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4
1. 이상섭식행동의 개념과 특성 14
2. SNS이용강도 15
가. SNS이용강도의 개념 15
나.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17
3. 후회반추 19
가. 후회반추의 개념 19
나. 후회반추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20
다. SNS이용강도와 후회반추의 관계 21
4. 정서조절곤란 23
가. 정서조절곤란의 개념 23
나. 정서조절곤란과 후회반추의 관계 24
제3장 연구 목적 및 가설 26
제4장 연구방법 28
1. 참가자 28
2. 측정도구 29
가. 페이스북 이용강도 척도(Facebook Intensity Scale) 29
나. 식사태도 검사-26(Eating Attitudes Test-26; EAT-26) 30
다. 후회에 대한 대처양식 척도 31
라. 정서조절곤란 척도(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32
3. 분석방법 33
제5장 결과 35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5
2. 변인별 기술통계량 36
3. 성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 37
4. 상관분석 결과 37
5. 매개효과 검증 40
6. 조절된 매개효과 가정을 위한 조절효과 검증 42
7.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43
가. 측정모형 검증 43
나. 구조모형 검증 46
다. 대안모형 검증 48
8. 정서조절곤란 하위요인 조절효과 검증 50
가.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을 선정한 이유 50
나. 측정모형 검증(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1
다. 구조모형 검증(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4
라. 대안모형 검증(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6
마. 모형비교 58
바. 최종모형의 간접효과 59
사. 단순 조절효과 검증 60
아. 성별 다집단 분석 61
제6장 논의 64
1. 주요 연구 결과 및 해석 64
가.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후회반추의 매개효과 검증 64
나. 완전매개모형인 대안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한 이유 65
다.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후회반추와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66
라. 성별에 따른 잠재변인의 차이 67
2. 연구 의의 및 시사점 70
3.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72
가. 제한점 72
나.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73
참고문헌 74
ABSTRACT 87
부록 90
부록 1. 안내문 91
부록 2. 동의서 92
부록 3. 기본 인적사항 93
부록 4. 페이스북 이용 강도 척도 94
부록 5.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95
부록 6. 후회에 대한 대처 양식 척도 98
부록 7. 식사태도 검사-26(EAT-26) 99
부록 8. 나이에 따른 변인별 차이 101
부록 9. 참여자가 이용하는 SNS 종류 102
부록 10. 참가자가 보고한 SNS 이용을 통한 후회 경험 103
표 1. 페이스북 이용강도 척도 문항 및 신뢰도 29
표 2. 식사태도 검사-26 문항 및 신뢰도 30
표 3. 후회에 대한 대처양식 척도 문항 및 신뢰도 31
표 4. 정서조절곤란 척도 문항 및 신뢰도 32
표 5. 인구통계학적 특성 35
표 6. 주요변인 기술통계치 36
표 7. 성별에 따른 변인의 차이 38
표 8.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39
표 9.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후회반추의 매개효과 검증 41
표 10.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후회반추를 통한 간접효과 검증 41
표 11.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검증 42
표 12. 측정모형의 적합도 44
표 13. 측정모형 내 잠재변인의 신뢰도 44
표 14. 측정변인의 요인부하량 45
표 15. 구조모형의 적합도 및 설명력 46
표 16. 구조모형 검증 결과 46
표 17. 대안모형의 적합도 및 설명력 48
표 18. 대안모형 검증 결과 48
표 19. 측정모형의 적합도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1
표 20. 측정모형 내 잠재변인의 신뢰도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1
표 21. 측정변인의 요인부하량(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3
표 22. 구조모형의 적합도 및 설명력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4
표 23. 구조모형 검증 결과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4
표 24. 대안모형의 적합도 및 설명력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6
표 25. 대안모형 검증 결과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6
표 26. 모형 비교 58
표 27. 최종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59
표 28. 최종모형의 단순 기울기 검증 60
표 29. 다집단 분석 측정불변성 단계별 검증 62
표 30. 성별 간 잠재평균 비교 62
표 31. 기저모형과 경로추정계수에 동일성을 가한 모형들의 성별 차이 비교 63
그림 1. 정서조절곤란의 인지 유지 모델 25
그림 2. 연구모형 27
그림 3. 대안모형 27
그림 4. SNS이용강도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후회반추의 매개효과 41
그림 5. 측정모형 검증 결과 44
그림 6. 구조모형 검증 결과 47
그림 7. 대안모형 검증 결과 49
그림 8. 측정모형 검증 결과(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2
그림 9. 구조모형 검증 결과(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5
그림 10. 대안모형 검증 결과(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57
그림 11.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의 조절효과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