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0,4,1
I. 서론 = 1,5,4
II. 백제의 금석문 = 4,8,1
1. 무령왕지석(525년, 도1) = 4,8,4
2. 무령왕비지석(529년, 도2) = 7,11,6
3. 부여능산리사리감(567년, 도5) = 12,16,3
4. 사택지적비(654년, 도6) = 14,18,5
III. 백제의 서풍 = 18,22,4
IV. 신라의 금석문 = 21,25,1
1. 영일냉수리비(443, 503년? 도10) = 21,25,6
2. 울진봉평비(524년, 도10) = 26,30,5
3. 영천청제비(536년, 도11) = 30,34,4
4. 단양적성비(545~550년, 도12) = 33,37,3
5. 월성임신서기석(552, 612년? 도13) = 35,39,3
6. 진흥왕순수비 = 37,41,2
6-1. 창녕진흥왕척경비(561년, 도14-1) = 39,43,2
6-2. 북한산순수비(568년, 도14-2) = 40,44,2
6-3. 황초령진흥왕순수비(568년, 도14-3) = 41,45,2
6-4. 마운령순수비(568년, 도14-4) = 42,46,2
7. 대구무술명오작비(578년? 도15) = 43,47,3
8. 경주남산신성비(591년, 도16) = 45,49,3
V. 신라의 서풍 = 47,51,6
VI. 결론 = 52,56,2
도판 = 54,58,24
참고문헌 = 78,82,3
ABSTRACT = 81,85,2
고구려의 도서발달에 대한 제 측면고찰 : 금석문, 교육, 종교적 측면을 중심으로
6세기 초 신라 금석문에 대한 음운사적 고찰 : 6세기 초 신라 금석문에 나타나는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을 중심으로
三國時代 金石文과 그 變遷 ; 文體의 展開樣相을 中心으로
古新羅의 佛敎 관련 金石文
百濟史와 新羅史 연구의 새로운 進展 : 金石文 및 木簡 자료에 의한 성과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