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문제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3
1. 읽기 23
가. 읽기 발달 23
나. 읽기 모델과 제한점 25
2. 읽기유창성 29
가. 읽기유창성 정의 및 중요성 29
나. 읽기유창성 평가 31
다. 읽기유창성 관련 요인 33
3. 발달성 난독 아동 39
가. 발달성 난독 아동 정의 39
나. 한국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 특성과 읽기유창성 40
다. 발달성 난독 아동에 대한 종단연구의 필요성 42
제3장 연구 방법 45
1. 연구 대상 45
1) 발달성 난독 아동 45
2) 일반 아동 46
2. 연구 도구 47
1) 문단글 읽기유창성 47
2) 읽기이해 49
3) 낱말 해독 49
4) 낱말 쓰기 50
5) 베껴 쓰기 51
6) 형태소 인식 52
7) 듣기이해 53
8) 음운인식 53
9) 빠른이름대기 54
10) 음운기억 54
3. 연구 절차 55
4. 자료 분석 및 신뢰도 56
5. 자료의 통계 처리 57
제4장 연구 결과 58
1. 확장된 SVR 모델에서 살펴본 시점별 각 집단의 읽기, 쓰기 발달 양상 58
1-1. 일반 집단의 시점별 읽기, 쓰기 발달 양상 58
1-2. 난독 집단의 시점별 읽기, 쓰기 발달 양상 68
2. 각 집단별 2학년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1학년 요인 탐색 78
2-1. 각 집단별 2학년 문단글 읽기유창성과 1학년 요인 간 상관관계 결과 78
2-2. 각 집단별 2학년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1학년 요인 80
제5장 결론 및 논의 84
1. 확장된 SVR 모델에서의 초등 1, 2학년 아동의 읽기, 쓰기 발달 양상 84
2. 2학년 시점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1학년 요인 93
3.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2
부록 9
〈부록 1〉 각 시점의 집단별 낱말 해독 점수 119
〈부록 2〉 각 시점의 집단별 낱말 쓰기, 복사기술 점수 120
〈부록 2-1〉 각 시점의 집단별 낱말 쓰기 반응 예시 121
〈부록 3〉 각 시점의 집단별 읽기이해 점수 123
〈부록 4〉 각 시점의 집단별 읽기유창성 점수 123
〈부록 4-1〉 각 시점의 집단별 읽기유창성 반응 기록 예시 126
〈부록 5〉 각 시점의 집단별 언어 요인 점수 138
〈부록 6〉 각 시점의 집단별 음운처리 요인 점수 139
〈부록 7〉 설문 결과 140
Abstract 144
〈표-1〉 집단별 비언어성 지능지수 및 듣기이해 표준점수 46
〈표-2〉 연구 문제별 사용된 연구도구 47
〈표-3〉 문단글 읽기유창성 과제에 사용된 문단글 분석 결과 48
〈표-4〉 문단글 읽기유창성 과제 예시 49
〈표-5〉 낱말 해독 과제 및 채점 예시 50
〈표-6〉 낱말 쓰기 과제 및 채점 예시 51
〈표-7〉 복사 과제 및 채점 예시 52
〈표-8〉 형태소 인식 과제 및 채점 예시 53
〈표-9〉 T1 시점 일반집단의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59
〈표-10〉 T2 시점 일반집단의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60
〈표-11〉 일반 집단의 T1, T2 시점 측정모형 적합도 61
〈표-12〉 일반 집단의 T1, T2 시점 측정변인의 요인부하량 62
〈표-13〉 일반 집단의 T1, T2 시점 연구모형과 대안모형 적합도 비교 63
〈표-14〉 일반 집단의 T1, T2 시점 경로분석 결과 65
〈표-15〉 일반 집단의 시점별 문단글 읽기유창성 매개효과 분석 결과 67
〈표-16〉 T1 시점 난독집단의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69
〈표-17〉 T2 시점 난독집단의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70
〈표-18〉 난독 집단의 T1, T2 시점 측정모형 적합도 71
〈표-19〉 난독 집단의 T1, T2 시점 측정변인의 요인부하량 72
〈표-20〉 난독 집단의 T1, T2 시점 연구모형과 대안모형 적합도 비교 73
〈표-21〉 난독 집단의 T1, T2 시점 경로분석 결과 75
〈표-22〉 난독 집단의 시점별 문단글 읽기유창성 매개효과 분석 결과 77
〈표-23〉 초등 1학년 1학기 시점(T1) 일반 집단의 변인 간 상관관계 78
〈표-24〉 초등 1학년 1학기 시점(T1) 난독 집단의 변인 간 상관관계 79
〈표-25〉 T2 시점 일반 집단의 읽기유창성 설명 변인(T1) 중다회귀분석 회귀방정식 80
〈표-26〉 T2 시점 일반 집단의 읽기유창성 설명 변인(T1) 중다회귀분석 결과 81
〈표-27〉 T2 시점 난독 집단의 읽기유창성 설명 변인(T1) 중다회귀분석 회귀 방정식 82
〈표-28〉 T2 시점 난독 집단의 읽기유창성 설명 변인(T1) 중다회귀분석 결과 83
〈그림-1〉 연구모형1 : 읽기유창성과 철자 쓰기가 읽기이해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해독과 읽기이해 요인 간을 부분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한 모형 21
〈그림-2〉 연구모형2 : 읽기유창성이 해독과 읽기이해 요인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며 철자 쓰기가 해독 요인과만 상관을 가진다고 가정한 모형 21
〈그림-3〉 대안모형(단순효과모형) : 읽기이해에 대한 해독, 철자 쓰기, 읽기유창성, 듣기이 해의 독립적인 효과를 가정한 단순효과모형 22
〈그림-4〉 일반 집단의 T1, T2 시점 경로분석 결과 66
〈그림-5〉 난독 집단의 T1, T2 시점 경로분석 결과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