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주자의 공부론 연구/ 황금중
발행사항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8
청구기호
TD 370.1 ㅎ263ㅈ
형태사항
34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04409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2000.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3

감사의 글=0,4,1

목차=i,5,4

국문요약=v,9,3

I. 서론=1,12,1

1. 주자학에서 '공부'의 개념과 '공부론'의 의의=1,12,4

2. 동양교육사상사에서 주자 공부론의 위치와 성격=4,15,6

3. 현대 교육(학)의 과제와 주자 공부론 연구의 의미=9,20,3

4. 선행 연구의 검토=11,22,5

5. 연구의 내용(범위)=15,26,2

6.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16,27,2

II. 주자 이전 신유학 공부론의 흐름과 과제=18,29,1

1. 당·송 변혁기의 성격과 교육사적 문제=18,29,1

1) 과거제도 및 학교제도의 정비와 지식인의 대두=18,29,3

2) 인성교육론자들의 개혁구상과 과제=20,31,5

2. 당·북송대 신유학 공부론의 태동과 전개=24,35,1

1) 한유와 이고=24,35,3

2) 주돈신(염계)=27,38,4

3) 장재(횡거)=31,42,7

4) 정호(명도)=37,48,7

5) 정신(이천)=43,54,11

6) 이정 이후 공부론의 전개 양식과 주자의 관계=53,64,4

3. 요약=56,67,3

III. 주자 공부론의 구조와 공부의 주체·목적론=59,70,1

1. 주자 공부론의 구조와 성격=59,70,1

1) 주자 공부론에서「대학」의 지위=59,70,4

2) 「대학」'삼강령 팔조목'의 주자 해석과 공부론의 구조=62,73,5

3) 공부론에 있어서의 이기심성론의 의미=66,77,3

2. 유기체적 우주 이해와 인간의 본성=69,80,1

1) 유기체적 우주 이해와 이기=69,80,7

2) 만물에 내재한 생명원리(생리)로서의 성=75,86,5

3) 기질지성과 인간의 본성=79,90,8

4) 기질변화와 공부의 가능성=86,97,4

3. 공부의 주체:심=89,100,1

1) 공부 주체로서의 심의 성격과 이기=89,100,5

2) 공부 주체로서의 심의 지각 기능=93,104,5

3) 공부 주체로서의 심의 주재 기능=97,108,5

4. 공부의 목적:심과 이의 일체화=102,113,1

1) 심과 이의 일체화와 명명덕·신민의 공부이상=102,113,4

2) '명명덕'으로서의 인(의예지)의 본성 실현=105,116,7

5. 요약=112,123,3

IV. 주자 공부방법의 형성과정=115,126,1

1. 공부방법 관점 전개의 기본 성격=115,126,4

2. 연평수학시절의 단계:미발기예체인·분수상의 융석=118,129,7

3. 중화구설의 단계:사발제식존양·격물치지=124,135,1

1) 본령 공부에 대한 관심과 공부의 두 영역=124,135,3

2) 사발제식존양의 본령 공부=126,137,6

4. 중화신설의 단계:거경함양제식·격물치지=131,142,2

1) 중화신설의 반성과 공부 주체론(필성론)의 재정비=133,144,2

2) 미발사발함양제식의 본령 공부=134,145,5

3) 본령 공부로서의 경 공부의 제기와 그 하학화=138,149,6

4) 공부의 두 영역-경과 격물치지=144,155,4

5. 요약=147,158,4

V. 주자의 공부방법:경·지·행=151,162,1

1. 「대학」중심의 경·지·행 공부방법의 구조=151,162,4

2. 본령 공부로서의 경 공부=154,165,1

1) 경 공부의 의의:심의 주재성과 본심의 유지=154,165,4

2) 경 공부의 실천방법론=157,168,15

3. 지 공부:격물치지=171,182,2

1) 격물치지 공부의 의의:심의 이를 밝힘=172,183,3

2) 격물치지의 개념=174,185,11

3) 격물치지 공부의 실천방법론=184,195,12

4) 격물치지 공부와 경=195,206,4

5) 독서법:격물치지의 한 범례=198,209,18

4. 행 공부:성의·정심·수신·제가·치국·평천하=215,226,1

1) 행 공부의 의의:자신(신)과 이의 일체화=215,226,5

2) 행 공부의 실천방법론=219,230,20

3) 행 공부와 경=239,250,2

5. 지·행(경)의 상호관계와 그 공부론적 특성 및 의의=240,251,2

1) 지행(경)호발·지행(경)경진=241,252,3

2) 지선행(경)후=243,254,6

3) 행(경)중지경=248,259,2

4) 주자 지·행(경) 공부법의 의의:양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249,260,8

6. 주자 공부방법의 일반 특성=256,267,1

1) 덕성과 지성의 조화로운 계발:상산과의 공부방법 논쟁 검토를 중심으로=257,268,6

2) '위기지학'과'하학이상달'의 공부 태도=262,273,7

7. 요약=268,279,5

VI. 주자 공부론과 교육의 실제=273,284,1

1. 주자의 교육적 문제의식과 교육체제의 구상=273,284,1

1) 주자의 교육적 문제의식:교육 본연의 회복=273,284,3

2) '소학'과 '대학'의 두 단계 교육체제 정립=275,286,4

2. 소학 단계 교육의 공부론적 의미=278,289,1

1) 소학 교육의 의의:경의 토대 확립=278,289,6

2) 소학 교육 결핍의 보완책으로서의 경 공부=283,294,4

3. 서원교육의 공부론적 의미=286,297,2

1) 과학 및 관학의 폐해와 서원교육의 필요성 제기=287,298,4

2) 주자 서원교육이념의 공부론적 근거:'백록동서원학규'의 예=290,301,5

4. 공리 위주의 교육문화에 대한 공부론적 비판=294,305,1

1) 사공학파 교육관의 문제=294,305,4

2) 과학공부문화의 문제=297,308,3

5. 요약=299,310,3

VII. 종합적 논의:주자 공부론의 특성과 현대 교육적 이해=302,313,2

1. 삶의 의미와 공부 목적:'사랑'의 삶·사회의 실현=303,314,6

2. '마음'과 공부:덕성·이성·감성 교육의 문제와 관련하여=309,320,7

3. 경, 앎, 실천이 어우러지는 공부=315,326,1

1) 경 공부:'본심'으로 깨어있기=315,326,3

2) 앎(지)공부:가치이성의 실현=318,329,4

3) 실천(행)공부=321,332,3

4) 일상적 삶 자체로서의 경, 앎, 실천 공부=323,334,3

4. 주자 공부론의 한계=325,336,4

VIII. 요약, 결론 및 제언=329,340,1

1. 요약=329,340,6

2. 결론 및 제언=334,345,3

참고문헌=337,348,8

ABSTRACT=345,356,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