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K-뷰티라 불리는 한국의 뷰티는 재한 중국인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한국어 능력과 유행선도력은 한국 뷰티숍 지속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한국 뷰티서비스 가치를 높이고 뷰티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분석과 설문을 통한 실증조사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은 한국의 뷰티 기술과 뷰티숍 서비스 스케이프, 즉 뷰티숍 종사자의 서비스, 뷰티숍 신뢰성, 뷰티숍 편의성 등에 긍정적인 호감 반응을 보였다. 둘째, 한국 뷰티숍은 자신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에 부합하며, 뷰티숍 심벌과 로고타입, 내외부 구성 등 시각적 공간적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이고 만족스럽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뷰티숍 선택 결정에는 뷰티 기술, 서비스 가격, 뷰티숍 서비스 스케이프 이미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뷰티숍의 시각적 이미지와 공간이 주는 이미지를 중시하였다. 한편 뷰티숍은 피부 관리를 목적으로 1개월에 1회, 피부과 제휴 피부 관리숍이나 대형 프랜차이즈 숍을 이용하는 실리적 구매 경향을 보였다. 셋째, 재한 중국인의 한국어 능력과 유행선도력이 높을수록 뷰티숍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지속이용 의도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는 서울 인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조사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우리나라 수산물 브랜드의 실태 및 성공요인전략 : Current status and success factors strategies of marine products brands in Korea : focused on ChungCheongnam-do Province /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고삼숙 p. 5-18

농산물 브랜드의 유형 및 공동브랜드의 브랜드마케팅전략 : Types of agricultural brands and brand marketing strategies of co-brands : comparative analysis of co-brands between Buyeo and Cheongyang region / 부여 및 청양지역 간의 공동브랜드 비교분석 김신애, 권기대 p. 19-32

조선시대 永嘉誌(영가지) 및 咸州誌(함주지) 간의 브랜드 관계특성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brand between Youngga & Hamju topographies in Chosun Dynasty : focused on brand equity theory / 브랜드자산이론을 중심으로 권기대, 권기백 p. 33-45

디자인 표준 공개를 통한 개방형 혁신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open innovation with design standards disclosure 정수인 p. 47-60

브랜드 감각경험이 경험적 가치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brand sensory experience on empirical values and brand attitudes :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elements of automotive design's brand sensory experience / 자동차 디자인의 브랜드 감각경험 전달요소를 중심으로 김태우, 장동련 p. 61-72

비주얼 메타포 광고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visual metaphor advertising on audience advertisement attitude : focusing on audience in Korea and China / 한국 및 중국 수용자 중심으로 국경, 김희현 p. 73-82

국내 최초 B2C용 액란 포지셔닝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package design development for positioning liquid egg for B2C the first time in Korea : with the focus of the package design of the O'LAb Yoriran / 오랩 요리란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강수아, 김정훈 p. 83-97

버내큘러 디자인 관점에서 본 박물관의 장소브랜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seum place br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vernacular design : focused on the museum in China / 중국의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황윤정, 장동련 p. 99-109

都市再生における地域ブランドの視覚的象徴研究 = A study on visual symbols of regional brand for urban regeneration 김재홍 p. 111-126

재한 중국인의 한국 뷰티숍 브랜드이미지 인식이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w Chinese people in Korea perceive the brand image of Korean beauty shops on their continuous intention to us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Korean language skills and fashion leadership / 한국어 능력과 유행 선도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소욱, 명광주 p. 139-151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구조에 따른 미적 형식 연구 = A study on the aesthetic form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floral pattern design 이미나 p. 153-164

UV-C LED를 활용한 정수필터 디자인 개발 = Design development of water purification filter using UV-C LED 정지훈, 정정호 p. 165-174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뷰티 브랜드 동영상 튜토리얼 콘텐츠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s of attributes of influencer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beauty brand video tutorial content 이경렬 p. 175-191

Z세대를 위한 트랜스 브랜딩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rans-branding strategies for generation Z : focusing on trans brand cases / 트랜스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박정례, 이연준 p. 193-208

