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문제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3
1. 읽기 23
가. 읽기 발달 23
나. 읽기 모델과 제한점 25
2. 읽기유창성 29
가. 읽기유창성 정의 및 중요성 29
나. 읽기유창성 평가 31
다. 읽기유창성 관련 요인 33
3. 발달성 난독 아동 39
가. 발달성 난독 아동 정의 39
나. 한국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 특성과 읽기유창성 40
다. 발달성 난독 아동에 대한 종단연구의 필요성 42
제3장 연구 방법 45
1. 연구 대상 45
1) 발달성 난독 아동 45
2) 일반 아동 46
2. 연구 도구 47
1) 문단글 읽기유창성 47
2) 읽기이해 49
3) 낱말 해독 49
4) 낱말 쓰기 50
5) 베껴 쓰기 51
6) 형태소 인식 52
7) 듣기이해 53
8) 음운인식 53
9) 빠른이름대기 54
10) 음운기억 54
3. 연구 절차 55
4. 자료 분석 및 신뢰도 56
5. 자료의 통계 처리 57
제4장 연구 결과 58
1. 확장된 SVR 모델에서 살펴본 시점별 각 집단의 읽기, 쓰기 발달 양상 58
1-1. 일반 집단의 시점별 읽기, 쓰기 발달 양상 58
1-2. 난독 집단의 시점별 읽기, 쓰기 발달 양상 68
2. 각 집단별 2학년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1학년 요인 탐색 78
2-1. 각 집단별 2학년 문단글 읽기유창성과 1학년 요인 간 상관관계 결과 78
2-2. 각 집단별 2학년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1학년 요인 80
제5장 결론 및 논의 84
1. 확장된 SVR 모델에서의 초등 1, 2학년 아동의 읽기, 쓰기 발달 양상 84
2. 2학년 시점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1학년 요인 93
3.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2
부록 9
〈부록 1〉 각 시점의 집단별 낱말 해독 점수 119
〈부록 2〉 각 시점의 집단별 낱말 쓰기, 복사기술 점수 120
〈부록 2-1〉 각 시점의 집단별 낱말 쓰기 반응 예시 121
〈부록 3〉 각 시점의 집단별 읽기이해 점수 123
〈부록 4〉 각 시점의 집단별 읽기유창성 점수 123
〈부록 4-1〉 각 시점의 집단별 읽기유창성 반응 기록 예시 126
〈부록 5〉 각 시점의 집단별 언어 요인 점수 138
〈부록 6〉 각 시점의 집단별 음운처리 요인 점수 139
〈부록 7〉 설문 결과 140
Abstract 144
〈그림-1〉 연구모형1 : 읽기유창성과 철자 쓰기가 읽기이해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해독과 읽기이해 요인 간을 부분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한 모형 21
〈그림-2〉 연구모형2 : 읽기유창성이 해독과 읽기이해 요인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며 철자 쓰기가 해독 요인과만 상관을 가진다고 가정한 모형 21
〈그림-3〉 대안모형(단순효과모형) : 읽기이해에 대한 해독, 철자 쓰기, 읽기유창성, 듣기이 해의 독립적인 효과를 가정한 단순효과모형 22
〈그림-4〉 일반 집단의 T1, T2 시점 경로분석 결과 66
〈그림-5〉 난독 집단의 T1, T2 시점 경로분석 결과 7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