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3항의 확대 적용 :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6도9367 판결 = A case study on the extended applica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Korea Article 312(3) :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6Do9367 / 지은석 1

논문요약 1

목차 2

대상판결 : 2016도9367 3

I. 공소제기 3

II. 소송경과 3

1. 제1심 : 인천지방법원 2015. 9. 24. 선고 2014고정1205 판결 3

2. 항소심 : 인천지방법원 2016. 6. 3. 선고 2015노3685 판결 4

3. 상고심 :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6도9367 판결 4

평석 6

I. 들어가며 : 쟁점의 정리 6

II. 문언해석에 따른 제312조 제3항의 적용대상 7

1. 제312조 제3항의 연혁 7

2. 제312조 제3항의 적용요건과 입법취지 8

3. 제312조 제3항의 적용대상 9

4. 소결 9

III. 제312조 제3항의 적용대상 확대 10

1. 공범에 대한 사경 피신조서 10

2. 확대 적용되는 공범의 범위 11

3. 확대 적용 여부가 가져오는 차이 12

4. 소결 12

IV. 제312조 제3항 확대 적용의 논거 13

1. 종전 대법원판결에서 든 논거 13

2. 대상판결에서 든 논거 16

3. 소결 19

V. 내용상 불가분적 관련성의 판단기준 20

1. 판단기준의 필요성 20

2. 범죄사실 간 중요 부분의 공유 22

3. 해당 피고인의 관여 불요(不要) 23

4. 소결 23

VI. 대상판결에 따를 때 드는 의문점 24

1. 처벌받지 않는 행위의 불가분성 24

2. 검사 작성 피신조서에의 확대 적용 26

3. 소결 27

VII. 마치며 : 대상판결의 의의 30

참고문헌 32

ABSTRACT 3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형 집행정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Problems of and improvement plan for stay of sentence execution system 조광훈 p. 300-342

보기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3항의 확대 적용 : A case study on the extended applica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Korea Article 312(3) :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6Do9367 /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6도9367 판결 지은석 p. 265-299

보기
비동의 강간죄의 도입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Application of the rape without consent in Germany and Japan / 독일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성화 p. 232-264

보기
몰수 대상으로서의 '범죄행위 제공물건'의 인정범위 확대론의 고찰 = The argument for expanding the scope of recognition of "products provided for criminal acts" as the subject of confiscation 송관호 p. 203-231

보기
현행 테러방지법의 명확성 원칙 위배 여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violation status of the principles of clarity for the anti-terrorism law : with a focus on the definition of ʻterrorʼ and ʻsuspicious terroristʼ / '테러' 및 '테러위험인물'의 정의조항을 중심으로 장지운 p. 173-202

보기
미국과 비교를 통해 본 한국 자금세탁범죄의 적용요건과 현황, 그리고 그 제도정착 실패의 원인 = Korea's money laundering crime : elements of offens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failure to settle in comparison with U.S. 설민수 p. 140-172

보기
다크넷 수사를 위한 수사제도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the investigative system for the darknet investigation 이원상 p. 343-375

보기
사업장 방치폐기물 적정처리를 위한 형사법적 주요 대책 = Key criminal law measures for the proper disposal of abandoned waste 권기원, 한생일 p. 66-106

보기
계약당사자 자격에 관한 기망이 있는 경우 대금편취 사기죄의 성립여부 = Case review : can a crime of fraud be established or not, deceiving the qualification of contract party? 권창국 p. 1-36

보기
바이러스 전염행위에 대한 형법적 대응 : Response of criminal law to the transmission of viruses : focused on the COVID-19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중심으로 고명수 p. 37-65

보기
절도죄와 주거침입죄의 불법비례적 죄수관계의 정립 = A review on the judgment of convicts in terms of intrusion upon habitation and larceny 김혜경 p. 107-13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