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태국어의 수동 표현에 관한 연구/ 윤경원
발행사항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0.2
청구기호
TD 415.4 ㅇ442ㅌ
형태사항
24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00769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언어학, 2000.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i,4,5

제 1 장 서론 = 1,9,1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 1,9,10

1.2 선행 연구 = 10,18,1

1.2.1 변형문법을 사용한 분석 방법 = 11,19,2

1.2.2 조동사 분석 방법 = 13,21,2

1.3 수동의 유형 및 개념 = 14,22,10

1.4 논문의 구성 및 전개 = 23,31,3

제 2 장 태국어 = 26,34,1

2.1 태국어 개관 = 26,34,1

2.2 태국어의 음소 = 26,34,1

2.2.1 태국어의 자음 = 26,34,3

2.2.2 태국어의 모음 = 28,36,2

2.2.3 태국어의 성조 = 30,38,1

2.3 태국어의 문장 구조 = 30,38,1

2.3.1 단문 = 30,38,4

2.3.2 NP만으로 이루어진 문장 = 34,42,2

2.3.3 주어가 없는 문장 = 35,43,3

2.3.4 중문 = 37,45,2

2.3.5 복문 = 38,46,17

2.3.6 주제화 구문 = 54,62,3

제 3 장 태국어 수동구문 유형과 새로운 분석 = 57,65,1

3.1 태국어 수동구문에 대한 전통적 분석 = 57,65,1

3.2 / / 을 사용한 수동구문(이미지참조) = 57,65,8

3.2.1 어휘 / / 의 분석(이미지참조) = 64,72,5

3.2.2 수동구문의 / / 과 능동구문의 / / 사이의 유사성(이미지참조) = 69,77,1

3.2.2.1 비의도성 = 69,77,4

3.2.2.2 안내킴의 의미의 함축 = 72,80,7

3.2.2.3 동일한 통사적 제약 = 79,87,1

3.2.3 보문절의 분석 = 80,88,2

3.2.4 / /을 사용한 수동구문(이미지참조) = 81,89,9

3.3 수동구문에 대한 새로운 분석 = 89,97,1

3.3.1 변형문법을 사용한 분석방법에 대한 반론 = 89,97,3

3.3.2 조동사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반론 = 91,99,8

3.3.3[ / / + S] 구조의 타당성(이미지참조) = 99,107,1

3.3.3.1 유사한 구조를 가진 구문들과의 통사구조 비교 = 99,107,7

3.3.3.2 의문문 변형을 사용한 구성소 분석 = 105,113,4

3.3.3.3 / / 다음의 [NP VP]구조의 반복 가능성 = 108,116,2

3.3.3.4 [NP VP]구조에서 NP의 주제화 불가능 = 109,117,3

3.3.3.5 / / 하위구조 [NP VP]의 대용어 사용 가능성(이미지참조) = 111,119,2

3.3.4 와룻타마씬톱(1975)의 반론 및 그 해결책 = 112,120,7

3.4 / / 을 사용한 수동구문(이미지참조) = 118,126,1

3.4.1 어휘 / /의 분석(이미지참조) = 118,126,1

3.4.1.1 / /(이미지참조) = 118,126,3

3.4.1.2 / / (이미지참조) = 121,129,1

3.4.2 / / 수동구문(이미지참조) = 122,130,7

3.5 / / 을 사용한 수동구문(이미지참조) = 129,137,3

3.6 / / 을 사용한 수동구문(이미지참조) = 131,139,1

3.6.1 조동사로 사용되는 / /(이미지참조) = 131,139,2

3.6.2 / / 수동구문 (이미지참조) = 132,140,4

3.7 /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참조) = 136,144,1

3.7.1 / / 어휘 분석 (이미지참조) = 136,144,3

3.7.2 / / 수동구문 (이미지참조) = 138,146,5

3.8 어휘 수동 (중간태) = 142,150,16

제 4 장 어휘격 문법의 이론적 배경 = 158,166,1

4.1 어휘격 문법의 보편원리와 제약 = 158,166,4

4.1.1 어휘격 문법 내에서의 제약 = 161,169,2

4.1.2 어휘격 문법에서의 구조(constructions) = 162,170,2

4.1.3 자질(features) = 163,171,2

4.1.4 규칙 = 164,172,10

4.1.5 격 관계(case relations)와 격 형식(case forms) = 173,181,2

4.1.5.1 격 관계(Case relation) = 175,183,5

4.1.5.2 격 형식(Case form) = 180,188,1

4.1.6 수동자 중심(Patient centrality) = 180,188,1

4.2 수동구문의 어휘격 문법 분석 = 181,189,1

4.2.1 베트남어 = 181,189,5

4.2.2 중국어 = 185,193,3

4.3 어휘격 문법 선택의 이유 = 187,195,2

제 5 장 어휘격 문법에 의한 태국어 수동구문의 분석 = 189,197,1

5.1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189,197,1

5.1.1 / /을 사용한 비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189,197,5

5.1.2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193,201,1

5.1.2.1 행위자가 생략된 구문 = 193,201,4

5.1.2.2 행위자가 나타나 있는 구문 = 196,204,4

5.1.2.3 안내킴(adversative)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구문 = 199,207,4

5.1.2.4 안내킴(adversative)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지 않은 구문 = 203,211,4

5.2 /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206,214,1

5.2.1 / / 뒤에 동사가 오는 경우 (이미지 참조) = 206,214,3

5.2.2 / / 뒤에 명사형이 오는 경우 (이미지 참조) = 208,216,2

5.3 /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209,217,2

5.4 /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211,219,1

5.4.1 / / 다음에 동사가 위치하는 구문 (이미지 참조) = 211,219,3

5.4.2 / / 다음에 명사가 위치한 경우 (이미지 참조) = 213,221,2

5.5 / / 을 사용한 수동구문 (이미지 참조) = 214,222,1

5.5.1 행위자가 나타나 있지 않은 구문 = 214,222,2

5.5.2 행위자가 나타나 있는 구문 = 215,223,2

5.6 어휘 수동 (중간태) = 217,225,8

제 6 장 결론 = 225,233,5

참고문헌 = 230,238,8

Abstract = 238,246,4

(이미지참조) = 242,250,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