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8
제1장 서론 9
1.1. 본 논문의 결과 12
1.2. 기호 15
제2장 난수발생기의 증명 가능 안전성 16
2.1. 오라클 모델 16
2.2. Barak,Halevi의 난수발생기 모델[1] 20
2.3.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난수발생기 모델 27
제3장 엔트로피 축적 함수 분석 33
3.1. BH 난수발생기 모델의 한계 33
3.2. Leftover Hash Lemma 35
3.2.1. 2-universal hash family의 예시[12] 36
3.3. win-reseed를 이용한 Fast-refresh[3] 38
3.4. XOR-reseed를 이용한 Fast-refresh[13] 42
3.4.1. DΓ(l)의 수렴성[이미지참조] 45
3.5. 두 reseed 함수 비교 48
제4장 reseed 함수 성능 비교 분석[13] 50
4.1. 데이터 구성 과정 50
4.2. hfull 설정 과정[이미지참조] 50
4.3. XOR-reseed의 이론적 연산 횟수 51
4.3.1. 실험 결과 53
4.4. win-reseed의 이론적 연산 횟수 54
제5장 결론 58
참고 문헌 59
Abstract 60
표 1. X의 확률분포 34
표 2. f(X)의 확률분포 34
표 3. Y의 확률분포 34
표 4. f(Y)의 확률분포 34
표 5. 4비트 분포 D 44
표 6. 분포 DΓ₍₁₀₎[이미지참조] 44
표 7. 두 reseed 함수 특징 49
표 8. l값에 따른 축적 데이터들의 최소 엔트로피 53
표 9. W₁∥W₂에 사용된 4비트 S-box 55
그림 1. BH 난수발생기 모델 10
그림 2. Dodis 난수발생기 모델 11
그림 3. Windows 10 난수발생기 12
그림 4. 본 논문에서 사용할 난수발생기 모델 13
그림 5. 정규화 된 S의 분포 18
그림 6. n × m 한켈행렬 38
그림 7. win-reseed 동작 과정 39
그림 8. Cπ,₂=3인 경우[이미지참조] 40
그림 9. reseed 함수로 사용되는 win-reseed의 동작 과정 41
그림 10. XOR-reseed의 동작 과정 43
그림 11. n=1인 경우 Γ(l)의 수렴성[이미지참조] 43
그림 12. 두 엔트로피 축적 함수에 적합한 분포 49
그림 13. 이미지센서의 데이터 전송 과정 50
그림 14. True Random 8bit의 최소 엔트로피 51
그림 15. 최소 엔트로피 계산 방법 52
그림 16. OBP에서 출력되는 2비트 데이터 분포 52
그림 17. 2-monotone distribution을 만족하는 2비트 데이터 분포 54
그림 18. 연접한 데이터의 분포 55
그림 19. S(W₁∥W₂)의 분포 56
그림 20. S-box를 통과한 연접 데이터에 win-reseed 함수를 적용하는 모습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