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1장 서론 11
제2장 이론적 배경 13
1.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13
가. 외상의 조작적 정의 13
나. 외상 생존자들의 정서 경험과 외상 후 성장 15
다.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모델 16
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 23
가. 성찰적 반추(Deliberate Rumination) 23
3.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24
4. 외상 후 성장의 과정에서 인지와 정서의 통합적 접근 25
가. 정서도식 (Emotional Schema) 26
나. 고통 감내력 (Distress Tolerance) 28
다. 정서접근적 대처 (Emotional Approach Coping) 30
제3장 연구 목적 및 가설 32
제4장 연구방법 37
1. 참가자 37
2. 측정도구 38
1) 외상경험 38
2) 정서도식(emotional schema) 39
3) 정서접근적 대처 (emotional approach coping) 41
4) 고통 감내력 (distress tolerance) 42
5) 성찰적 반추 (deliberate rumination) 42
6)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43
3. 분석방법 44
제5장 연구결과 47
1. 연구 대상자 특성 47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51
3.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52
4. 상관분석 결과 53
5. 측정모형 검증 55
6. 구조모형 검증 60
7. 모형 비교 62
8. 가설 검증 결과 68
9. 연령에 따른 다집단 분석 70
제6장 논의 73
1. 주요 연구 결과 및 해석 73
가. 정서도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접근적 대처와 성찰적 반추의 매개효과 73
나. 정서도식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성찰적 반추의 매개효과 75
다. 고통 감내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접근적 대처의 매개효과 76
라. 고통 감내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성찰적 반추의 매개효과 77
마. 연령대에 따른 정서접근적대처와 성찰적 반추의 차이 77
2. 연구의 의의 79
3. 연구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80
참고문헌 84
부록 99
부록 1. 성별에 따른 변인의 차이 100
부록 2. 연령대에 따른 변인의 차이 101
부록 3. 종교 유무에 따른 변인의 차이 102
부록 4. 충격도 수준에 따른 변인의 차이 103
부록 5. 외상 경험 시기에 따른 변인의 차이 104
부록 6. 측정 모형 검증 결과 및 적합도 105
부록 7. 대안 모형1 모형 검증 결과 106
부록 8. 대안 모형2 모형 검증 결과 107
부록 9. 대안 모형3 모형 검증 결과 및 적합도 108
부록 10. 대안 모형 4 검증 결과 및 적합도 109
부록 11. 외상경험질문지 110
부록 12. 한국판 긍정도식척도(YPSQ) 112
부록 13. 정서접근적 대처(EAC-16) 113
부록 14.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DII) 114
부록 15. 한국판 사건 관련 반추 척도(K-ERRI)- 성찰적 반추 115
부록 16. 한국판 외상 후 성장(PTGI-X) 116
ABSTRACT 119
표 1.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8
표 2-1. 연구 대상자의 외상 유형 49
표 2-2. 연구 대상자의 외상 사건 경험 시기 50
표 2-3. 연구 대상자의 사건 당시 충격도 50
표 2-4. 연구 대상자의 최근 충격도 50
표 3. 변인별 기술 통계량 51
표 4.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54
표 5. 측정 모형의 수정지수 57
표 6. 수정된 측정모형의 적합도 58
표 7. 측정모형 내 잠재변인 신뢰도 58
표 8. 측정 변인의 요인 부하량 59
표 9. 구조모형의 적합도 61
표 10. 연구모형 및 대안 모형들의 적합도 지수 64
표 11. 구조모형 검증 결과 66
표 12. 최종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67
표 13. 연령 집단의 측정동일성 검증 결과 70
표 14. 연령 집단에 따른 경로의 조절효과 71
표 15.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 82
[그림 1] 외상 후 성장 모델 19
[그림 2] 외상 후 정서-인지처리 모델 22
[그림 3] 정서도식 모델 27
[그림 4] 연구모형 34
[그림 5] 대안 모형 1 35
[그림 6] 대안 모형 2 35
[그림 7] 대안 모형 3 36
[그림 8] 대안모형 4 36
[그림 9] 수정된 측정 모형 검증 결과 58
[그림 10] 연구모형 61
[그림 11] 최종 모형 65
[그림 12] 연령 집단에 따른 경로 검증 결과 72
[그림 13] 최종모형 검증 결과 82
[그림 14] 최종 연구모형에 대한 동치모형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