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1
1.1. 연구 배경 11
1.2. 연구 목적 13
제2장 연구 동향 14
2.1. 월류에 의한 붕괴 특징 분석 14
2.2. 기존 첨두유량 경험식 21
제3장 배경 이론 24
3.1. 차원 해석 24
3.2. 첨두유량 (Qₚ)의 측정 26
제4장 수리 실험 27
4.1. 실험 설정 27
4.1.1. 댐의 기하학적 특성 27
4.1.2. 댐을 구성하는 모래의 특성 29
4.2. 실험 방법 31
제5장 결과 및 분석 35
5.1. 실험 결과 및 분석 35
5.1.1. Sand 1 모래를 사용한 월류 붕괴 실험 결과 35
5.1.2. Sand 2 모래를 사용한 월류 붕괴 실험 결과 44
5.2. 무차원화 분석 결과 55
5.2.1. 무차원 첨두유량과 무차원 모래 입경 분석 결과 55
5.2.2. 무차원 첨두유량과 하류 사면경사 분석 결과 56
5.2.3. 무차원 첨두유량과 무차원 저수 부피 분석 결과 57
5.3. 첨두유량 경험식 58
제6장 결론 63
참고문헌 65
Abstract 71
표 4.1. Experimental set up 28
표 4.2. Result of sieve analysis 30
표 4.3. Case definition 33
표 5.1. Results of Sand 1 41
표 5.2. Results of Sand 2 49
표 5.3. Application of dimensionless empirical formula 62
그림 2.1. Outflow characteristics for the breach stages 18
그림 3.1. Schematic diagram of reservoir 24
그림 4.1. Schematic diagram of physical experiment 27
그림 4.2. Grain size distribution 29
그림 4.3. Geometry of dam 32
그림 5.1.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225 ㎥[이미지참조] 36
그림 5.2.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27 ㎥[이미지참조] 37
그림 5.3.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31 ㎥[이미지참조] 37
그림 5.4.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36 ㎥[이미지참조] 38
그림 5.5.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405 ㎥[이미지참조] 38
그림 5.6.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45 ㎥[이미지참조] 39
그림 5.7.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63 ㎥[이미지참조] 39
그림 5.8.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1 for VR=0.081 ㎥[이미지참조] 40
그림 5.9. Over-topping collapse process of case D65V45S5 with respect to time 43
그림 5.10.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225 ㎥[이미지참조] 44
그림 5.11.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27 ㎥[이미지참조] 45
그림 5.12.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315 ㎥[이미지참조] 45
그림 5.13.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36 ㎥[이미지참조] 46
그림 5.14.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405 ㎥[이미지참조] 46
그림 5.15.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45 ㎥[이미지참조] 47
그림 5.16.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63 ㎥[이미지참조] 47
그림 5.17. Over-topping discharge of Sand 2 for VR=0.081 ㎥[이미지참조] 48
그림 5.18. Over-topping collapse process of case D20V45S5 with respect to time 51
그림 5.19. Comparison of peak time and discharge 52
그림 5.20. Comparison of collapse time 53
그림 5.21. Peak discharge with respect to reservoir volume 54
그림 5.22. Dimensionless peak discharge (Qp /Lcv) with respect to dimensionless particle size (D₅₀ /Lc)[이미지참조] 55
그림 5.23. Dimensionless peak discharge (Qp /Lcν) with respect to downstream slope (SD)[이미지참조] 56
그림 5.24. Dimensionless peak discharge (Qp /Lcν) with respect to dimensionless reservoir volume (VR/Lc3).[이미지참조] 57
그림 5.25. Comparison of observed and calculated dimensionless peak discharge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