1

(1) 교육이념으로서의 '일민주의' = 126,138,6

(2) 국방교육 = 131,143,5

나) 교육제도 정책 = 135,147,2

(1) 「교육법」제정과 기간 확제의 정비 = 136,148,4

(2) 교육자치제도 = 139,151,6

2) 형식교육정책 = 144,156,1

가) 초등교육정책 = 144,156,1

(1) 의무교육정책 = 144,156,9

나) 중등교육정책 = 152,164,1

(1) 과학 기술교육 정책 = 152,164,7

(2) 종합고등학교 정책 = 158,170,4

다) 고등교육정책 = 161,173,1

(1) 전시연합대학 정책 = 161,173,4

3) 비형식교육 정책 = 164,176,1

가) 문맹퇴치교육 = 164,176,7

나) 직업기술교육의 강화 = 170,182,3

다) 사회교육정책의 확대 = 172,184,2

라) 사회교육 정책의 평가 분석 = 173,185,2

4) 교원정책 = 174,186,1

가) 정부수립기의 교원정책 = 174,186,3

나) 6ㆍ25동란기의 교원정책 = 176,188,3

다) 전후 재건기의 교원정책 = 178,190,6

라) 교원정책의 평가 분석 = 183,195,2

5) 교육과정정책 = 184,196,2

가)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기구의 편성과 추진 = 185,197,2

나) 연구학교 지정과 운영 = 186,198,2

다) 교육과정 개편정책의 평가 분석 = 187,199,3

나. 제1공화국 교육정책 종합 분석 = 190,202,15

3. 제2공화국의 교육정책 = 205,217,1

가. 과도정부의 교육정책 = 205,217,2

1) 학도호국단 해체와 학생회 조직 = 206,218,1

2) 과도정부 교육정책의 평가 분석 = 206,218,2

나. 제2공화국의 교육정책 = 208,220,1

1) 오천석 문교부장관의 교육정책 = 208,220,5

2) 교원노조운동 = 212,224,6

3) 제2공화국 교육정책의 평가 분석 = 217,229,2

다. 제2공화국 교육정책 종합 분석 = 219,231,1

4. 제3공화국의 교육정책 = 220,232,1

가. 군사정부의 교육정책 = 220,232,1

1) 교육체제 확립 정책 = 220,232,1

가) 교육이념 정책 = 220,232,1

(1)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 : '인간개조운동' = 220,232,2

(2) 사회교육으로서의 재건국민운동 = 221,233,3

(3) 인간개조운동의 평가 분석 = 223,235,2

나) 교육개혁을 위한 혁명 입법 : 「교육에 관한 임시 특례법」= 224,236,7

2) 형식교육 정책 = 231,243,1

가) 입시제도의 개혁 = 231,243,3

나) 고등교육 정책 = 234,246,1

(1) 대학 정비정책 = 234,246,7

3) 비형식교육 정책 = 240,252,1

가) 마을문고 설치와 국민 독서운동 = 240,252,2

나) 각종 사회교육기관의 정비 = 241,253,2

다) 향토학교 운동 = 242,254,2

라) 도서관법 제정과 도서관 확충 사업 = 243,255,2

마) 비형식교육 정책의 평가 분석 = 244,256,2

4) 교육과정 개편 정책 = 245,257,3

5) 실업교육정책 = 248,260,2

6) 사학정책 = 249,261,4

7) 군사정부 교육정책 종합 분석 = 252,264,4

나. 제3공화국의 교육정책 = 256,268,1

1) 교육체제 확립 정책 = 256,268,1

가) 교육이념 정책 = 256,268,1

(1) 국민교육헌장 = 256,268,8

나) 교육제도 정책 = 263,275,7

다) 장기 종합교육계획 수립 = 269,281,5

2) 형식교육정책 = 273,285,1

가)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 = 273,285,4

나) 대학입학 예비고사제 = 276,288,3

다) 1970년대의 초ㆍ중등교육 정책 = 278,290,2

(1) 기성회 해체와 육성회 조직 = 279,291,4

(2) 초ㆍ중등 교육과정의 개편 = 282,294,4

(3) 국적 있는 교육 = 285,297,4

(4) 군사 안보교육체제의 강화 = 288,300,6

(5) 새마을 교육 = 293,305,7

(6) 실업교육 정책 = 299,311,6

3) 비형식 교육 정책 = 304,316,1

가) 향토학교 운동 = 304,316,3

나) 성인교실의 설치 운영 = 306,318,2

다) 청소년 직업학교 설치 운영 = 307,319,2

라) 대학생 연합 봉사활동의 전개 = 308,320,2

마) 비형식 교육 정책의 평가 분석 = 309,321,3

4) 교육 정책 = 312,324,4

다. 제3공화국 교육정책 종합 분석 = 316,328,9

5. 제4공화국의 교육정책 = 325,337,1

가. 유형별 교육정책 = 325,337,1

1) 교육체제 확립 정책 = 325,337,1

가) 교육이념 정책 : 유신교육 = 325,337,2

2) 형식교육정책 = 326,338,1

가) 중등교육 정책 = 327,339,1

(1) 고교평준화 정책 = 327,339,6

(2) 실업교육정책 = 332,344,4

나) 고등교육 정책 = 336,348,1

(1) 실험대학 정책 = 336,348,4

3) 비형식 교육 = 339,351,1

가) 산업체 부설학교 및 특별학급의 설치 = 339,351,1

나) 방송통신교육제도 = 339,351,2

(1) 방송통신대학의 발족 = 340,352,1

(2) 방송통신고등학교 = 340,352,2

다) 비형식 교육정책의 평가 = 341,353,1

4) 교원정책 = 341,353,1

가) 교원 승급기간 단축과 한계 호봉제 폐지 정책 = 341,353,3

나) 사립학교 교원연금법 제정 정책 = 343,355,2

5) 교육과정 개편 정책 = 344,356,1

가) 교육과정 개편 과정 = 344,356,3

나) 교육과정 개편 정책의 평가 분석 = 346,358,3

나. 4공화국 교육정책 종합 분석 = 349,361,5

IV. 종합 및 논의 = 354,366,1

1. 종합 = 354,366,4

2. 논의 = 357,369,9

V. 요약 및 결론 = 366,378,1

1. 요약 = 366,378,2

2. 결론 = 368,380,3

참고문헌 = 371,383,1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