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8

Chapter 1. Introduction 10

Chapter 2. Materials and Methods 12

Section 1. Animals 12

Section 2. Surgery for NP 14

Section 3. Assessment of NP 15

Section 4. Microglial activity 17

Section 5. Cytokines 19

Section 6. Gut microbiota analysis 20

Section 7. Statistics 21

Chapter 3. Results 22

Section 1. Assessment of Neuropathic pain (allodynia) 23

Section 2. Microglial activity 26

Section 3. Cytokines 27

Section 4. Gut microbiota 30

Chapter 4. Discussion 33

Chapter 5. Conclusion 38

References 39

국문초록 45

List of Figures

Figure 1. Flow chart 22

Figure 2-1. Mechanical allodynia (Contralateral) 23

Figure 2-2. Mechanical allodynia (Ipsilateral) 24

Figure 2-3. Cold allodynia (Contralateral) 24

Figure 2-4. Cold allodynia (Ipsilateral) 25

Figure 3. Microglial activity 26

Figure 4-1. TNF-α 28

Figure 4-2. IL-1β 28

Figure 4-3. IL-4 29

Figure 4-4. IL-10 29

Figure 5-1. Firmicutes 31

Figure 5-2. Bacteroidetes 32

Figure 5-3. Firmicutes/Bacteroidetes (F/B) ratio 32

초록보기

연구 배경: 이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쥐의 미세아교세포와 미생물에 대한 프레가발린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재료와 방법: 좌골 신경 결찰 및 절단을 통해 쥐에게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했습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이 확인된 후, 쥐를 프레가발린 그룹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배정했습니다. 프레가발린 그룹에는 프레가발린 10 mg/kg 을 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신경병증성 통증 수술 후 15 일, 21 일, 28 일째에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했습니다. 수술 후 0 일, 15 일, 21 일, 28 일째에 대변 샘플을 채취하여 장내 미생물 구성을 평가했습니다.

결과: 프레가발린 그룹은 15 일째에 피르미쿠테스/박테로이데테스 비율이 크게 감소했지만 21 일과 28 일째에는 증가했습니다. 대조군에서는 피르미쿠테스/박테로이데테스 비율이 실험 기간 내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결론: 프레가발린은 미세아교세포 활동뿐만 아니라 장내 미생물 구성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대장-미생물-뇌 축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발병 기전과 치료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