콘셉트 스토어가 브랜드 연상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ncept store design on brand association and brand attitude : focused on the case of Baskin-Robbins in Korea / 국내 배스킨라빈스 사례를 중심으로 황일경, 이현주 p. 209-223

소셜미디어 브랜드 정보의 신뢰성에 관한 영향요인과 결과 =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brand information credibility on social media 선종학 p. 225-234

럭셔리 브랜드 SNS 콘텐츠의 현대적 예술화 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uxury brands’ SNS content modern atrtification : fo[c]using on Jean Baudrillard’s simulacra /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를 중심으로 조은지, 장동련 p. 235-251

압화 조형물 서비스 스케이프 고객의 감정반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motional responses of servicescape customers of pressed flower sculptures 신정옥, 이진호 p. 253-263

온라인 인터랙티브 광고 유형이 세대에 따라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nline interactive advertising types on audience attitudes depending on generations 홍준아, 윤재영 p. 265-278

360°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자막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subtitles in 360° VR content : focusing on nonlinear space environments of virtual reality / 가상현실의 비선형 공간환경 중심으로 김민재 p. 279-288

중국 영화 포스터의 중국 버전과 해외 버전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overseas versions of Chinese films poster 장칭, 양종훈, 이상은 p. 127-138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aker, D. A.,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 The Free Press, 1991. 미소장
2 Berry, L. L., & Parasuraman, A.,「Marketing services」, New York: Free Press, 1994. 미소장
3 Hansen, H. L., 「Marketing Test, Cases and reading Richard Irwin, Homewild」, 1997. 미소장
4 Kasper, G. and Rose, K.,「Pragmatic Development in a Second Language」, Oxford : Blackwell, 2002. 미소장
5 김글ㆍ장동련,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가치와 공유가치창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3, 2018. 미소장
6 김명숙․양철기, 미용산업의 공동브랜드 활성화 방안과 프랜차이즈 현황 연구, 국제보건미용학회, 8(2), 2014. 미소장
7 김수재ㆍ박은준, 헤어살롱 신뢰와 시술만족 및 재방문의사의 관계, 한국미용학회, Vol.24 No.6, 2018. 미소장
8 김수정, 선택속성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의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카톨릭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미소장
9 김유진, 미용서비스산업의 시계열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0 김정희, 점포의 물리적 환경이 품질지각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2002. 미소장
11 나용희,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2 명광주, 아트워크 양식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13 박광민, 종합병원 이용자의 병원선택이 고객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14 배정주, 유행선도력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미소장
15 신선영, 서비스 물리적 환경이 호텔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16 위경효ㆍ강종환, 주얼리브랜드 매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 11 No.3, 2013. 미소장
17 유서윤, 피부관리숍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뷰티경영학회, 2(2), 2014. 미소장
18 유소라ㆍ김서희, 소셜커머스의 헤어상품 선택속성이 고객의 만족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Vol.22 No.4, 2006. 미소장
19 유정, 헤어살롱 신뢰와 시술만족 및 재방문의사의 관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20 윤대수 · 박옥련 · 이동철,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 고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Vol.9 No.1, 2007. 미소장
21 이규완, 한국과 한반도 주변 4개국의 국가이미지와 상품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2002. 미소장
22 이명식ㆍ최천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재 구매 의사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협회, Vol.5 No.3, 2003. 미소장
23 이유재ㆍ이청림, 서비스품질 연구에 관한 종합적 고찰, 한국마케팅관리학회, Vol.19 No.2, 2014. 미소장
24 최정호, 축제 물리적 환경과 서비스 품질이 방문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25 한지은ㆍ진용미, 미용사의 공감과 커뮤니케이션이 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Vol.24 No.6, 2018. 미소장
26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2001, 2001. 미소장
27 Bitner, M. J., Servicescape : The impact of physical sur 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1992. 미소장
28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993. 미소장
29 Kotler, P.,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12), 1973. 미소장
30 Voon, B. H., Role of service environment for restaurant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uences, 38(0), 2010. 미소장
31 Wakefield, K., & Blodgett, J., Measureme and management of sportscape, Journal of Sports Management, 10(1), 199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