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년층이 일하고 싶은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공간환경에 맞추어 산업공간 환경개선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며, 이러한 산업공간 환경의 개선은 곧 청년층 인력유입으로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청년층의 산업단지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공간환경적 측면에서 청년층이 선호하는 공간유형에 따라 공간환경 개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공간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개선방안을 파악함에 있다. 이를 통해 산업단지의 청년유입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환경의 질적 개선과 청년친화적 공간환경 개선을 위한 영향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동산단을 잘 알고 있는 청년층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23일부터 10월 15일까지 네이버온라인 설문과 리서치 전문회사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총 274명의 응답을 받고 최종 244명을 설문 분석에 기본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유효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분석하였다. 먼저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및 주요 변인들을 이해하기 위한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인 간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e)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산단 공간인식이 공간개선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공간선호에 따라 공간개선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산단 공간에 대한 인식과 공간선호 유형에 따라 청년친화적 공간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접효과를 표본 244명 중 전체, 청년, 비청년을 구분하여 비교 검증하였으며,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가설 검증결과를 수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친화적 공간환경으로 워라밸을 위한 공간, 성장학습을 위한 공간, 로컬감성을 위한 공간으로 정하고, 청년친화적 공간개선을 위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산단 공간인식 차이에서 응답자의 연령대, 교육수준, 직업군, 산단 방문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가설1의 청년층의 산단 공간인식에 따라 공간개선 요구가 달라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가로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워라밸을 위한 공간, 성장학습을 위한 공간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로컬감성을 위한 공간의 개선에는 영향이 미치지 못하였다. 성장 학습을 위한 공간에서는 가로환경 인식과 함께 공원녹지에 대한 인식이 성장학습 공간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가설2의 청년층의 공간선호 유형에 따라 공간개선 요구가 달라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접근성과 다양성은 워라밸 공간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성장학습 공간에는 지속성, 장소성이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로컬감성 공간에서는 지속성과 장소성, 다양성이 청년층이 원하는 로컬감성을 위한 공간개선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단 공간인식과 공간선호 유형은 청년친화적 공간개선의 영향요인을 제시하였고, 공간선호 유형에 따라 청년친화적 공간개선 요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산업공간의 청년친화적 공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인프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청년들이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환경 조성에 있다. 청년친화적 공간환경이 갖는 의미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긍정적인 환경으로의 조성으로, 소통과 교류의 공간역할,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조성, 근로와 삶의 균형 유지를 위한 휴식이나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조성, 청년층에게 현대적인 기술과 연결된 환경조성, 그리고 일자리 기회 등 청년층이 삶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문화적, 포옹적인 환경은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고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여 청년층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해주는데 큰 의미가 있는 것이며, 향후 미래 성장동력으로 가능하게 될 청년층 인력 유입은 산업단지의 혁신 역량을 한층 높이고 더 나아가 지역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청년층이 선호하는 지속가능한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산업공간 신규 조성부터 최소한의 공간환경 여건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각과 접근방식에 대한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