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 목적 15

3. 용어 정의 16

가. 전문직 자율성 16

나. 간호근무환경 16

다. 환자안전관리활동 17

Ⅱ. 문헌고찰 18

1.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18

2. 전문직 자율성 21

3. 간호근무환경 23

4. 연구의 개념적 기틀 25

Ⅲ. 연구방법 29

1. 연구 설계 29

2. 연구 대상 29

가. 선정기준 29

나. 제외기준 30

3. 연구 도구 30

가. 전문직 자율성 30

나. 간호근무환경 31

다. 환자안전관리활동 32

4. 자료수집 33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33

6. 자료 분석 34

Ⅳ. 연구 결과 35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5

2. 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 38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율성, 간호근무환경 및 환자안전관리활동 40

4. 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 43

5.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44

Ⅴ. 논의 46

Ⅵ.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5

부록 63

[부록 1] 연구윤리심의위원회 통지서 63

[부록 2] 대상자 동의 설명문 및 동의서 66

[부록 3] 연구 자료 수집 요청서 69

[부록 4] 설문지 70

[부록 5] 연구 도구 사용 승인서 78

Abstract 80

표목차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37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Professional Autonomy, Nursing Work Environment,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39

Table 3. Differences in Professional Autonomy,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41

Table 4.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Autonomy,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43

Table 5.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45

그림목차

Fig. 1. SEIPS 2.0 model. 26

Fig. 2.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based on SEIPS model 2.0. 28

초록보기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전문직 자율성과 간호근무환경 수준이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자율성을 향상시키고 간호 환경 및 근무 여건의 제도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9월 23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경기도 및 서울시 소재 4개 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20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완성도가 낮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194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전문직 자율성은 Schutzenhofer(1983)가 개발하고 한경자 등(1994)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하고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이금옥(2009)이 개발하고 이유정(2011)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로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율성, 간호근무환경 및 환자안전관리활동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직 자율성은 총점 240점 만점에 162.06±17.76점으로 중간 정도 수준의 전문직 자율성을 보였으며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4점 만점에 2.55±.40점,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은 평균 5점 만점에 4.42±.42점으로 측정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율성은 근무형태(t=2.183,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간호근무환경에서는 직위(t=2.190, p<.05) 및 현 부서 근무경력(F=5.607,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현재 결혼상태(F=4.137,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전문직 자율성과 간호근무환경(r=.220, p<.01), 전문직 자율성과 환자안전관리활동(r=.268, p<.001), 간호근무환경과 환자안전관리활동(r=.220, p<.01)간에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결혼상태(β=.191, p<.001), 전문직 자율성(β=.234, p=.001), 간호근무환경(β=.138, p<.05) 모두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델의 변수는 환자안전관리활동을 11.5%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9.384,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직 자율성 향상을 위한 중재 전략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및 효과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영향요인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병원 경영진의 구체적인 지원과 정부차원의 정책 및 제도개선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